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개요】
- 1. 헌법교육에 대한 이 시대 요구의 비상한 특이성: 주권자 공동체로서 대한민국의 국가개조와 국가발전의 신동력 창출
- 2. 전국가적·전시민적 헌법 호출: 헌법내적 절차혁명으로서 촛불시민혁명
- 3. 헌법공동체로서 민주공화국 국체 재정비 및 주권자 정치능력 강화의 절대적 필요성: 촛불 이후 국가발전의 추동력으로서 주권자 세력의 재정비
- 4. 헌법의식의 준거요구로서 주권자 감수성과 공화국 국체, 그리고 헌법가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91177
2017
Korean
헌법 ; 헌법교육 ; 민주시민교육 ; 정치맹(政治盲) ; 정계와 시민정치의 실패정치 ; 주권자 감수성 ; 공화국 국체 ; 촛불시민혁명 ; 헌법내적 절차혁명 ; 주권자-헌법기관-상호호응을 통한 공조 ; 국가실체 ; 헌법의식 ; 헌법가치 ; 주권자 민주시민교육 ; constitution ; constitutional education ; democratic-civic education ; political blindness ; politics-failure in the political and civil society ; the sovereign sensitivity ; republican polity ; the candlelight civic revolution ; inner-constitutional procedural revolution ; the cooperation through the mutual response of the sovereign and the constitutional organs ; the substance of a nation ; constitutional consciousness ; constitutional values ; democratic-civic education of the sovereign
100
KCI등재
학술저널
27-96(7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동네(neighborhood)는 어떻게 사람들의 일상에 힘을 발휘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