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나바에츠(D. Narvaez)의 윤리적 스킬에 기반한 윤리상담(Ethics Consultation) 기법 = Ethics Consultation Techniques Based on D. Narvaez’s Ethical Skil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64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echniques of ethics counseling that can be used in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Ethics consultation can complement the content aspects of moraleducation in that it is possible to have a customized moral guidance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student's individual and to have a more in-depth moral dialogue. It can also complement themethodical aspects of moral education because it can overcome the time constraints of moral classin elementary school. Ethics consultation is distinguished from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counseling in that it directly deals with the morality of the clients, has educational goals, andultimately aims to practice moral behavior. Based on the 4-components model of Rest, Narvaezpresented a list of ethical skills that students should learn to live a happy and excellent life.
      Narvaez's ethical skills theory and ethics consultation have a common purpose to complement thespecifics and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In this study, the list of Navaez's ethical skills wasreconstructed based on the 'development sta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practicality','theeducational environment of Korea' and 'the 2015 moral curriculum'. The ethics consultation processin this study consists of seven stages and is progressed in the order of 'Name of the skill → What'sgood about learning skill?/Myself who has learned the skills → My current self → Best model → Howto practice the skill → Sponsors/Cheering comments → Celebration party'. At the same time asproposing the ethical consultation process, this study specifically suggested the ethical consultationactivities that could be used in the fifth step, the 'How to practice the skill'. The value of this studylies in that it specifically proposed the techniques of ethics consultation that have not been studiedso far, and connected ethics consultation theories with school demanding ethics consulta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echniques of ethics counseling that can be used in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Ethics consultation can complement the content aspects of moraleducation in that it is possible to have a customized mo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echniques of ethics counseling that can be used in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Ethics consultation can complement the content aspects of moraleducation in that it is possible to have a customized moral guidance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student's individual and to have a more in-depth moral dialogue. It can also complement themethodical aspects of moral education because it can overcome the time constraints of moral classin elementary school. Ethics consultation is distinguished from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counseling in that it directly deals with the morality of the clients, has educational goals, andultimately aims to practice moral behavior. Based on the 4-components model of Rest, Narvaezpresented a list of ethical skills that students should learn to live a happy and excellent life.
      Narvaez's ethical skills theory and ethics consultation have a common purpose to complement thespecifics and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In this study, the list of Navaez's ethical skills wasreconstructed based on the 'development sta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practicality','theeducational environment of Korea' and 'the 2015 moral curriculum'. The ethics consultation processin this study consists of seven stages and is progressed in the order of 'Name of the skill → What'sgood about learning skill?/Myself who has learned the skills → My current self → Best model → Howto practice the skill → Sponsors/Cheering comments → Celebration party'. At the same time asproposing the ethical consultation process, this study specifically suggested the ethical consultationactivities that could be used in the fifth step, the 'How to practice the skill'. The value of this studylies in that it specifically proposed the techniques of ethics consultation that have not been studiedso far, and connected ethics consultation theories with school demanding ethics consult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윤리상담은 학생 개인의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도덕지도가 가능하고 보다 심층적인 도덕적 대화를나눌 수 있다는 점에서 도덕교육의 내용적 측면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도덕과 수업의 시간적 제약을극복할 수 있어 도덕교육의 방법적 측면을 보완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윤리상담은 크게 내담자의도덕적 건강이나 치유를 지향하는 상담으로 정의되거나,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윤리학적 관점을이용하는 상담으로 정의되었다. 윤리상담은 내담자의 도덕성을 직접적으로 다루며 교육적 목표를 지니고 궁극적으로 도덕적 행동의 실천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철학상담 및 심리상담과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윤리상담을 ‘도덕적 성찰을 바탕으로 내담자의 윤리적 스킬 습득 및 실천을 촉진하는 상담’으로정의하였다. 나바에츠는 레스트의 4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행복하고 탁월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 익혀야 할 윤리적 스킬 목록을 제시하였다. 나바에츠의 윤리적 스킬 이론과 윤리상담은 도덕교육의구체성과 현실성을 보완하려는 공통된 목적의식을 지닌다. 그러나 나바에츠의 윤리적 스킬 목록은 미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작성되었고, 그 내용과 범위가 매우 방대하여 한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한 윤리상담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바에츠의 윤리적 스킬 목록을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 ‘실현가능성’, ‘한국의 교육 환경’, ‘2015 도덕과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재구성하였다. 재구성한 윤리상담 절차는 총 7단계로 이루어지며, ‘기술의 이름 → 기술을 배우면 좋은 점/기술을 배운 내 모습→ 현재 나의 모습 → 모범 사례 → 기술 연습 방법 → 후원자/응원 댓글 → 축하활동’의 순서로 진행된다. 본 윤리상담 기법은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에 적합하고 도덕적 행동을 습관화하는데 기여하며 도덕적 담화 공동체를 형성하고, 도덕교육 환경을 응원과 지지의 분위기로 변화시킨다는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윤리상담은 학생 개인의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도덕지도가 가능하고 보다 심층적인 도덕적 대화를나눌 수 있다는 점에서 도덕교육의 내용적 측면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도덕과 수업의 시...

      윤리상담은 학생 개인의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도덕지도가 가능하고 보다 심층적인 도덕적 대화를나눌 수 있다는 점에서 도덕교육의 내용적 측면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도덕과 수업의 시간적 제약을극복할 수 있어 도덕교육의 방법적 측면을 보완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윤리상담은 크게 내담자의도덕적 건강이나 치유를 지향하는 상담으로 정의되거나,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윤리학적 관점을이용하는 상담으로 정의되었다. 윤리상담은 내담자의 도덕성을 직접적으로 다루며 교육적 목표를 지니고 궁극적으로 도덕적 행동의 실천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철학상담 및 심리상담과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윤리상담을 ‘도덕적 성찰을 바탕으로 내담자의 윤리적 스킬 습득 및 실천을 촉진하는 상담’으로정의하였다. 나바에츠는 레스트의 4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행복하고 탁월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 익혀야 할 윤리적 스킬 목록을 제시하였다. 나바에츠의 윤리적 스킬 이론과 윤리상담은 도덕교육의구체성과 현실성을 보완하려는 공통된 목적의식을 지닌다. 그러나 나바에츠의 윤리적 스킬 목록은 미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작성되었고, 그 내용과 범위가 매우 방대하여 한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한 윤리상담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바에츠의 윤리적 스킬 목록을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 ‘실현가능성’, ‘한국의 교육 환경’, ‘2015 도덕과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재구성하였다. 재구성한 윤리상담 절차는 총 7단계로 이루어지며, ‘기술의 이름 → 기술을 배우면 좋은 점/기술을 배운 내 모습→ 현재 나의 모습 → 모범 사례 → 기술 연습 방법 → 후원자/응원 댓글 → 축하활동’의 순서로 진행된다. 본 윤리상담 기법은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에 적합하고 도덕적 행동을 습관화하는데 기여하며 도덕적 담화 공동체를 형성하고, 도덕교육 환경을 응원과 지지의 분위기로 변화시킨다는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형빈, "통합형 도덕성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기초 연구Ⅰ" 한국윤리교육학회 (50) : 413-461, 2018

      2 강유경, "초등학교 도덕교육에서 윤리상담 활용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3 이미식,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윤리상담의 실제" 한국윤리교육학회 (35) : 1-25, 2014

      4 Lahav, R., "철학상담의 이해와 실천" 시그마프레스 2013

      5 Raabe, P. B., "철학상담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11

      6 Marinoff, L., "철학상담소 : 우울한 현대인을 위한 철학자들의 카운슬링" 북로드 2006

      7 박은미, "철학상담 정체성 관련 논문 연구동향"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7 (27): 71-113, 2016

      8 정탁준, "인성교육의 핵심활동으로서 윤리상담에 대한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4) : 39-59, 2014

      9 김수미, "인성교육을 위한 도덕교육적 방법으로서의 윤리 상담에 관한 연구" 27 : 79-95, 2015

      10 권석만, "인간 이해를 위한 성격심리학" 학지사 2017

      1 박형빈, "통합형 도덕성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기초 연구Ⅰ" 한국윤리교육학회 (50) : 413-461, 2018

      2 강유경, "초등학교 도덕교육에서 윤리상담 활용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3 이미식,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윤리상담의 실제" 한국윤리교육학회 (35) : 1-25, 2014

      4 Lahav, R., "철학상담의 이해와 실천" 시그마프레스 2013

      5 Raabe, P. B., "철학상담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11

      6 Marinoff, L., "철학상담소 : 우울한 현대인을 위한 철학자들의 카운슬링" 북로드 2006

      7 박은미, "철학상담 정체성 관련 논문 연구동향"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7 (27): 71-113, 2016

      8 정탁준, "인성교육의 핵심활동으로서 윤리상담에 대한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4) : 39-59, 2014

      9 김수미, "인성교육을 위한 도덕교육적 방법으로서의 윤리 상담에 관한 연구" 27 : 79-95, 2015

      10 권석만, "인간 이해를 위한 성격심리학" 학지사 2017

      11 박형빈, "의학적 관점에서 본 도덕성의 정신건강 측면과 마음치유로서의 도덕교육" 한국윤리교육학회 (39) : 1-39, 2016

      12 박형빈, "윤리클리닉으로서 윤리상담에 관한 일 고찰"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8) : 187-221, 2015

      13 진교훈, "윤리상담의 실제: 도덕적 건강과 도덕교육. 도덕교육론 : 치유와 상담" 1-14, 2016

      14 신희정, "윤리상담을 활용한 ‘윤리와 사상’ 수업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43) : 49-72, 2017

      15 김대군, "윤리상담에서 이야기상담의 의의" 한국윤리학회 1 (1): 117-142, 2017

      16 조수경, "윤리상담과 윤리교육 ― 후기 푸코와 고대 윤리를 중심으로" 대동철학회 (70) : 177-196, 2015

      17 박형빈, "윤리상담(Ethics Consultation)의 역할과 적용 방안 -수용전념치료(ACT) 기법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윤리교육학회 (45) : 33-67, 2017

      18 박장호, "윤리상담 -이론적 토대에 대한 검토-" 한국윤리교육학회 (34) : 1-37, 2014

      19 장승희, "윤리교육에서 윤리상담의 적용을 위한 방향 탐색 - 윤리교사들의 윤리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윤리교육학회 (43) : 101-138, 2017

      20 이경희, "여성혐오와 윤리상담" 한국윤리교육학회 (44) : 219-247, 2017

      21 박형빈, "언어분석과 윌슨의 도덕성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15) : 71-94, 2008

      22 김민재, "양명학의 윤리상담에 대한 시사점 고찰 - 왕수인을 중심으로 -" 한국윤리교육학회 (44) : 311-339, 2017

      23 Corey, G.,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7

      24 박형빈, "서구 심리치료(Psychotherapy)의 동향과 도덕교육 -심리치료 동향의 도덕교육적 시사점으로 본 윤리상담학의 가능성 탐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1) : 387-421, 2018

      25 김대군, "분노조절에 대한 윤리상담적 접근 -세네카의 분노론을 중심으로-" 한국윤리교육학회 (34) : 61-82, 2014

      26 김대군, "분노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윤리상담 프로그램" 한국윤리교육학회 (43) : 27-48, 2017

      27 이미식, "무기력의 치유를 위한 윤리상담의 실제에 관한 연구-초등학교 도덕과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윤리교육학회 (43) : 1-25, 2017

      28 박병기, "도덕심리학의 전통과 새로운 동향" 교육과학사 2017

      29 Lapsley, D. K.,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 인간사랑 2008

      30 이정렬, "도덕교육론 도덕치유와 윤리상담" 교육과학사 253-268, 2018

      31 이영경, "도덕교육론 : 도덕치유와 윤리상담" 교육과학사 145-165, 2018

      32 김국현, "고등학교 수업에서의 윤리상담 실행 이론과 적용 방안" 한국윤리교육학회 (35) : 27-64, 2014

      33 황종환, "간접적 윤리교육의 방법으로서 윤리상담 –키에르케고어를 중심으로-" 한국윤리교육학회 (45) : 1-31, 2017

      34 이상호, "孔子의 윤리 상담에 관한 硏究" 동양철학연구회 (81) : 45-72, 2015

      35 Narvaez, D., "the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Moral motivation through the life span, 51"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19-163, 2005

      36 루 매리노프, "[단행본] 철학으로 마음의 병을 치료한다" 해냄 2000

      37 Narvaez D., "Values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127-146, 2007

      38 Lickona, T., "The teacher's role in character education" 179 (179): 63-80, 1997

      39 Narvaez, D., "Teaching moral character : Two alternatives for teacher education" 43 (43): 156-172, 2008

      40 Narvaez, D., "Moral text comprehension :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research" 30 (30): 43-54, 2001

      41 Narvaez, D., "Moral schemas and tacit judgement or how the Defining Issues Test is supported by cognitive science" 31 (31): 297-314, 2002

      42 Narvaez, D., "Moral psychology, Vol. 2. The cognitive science of morality: Intuition and diversity" MIT Press 233-240, 2008

      43 Narvaez, D., "Moral identity, moral functioning, and the development of moral character" 50 : 237-274, 2009

      44 Rest, J. R., "Moral development: Advances in research and theory" Praeger 1986

      45 Narvaez, D., "Moral development and behaviour under the spotlight of the neurobiological sciences" 37 (37): 289-312, 2008

      46 Narvaez, D., "Moral complexity : The fatal attraction of truthiness and the importance of mature moral functioning" 5 (5): 163-181, 2010

      47 Narvaez, D., "Minnesota’s community voices and character education project" 2 (2): 89-112, 2004

      48 Narvaez, D., "Handbook of Moral Development"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03-733, 2006

      49 Marinoff, L., "Essays on philosophical counseling"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71-191, 1995

      50 박장호, "D. 나르바이스의 초기 도덕교육 모형" 한국윤리교육학회 (42) : 1-30, 2016

      51 Narvaez, D., "Character psychology and character educatio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40-165, 2005

      52 교육부, "2015 도덕과 교육과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3-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Center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2007-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초등교육연구소 -> 초등교육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7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