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고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대응투자를 요구하고 있는 출연금사업들의 지방비 대응비율 현황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들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여 보았다. 문제점으로는, 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86106
2006
-
350
KCI등재
학술저널
1-26(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고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대응투자를 요구하고 있는 출연금사업들의 지방비 대응비율 현황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들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여 보았다. 문제점으로는, 우...
본 고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대응투자를 요구하고 있는 출연금사업들의 지방비 대응비율 현황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들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여 보았다. 문제점으로는, 우선 동일 사업 내에서도 지역별, 사업별 대응 비율이 차이를 보이는 사업들이 많다는 점을 들 수 있겠다. 둘째, 사업에 따라 지방비, 혹은 민간의 대응투자비율이 정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에 비해 훨씬 상회하는 사업들이 많아 지방재정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사사업 간의 대응 비율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제시하였다.<BR> 현황분석 결과 출연금사업은 국고보조금사업에 비해 유형화가 용이한 것으로 판단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세부사업의 유형을 인프라구축(건축 및 장비구축), 연구(기술)개발, 인력양성 등과 기타(해외마케팅, 운영지원, 정보화구축 등)로 구분하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유사 세부사업 간의 대응 비율의 중간값을 각 세부사업의 기준 대응 비율로 제시해 보았다. 또한 여러 세부사업을 패키지화하여 대응 비율을 제시하는 경우 각 사업의 성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적정한 비율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과 기준 대응 비율의 적용에 있어서 각 소관부처에 어느 정도의 자율성이 부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단 각 부처에 지나치게 큰 자율성을 부여한다면 사업별, 지역별 대응 비율의 지나친 차이를 나타내게 함으로써 비형평성의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고 과중한 지방비 부담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어느 정도의 제한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주민기피시설 입지선정 관련 집단민원 갈등관리 방안 - 제천시자원관리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에서의 책임운영 적용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교 각 단위기관 ‘자율운영제도’ 구축에서의 주요이슈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