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동일, "형법상 의료행위와 ′설명의무′" 통 (통): 221-242,
2 이덕환, "의사의 설명의무와 법적 책임론" 153-185, 행법사;1992.이상돈
3 김영환, "의료행위의 형법상 취급" 9,통 (9,통): 5-26, 1998
4 이상돈, "의료행위의 법제화와 형법. - 의료분쟁조정법안의 기본구상에 대한 법사회학적 비판-"
5 신현호, "의료소송총론" 육법사 2000
6 대한변호사협회, "의료법 개정 관련 좌담회" (4월) : 6-29, 2007년
7 정현미, "의료과오의 형사법적 책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8
8 한경국, "의료과실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의료사고에 관한 제문제" 법원행정처 27 : 465-494,
9 이경환, "설명의무의 법제화에 대하여" 청년의사 2007.4.11
10 안법영, "산부인과 진료와 의사의 주의의무 - 대법원판결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의료법학회 49-94,
1 신동일, "형법상 의료행위와 ′설명의무′" 통 (통): 221-242,
2 이덕환, "의사의 설명의무와 법적 책임론" 153-185, 행법사;1992.이상돈
3 김영환, "의료행위의 형법상 취급" 9,통 (9,통): 5-26, 1998
4 이상돈, "의료행위의 법제화와 형법. - 의료분쟁조정법안의 기본구상에 대한 법사회학적 비판-"
5 신현호, "의료소송총론" 육법사 2000
6 대한변호사협회, "의료법 개정 관련 좌담회" (4월) : 6-29, 2007년
7 정현미, "의료과오의 형사법적 책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8
8 한경국, "의료과실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의료사고에 관한 제문제" 법원행정처 27 : 465-494,
9 이경환, "설명의무의 법제화에 대하여" 청년의사 2007.4.11
10 안법영, "산부인과 진료와 의사의 주의의무 - 대법원판결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의료법학회 49-94,
11 Giesen, "Zwischen ?rztlichem Paternalismus und Selbstbestimmungsrecht des Patienten" Festschrift f?r Jo′zef Skapski 1994..
12 Laufs, Adolf · Uhlenbruck, "Wilhelm" C.H.Beck Verlag 1999
13 Engish, "Warum ist der ?rztlicher Eingriff nicht als K?rperverletzung anzusehen?" Berliner ?rzteblatt -603,
14 Rothman, "Strangers at the Beside A History of How Law and Ethics Transformed Medical Decision-Making" Basic Books 1991..
15 Albin, "Recht und Medizin."
16 O′Neill, "Onora, Autonomy and Trust in Bioeth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7 Haker, Hille, "Narrative Bioethik" Ethik und Behinderung, LIT Verlag 238-268, 2005
18 Wachsmuth, "Der unheilvolle Weg in die Medizin" 75-, 1981
19 J, "Der Arzt und die Wahrheit am Krankenbett ?rztliches Urteilen und Handeln" -213,
20 Wolfslast, Gabriele, "Aufkl?rungspflicht zwischen Informationsrecht und begrenzter Belastbarkeit des Patienten" 4 : 315-325,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