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시민 주도 언론개혁 가능할까?
- 목적과 논의: 시민참여형방송, 제대로 된 역할 하고 있을까? 그 역할에 미치는 요인은 무얼까?
- 연구질문: ‘나울통’ 제작진 내외부 상호작용 들여다보니
- 연구대상: 아날로그 미디어 라디오에서 ‘시민주권쟁취방송’ 외치는 시민제작진과 이를 지켜보는 사람들
- 연구방법: 인간적 · 비인간적 요소 분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52845
2021
Korean
505
학술저널
14-39(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리빙랩(Living Lab)의 ‘새로운’ 공동체성 탐색: 이론적 논의
교육 혁신에 드러나는 신 자유주의적 통치성 : 표준화 시험과 알고리듬적 통치성
디지털 성폭력 대응 활동가의 전문성 구성 : DSO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공과학기술의 성장 : 화학과 안전성 분야 대덕연구단지 연구소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