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네(neighborhood)는 어떻게 사람들의 일상에 힘을 발휘하는가? = How Do Neighborhoods Affect People’s Everyday Life? - For Restoration of Local Communities in South Kore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91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산업화의 진전과 함께 사회 통합을 담당해 왔던 전통적인 공동체는 약화되는 대신 이를 대체할 새로운 형태의 공동체가 형성되지 않은 채 발전해 온 한국의 도시 공간에서 어떻게 바람직한 공동체의 회복을 이룰 수 있는가에 대해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저자는 사회적 자본과 집합적 효능감이라는 요소를 지역사회 거버넌스라는 개념과 연결시켜 현대사회에서 필요한 공동체적 가치와 좋은 공동체의 구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이전의 연구들에 의하면 사회적 자본을 많이 소유하고 있는 동네일수록 안전하고 건강하며 더 높은 삶의 질을 가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논문은 전통적 형태의 결속력이 결여된 현대사회에서 이런 관계가 성립할 수 있는 것은 사회적 응집력과 비공식적 사회적 통제라는 개념이 결합되어 결정되는 집합적 효능감의 수준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높은 집합적 효능감은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기초로 정치적인 영역에서 집합적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거버넌스의 기본 요건이 된다. 따라서 동네주민들이 공동체적 삶의 형성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그 지역의 집합적 효능감을 높이는 것에 의해서 가능하다. 이 논문은 집합적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1) 제도적 측면에서 공동체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는 우호적인 법률, 정치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며. 2) 윤리적 측면에서는 정치적으로 옳지 못한 차별적 행위를 지양할 수 있는 반 차별정책을 강화해야 하고, 3) 공정한 사회적 관계를 저해하는 불평등한 노동조건에 대한 구조적 개선 등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산업화의 진전과 함께 사회 통합을 담당해 왔던 전통적인 공동체는 약화되는 대신 이를 대체할 새로운 형태의 공동체가 형성되지 않은 채 발전해 온 한국의 도시 공간에서 어떻게...

      이 논문은 산업화의 진전과 함께 사회 통합을 담당해 왔던 전통적인 공동체는 약화되는 대신 이를 대체할 새로운 형태의 공동체가 형성되지 않은 채 발전해 온 한국의 도시 공간에서 어떻게 바람직한 공동체의 회복을 이룰 수 있는가에 대해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저자는 사회적 자본과 집합적 효능감이라는 요소를 지역사회 거버넌스라는 개념과 연결시켜 현대사회에서 필요한 공동체적 가치와 좋은 공동체의 구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이전의 연구들에 의하면 사회적 자본을 많이 소유하고 있는 동네일수록 안전하고 건강하며 더 높은 삶의 질을 가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논문은 전통적 형태의 결속력이 결여된 현대사회에서 이런 관계가 성립할 수 있는 것은 사회적 응집력과 비공식적 사회적 통제라는 개념이 결합되어 결정되는 집합적 효능감의 수준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높은 집합적 효능감은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기초로 정치적인 영역에서 집합적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거버넌스의 기본 요건이 된다. 따라서 동네주민들이 공동체적 삶의 형성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그 지역의 집합적 효능감을 높이는 것에 의해서 가능하다. 이 논문은 집합적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1) 제도적 측면에서 공동체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는 우호적인 법률, 정치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며. 2) 윤리적 측면에서는 정치적으로 옳지 못한 차별적 행위를 지양할 수 있는 반 차별정책을 강화해야 하고, 3) 공정한 사회적 관계를 저해하는 불평등한 노동조건에 대한 구조적 개선 등을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desirable local communities can be restored in South Korea where new types of communities to provide people with values and norms have not been built while traditional local communities have been weakened with the advances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discusses good communities and community values required in modern society by combining the concepts of social capital and collective efficacy with local governance. Prior research has emphasized that the neighborhoods with greater social capital are safer and healthier, and enjoy better quality of life than those with less social capital. The author insists that this relationship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collective efficacy of which level is determined by how social cohesion and informal social control work together at local level. Also, the high level of collective efficacy is one of the basic components of good governance that facilitates empowerment of civil society in political area.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ree strategies to heighten collective efficacy as follows: 1) a friendly legal and political environment in which the communities can function properly, 2) antidiscrimination policies that could check socially and politically incorrect discriminative behaviors should be reinforced, and 3) structural improvements are required for unequal labor conditions that hamper just social relationship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desirable local communities can be restored in South Korea where new types of communities to provide people with values and norms have not been built while traditional local communities have been weakened w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desirable local communities can be restored in South Korea where new types of communities to provide people with values and norms have not been built while traditional local communities have been weakened with the advances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discusses good communities and community values required in modern society by combining the concepts of social capital and collective efficacy with local governance. Prior research has emphasized that the neighborhoods with greater social capital are safer and healthier, and enjoy better quality of life than those with less social capital. The author insists that this relationship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collective efficacy of which level is determined by how social cohesion and informal social control work together at local level. Also, the high level of collective efficacy is one of the basic components of good governance that facilitates empowerment of civil society in political area.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ree strategies to heighten collective efficacy as follows: 1) a friendly legal and political environment in which the communities can function properly, 2) antidiscrimination policies that could check socially and politically incorrect discriminative behaviors should be reinforced, and 3) structural improvements are required for unequal labor conditions that hamper just social relationship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1. 지역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 2.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비환원성
      • 3. 사회적 자본, 집합적 효능감, 그리고 지역사회 거버넌스
      • 4. 무엇이 지역공동체의 집합적 효능감을 높이는가?
      • 【논문개요】
      • 1. 지역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 2.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비환원성
      • 3. 사회적 자본, 집합적 효능감, 그리고 지역사회 거버넌스
      • 4. 무엇이 지역공동체의 집합적 효능감을 높이는가?
      • 5. 한국의 지역공동체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리처드 윌킨슨, "평등이 답이다 : 왜 평등한 사회는 늘 바람직한가?" 이후 2012

      2 이재열,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지역사회학회 8 (8): 2006

      3 에밀 뒤르켐, "자살론" 청아출판사 2011

      4 로버트 퍼트남, "나홀로 볼링" 페이퍼로드 2000

      5 김의영, "거버넌스의 정치학: 한국정치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명인문화사 2014

      6 김석준, "거버넌스의 이해" 대영문화사 2002

      7 Wandersman, A., "Who participates, who does not, and why? An analysis of voluntary neighborhood organizations in the United States and Israel" 2 : 1987

      8 Wilson, W. J., "When work disappears: The world of the new urban poor" Vintage 2011

      9 Logan, J. R., "Urban fortunes: The political economy of place" Univ of California Press 2007

      10 Granovetter, M. S., "The strength of weak ties" 78 (78): 1973

      1 리처드 윌킨슨, "평등이 답이다 : 왜 평등한 사회는 늘 바람직한가?" 이후 2012

      2 이재열,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지역사회학회 8 (8): 2006

      3 에밀 뒤르켐, "자살론" 청아출판사 2011

      4 로버트 퍼트남, "나홀로 볼링" 페이퍼로드 2000

      5 김의영, "거버넌스의 정치학: 한국정치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명인문화사 2014

      6 김석준, "거버넌스의 이해" 대영문화사 2002

      7 Wandersman, A., "Who participates, who does not, and why? An analysis of voluntary neighborhood organizations in the United States and Israel" 2 : 1987

      8 Wilson, W. J., "When work disappears: The world of the new urban poor" Vintage 2011

      9 Logan, J. R., "Urban fortunes: The political economy of place" Univ of California Press 2007

      10 Granovetter, M. S., "The strength of weak ties" 78 (78): 1973

      11 Odgers, C. L., "The protective effects of neighborhood collective efficacy on British children growing up in deprivation : a developmental analysis" 45 (45): 2009

      12 Odgers, C. L., "The protective effects of neighborhood collective efficacy on British children growing up in deprivation : a developmental analysis" 45 (45): 942-, 2009

      13 Mesch, G. S., "The Effectiveness of Neighborhood Collective Action" 43 (43): 1996

      14 Jacobs, J., "The City Reader" Routledge 2011

      15 Berkman, L. F., "Social networks, host resistance, and mortality: a nine-year follow-up study of Alameda County residents" 109 (109): 1979

      16 Kawachi, I., "Social capital and self-rated health : a contextual analysis" 89 (89): 1999

      17 Bowles, S., "Social Capital, Moral Sentiments, and Community Governance" 2005

      18 Zaccaro, S. J., "Self-efficacy, adaptation, and adjustment" Springer 1995

      19 Sampson, R. J., "Neighborhoods and violent crime: A multilevel study of collective efficacy" 277 (277): 1997

      20 Browning, C. R., "Neighborhood structural inequality, collective efficacy, and sexual risk behavior among urban youth" 49 (49): 2008

      21 Morenoff, J. D., "Neighborhood inequality, collective efficacy, and the spatial dynamics of urban violence" 39 (39): 2001

      22 Browning, C. R., "Neighborhood Structural Inequality, Collective Efficacy, and Sexual Risk Behavior among Urban Youth" 49 (49): 269-285, 2008

      23 Korenman, S., "Misclassification bias in estimates of bereavement effects" 145 (145): 1997

      24 Lilard, L. A., "Marital status and mortality : the role of health" 33 (33): 1996

      25 신희주, "Links between Community Poverty and Child and Maternal Health in Peru: Which Aspects of Community Poverty Matter?" 한국사회학회 50 (50): 51-71, 2016

      26 Ikeda, A., "Handbook of behavioral medicine" Springer 2010

      27 Bourdieu P.,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ation" 1985

      28 Coleman, J.,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Belknap Press 1993

      29 Shin, H., "Child Health in Peru: Importance of Regional Variation and Community Effects on Children's Height and Weight" 48 (48): 2007

      30 Lin, N., "Building a network theory of social capital" 22 (22): 1999

      31 Sampson, R. J., "Beyond social capital: Spatial dynamics of collective efficacy for children" 1999

      32 Kawachi, I., "A prospective study of social networks in relation to total mortal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men in the USA" 50 (50):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ocial Philosoph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6 학술지등록 한글명 : 사회와 철학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83 1.65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