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건영 건축의 부정성 연구 - 아도르노의 미메시스론을 통한 고찰 - = The Study of the Negativity in Jo, Guen Young’s Architecture - Based of Adorno’s Mimesis Theor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742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Jo, Guen Young’s architecture based on Adorno’s aesthetic theory, especially the mimesis concept. It is to try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Jo’s architecture with the concept of "negativity" which is the core of the Adorno’s aesthetic theory. It is also academic expansion of architectural design by converging with aesthetic theory. The major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projects from the late 1980s to the early 1990s when the negativity in Jo’s architecture was maximized. Based on the analysis, Jo’s architecture are characterized into four categories as ‘rejection of the context’, ’break the banality through shock’, ‘architecture as a commodity’, and ‘mimesis of the alienated’. As a result, this thesis has proved that Jo’s architecture has a critical negativity of Adorno 's aesthetics, which is why Jo’s architecture can be seen as avant garde architec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Jo, Guen Young’s architecture based on Adorno’s aesthetic theory, especially the mimesis concept. It is to try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Jo’s architecture with the concept of "negativity"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Jo, Guen Young’s architecture based on Adorno’s aesthetic theory, especially the mimesis concept. It is to try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Jo’s architecture with the concept of "negativity" which is the core of the Adorno’s aesthetic theory. It is also academic expansion of architectural design by converging with aesthetic theory. The major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projects from the late 1980s to the early 1990s when the negativity in Jo’s architecture was maximized. Based on the analysis, Jo’s architecture are characterized into four categories as ‘rejection of the context’, ’break the banality through shock’, ‘architecture as a commodity’, and ‘mimesis of the alienated’. As a result, this thesis has proved that Jo’s architecture has a critical negativity of Adorno 's aesthetics, which is why Jo’s architecture can be seen as avant garde architec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아도르노의 미학이론 중 특히 미메시스 개념을 통해 조건영 건축을 해석하는 데 있다. 이는 아도르노 미학이론의 핵심인 “부정성” 개념으로 조건영 건축의 특징을 규정하려 하는 것이다. 또한 미학이론과 실무 건축디자인을 융합적 관점으로 연구함으로써, 건축디자인의 학문적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기도 하다. 연구의 주요 대상은 조건영 건축에서 부정성이 극대화되었던 시기인 1980년대 말에서 1990년대 초반까지의 프로젝트들이다. 아도르노의 이론과 조건영 건축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그 특징을 ‘맥락에 대한 거부’, ‘충격을 통한 상투성 깨트리기’, ‘상품으로서의 건축’, ‘소외된 것의 미메시스’라는 4가지로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조건영 건축에는 아도르노 미학을 통해 설명할 수 있는 비평적 부정성이 있음을 밝혔으며, 이는 조건영 건축을 아방가르드적 건축으로 볼 수 있는 이유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아도르노의 미학이론 중 특히 미메시스 개념을 통해 조건영 건축을 해석하는 데 있다. 이는 아도르노 미학이론의 핵심인 “부정성” 개념으로 조건영 건축의 특징을 규정...

      본 논문의 목적은 아도르노의 미학이론 중 특히 미메시스 개념을 통해 조건영 건축을 해석하는 데 있다. 이는 아도르노 미학이론의 핵심인 “부정성” 개념으로 조건영 건축의 특징을 규정하려 하는 것이다. 또한 미학이론과 실무 건축디자인을 융합적 관점으로 연구함으로써, 건축디자인의 학문적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기도 하다. 연구의 주요 대상은 조건영 건축에서 부정성이 극대화되었던 시기인 1980년대 말에서 1990년대 초반까지의 프로젝트들이다. 아도르노의 이론과 조건영 건축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그 특징을 ‘맥락에 대한 거부’, ‘충격을 통한 상투성 깨트리기’, ‘상품으로서의 건축’, ‘소외된 것의 미메시스’라는 4가지로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조건영 건축에는 아도르노 미학을 통해 설명할 수 있는 비평적 부정성이 있음을 밝혔으며, 이는 조건영 건축을 아방가르드적 건축으로 볼 수 있는 이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건영, "후렛시네" 1991

      2 이종건, "해방의 건" 도서출판 발언 1998

      3 임석재, "한국현대건축비평" 예경 1998

      4 조건영, "한겨레신문사 사옥" 1992

      5 김문덕, "한겨레신문 사옥과 그 건축가에 대한 기대" 1992

      6 조건영, "프랑소와즈 계획안" 1991

      7 조건영, "제2회 청년작가실험전-‘항성’" 현실비평연구소 1997

      8 조건영, "역삼동 주택" 1990

      9 조건영, "엄밀성과 단순성" 1992

      10 함인선, "수직의 건물・수평의 건축" ㈜서울포럼 1999

      1 조건영, "후렛시네" 1991

      2 이종건, "해방의 건" 도서출판 발언 1998

      3 임석재, "한국현대건축비평" 예경 1998

      4 조건영, "한겨레신문사 사옥" 1992

      5 김문덕, "한겨레신문 사옥과 그 건축가에 대한 기대" 1992

      6 조건영, "프랑소와즈 계획안" 1991

      7 조건영, "제2회 청년작가실험전-‘항성’" 현실비평연구소 1997

      8 조건영, "역삼동 주택" 1990

      9 조건영, "엄밀성과 단순성" 1992

      10 함인선, "수직의 건물・수평의 건축" ㈜서울포럼 1999

      11 조건영, "서울의 도시적 맥락은 어떤 것일까" 1991

      12 조건영, "서울국악예고 예술관" 1992

      13 Adorno, T. W., "부정 변증법" 한길사 1999

      14 Adorno, T. W., "미학이론" 문학과 지성사 2000

      15 조건영,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16 최정윤, "도시 역사문화환경에서 현대건축물 ‘적합성(compatibility)’의 개념과 작동 구조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7 (17): 49-61, 2018

      17 조건영, "다시 근대성을 그리워하며" 1997

      18 김봉렬, "기하학과 실험정신" 1991

      19 조건영, "관료주의를 깨뜨려야 건축문화가 살 수 있다" 1992

      20 Adorno, T. W., "계몽의 변증법" 문예출판사 1997

      21 박순관, "건축과 사회: 선언적 모더니즘의 혁신" 1990

      22 조건영, "X-PLUS" (318) : 60-69, 1994

      23 박연실, "I. 칸트의 부용미를 통한 디자인 미학"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4 (14): 105-122, 2015

      24 한현석, "Analysis on Space and Architecture Examples of Toyo Ito from the Viewpoint of Functionalism - Focusing on Small-Sized Residental Spaces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6 (16): 59-74,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2-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디자인융복합학회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KCI등재
      2012-02-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자인융복합연구 ->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KCI등재
      2011-12-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포디자인학회 -> 디자인융복합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Information Design ->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KCI등재
      2011-12-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포디자인이슈 -> 디자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InfoDESIGN ISSUE -> Design Convergence Stud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1 0.53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