1 박형빈, "통합형 도덕성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기초 연구Ⅰ" 한국윤리교육학회 (50) : 413-461, 2018
2 강유경, "초등학교 도덕교육에서 윤리상담 활용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3 이미식,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윤리상담의 실제" 한국윤리교육학회 (35) : 1-25, 2014
4 Lahav, R., "철학상담의 이해와 실천" 시그마프레스 2013
5 Raabe, P. B., "철학상담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11
6 Marinoff, L., "철학상담소 : 우울한 현대인을 위한 철학자들의 카운슬링" 북로드 2006
7 박은미, "철학상담 정체성 관련 논문 연구동향"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7 (27): 71-113, 2016
8 정탁준, "인성교육의 핵심활동으로서 윤리상담에 대한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4) : 39-59, 2014
9 김수미, "인성교육을 위한 도덕교육적 방법으로서의 윤리 상담에 관한 연구" 27 : 79-95, 2015
10 권석만, "인간 이해를 위한 성격심리학" 학지사 2017
1 박형빈, "통합형 도덕성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기초 연구Ⅰ" 한국윤리교육학회 (50) : 413-461, 2018
2 강유경, "초등학교 도덕교육에서 윤리상담 활용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3 이미식,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윤리상담의 실제" 한국윤리교육학회 (35) : 1-25, 2014
4 Lahav, R., "철학상담의 이해와 실천" 시그마프레스 2013
5 Raabe, P. B., "철학상담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11
6 Marinoff, L., "철학상담소 : 우울한 현대인을 위한 철학자들의 카운슬링" 북로드 2006
7 박은미, "철학상담 정체성 관련 논문 연구동향"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7 (27): 71-113, 2016
8 정탁준, "인성교육의 핵심활동으로서 윤리상담에 대한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4) : 39-59, 2014
9 김수미, "인성교육을 위한 도덕교육적 방법으로서의 윤리 상담에 관한 연구" 27 : 79-95, 2015
10 권석만, "인간 이해를 위한 성격심리학" 학지사 2017
11 박형빈, "의학적 관점에서 본 도덕성의 정신건강 측면과 마음치유로서의 도덕교육" 한국윤리교육학회 (39) : 1-39, 2016
12 박형빈, "윤리클리닉으로서 윤리상담에 관한 일 고찰"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8) : 187-221, 2015
13 진교훈, "윤리상담의 실제: 도덕적 건강과 도덕교육. 도덕교육론 : 치유와 상담" 1-14, 2016
14 신희정, "윤리상담을 활용한 ‘윤리와 사상’ 수업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43) : 49-72, 2017
15 김대군, "윤리상담에서 이야기상담의 의의" 한국윤리학회 1 (1): 117-142, 2017
16 조수경, "윤리상담과 윤리교육 ― 후기 푸코와 고대 윤리를 중심으로" 대동철학회 (70) : 177-196, 2015
17 박형빈, "윤리상담(Ethics Consultation)의 역할과 적용 방안 -수용전념치료(ACT) 기법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윤리교육학회 (45) : 33-67, 2017
18 박장호, "윤리상담 -이론적 토대에 대한 검토-" 한국윤리교육학회 (34) : 1-37, 2014
19 장승희, "윤리교육에서 윤리상담의 적용을 위한 방향 탐색 - 윤리교사들의 윤리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윤리교육학회 (43) : 101-138, 2017
20 이경희, "여성혐오와 윤리상담" 한국윤리교육학회 (44) : 219-247, 2017
21 박형빈, "언어분석과 윌슨의 도덕성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15) : 71-94, 2008
22 김민재, "양명학의 윤리상담에 대한 시사점 고찰 - 왕수인을 중심으로 -" 한국윤리교육학회 (44) : 311-339, 2017
23 Corey, G.,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7
24 박형빈, "서구 심리치료(Psychotherapy)의 동향과 도덕교육 -심리치료 동향의 도덕교육적 시사점으로 본 윤리상담학의 가능성 탐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1) : 387-421, 2018
25 김대군, "분노조절에 대한 윤리상담적 접근 -세네카의 분노론을 중심으로-" 한국윤리교육학회 (34) : 61-82, 2014
26 김대군, "분노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윤리상담 프로그램" 한국윤리교육학회 (43) : 27-48, 2017
27 이미식, "무기력의 치유를 위한 윤리상담의 실제에 관한 연구-초등학교 도덕과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윤리교육학회 (43) : 1-25, 2017
28 박병기, "도덕심리학의 전통과 새로운 동향" 교육과학사 2017
29 Lapsley, D. K.,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 인간사랑 2008
30 이정렬, "도덕교육론 도덕치유와 윤리상담" 교육과학사 253-268, 2018
31 이영경, "도덕교육론 : 도덕치유와 윤리상담" 교육과학사 145-165, 2018
32 김국현, "고등학교 수업에서의 윤리상담 실행 이론과 적용 방안" 한국윤리교육학회 (35) : 27-64, 2014
33 황종환, "간접적 윤리교육의 방법으로서 윤리상담 –키에르케고어를 중심으로-" 한국윤리교육학회 (45) : 1-31, 2017
34 이상호, "孔子의 윤리 상담에 관한 硏究" 동양철학연구회 (81) : 45-72, 2015
35 Narvaez, D., "the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Moral motivation through the life span, 51"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19-163, 2005
36 루 매리노프, "[단행본] 철학으로 마음의 병을 치료한다" 해냄 2000
37 Narvaez D., "Values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127-146, 2007
38 Lickona, T., "The teacher's role in character education" 179 (179): 63-80, 1997
39 Narvaez, D., "Teaching moral character : Two alternatives for teacher education" 43 (43): 156-172, 2008
40 Narvaez, D., "Moral text comprehension :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research" 30 (30): 43-54, 2001
41 Narvaez, D., "Moral schemas and tacit judgement or how the Defining Issues Test is supported by cognitive science" 31 (31): 297-314, 2002
42 Narvaez, D., "Moral psychology, Vol. 2. The cognitive science of morality: Intuition and diversity" MIT Press 233-240, 2008
43 Narvaez, D., "Moral identity, moral functioning, and the development of moral character" 50 : 237-274, 2009
44 Rest, J. R., "Moral development: Advances in research and theory" Praeger 1986
45 Narvaez, D., "Moral development and behaviour under the spotlight of the neurobiological sciences" 37 (37): 289-312, 2008
46 Narvaez, D., "Moral complexity : The fatal attraction of truthiness and the importance of mature moral functioning" 5 (5): 163-181, 2010
47 Narvaez, D., "Minnesota’s community voices and character education project" 2 (2): 89-112, 2004
48 Narvaez, D., "Handbook of Moral Development"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03-733, 2006
49 Marinoff, L., "Essays on philosophical counseling"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71-191, 1995
50 박장호, "D. 나르바이스의 초기 도덕교육 모형" 한국윤리교육학회 (42) : 1-30, 2016
51 Narvaez, D., "Character psychology and character educatio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40-165, 2005
52 교육부, "2015 도덕과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