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EA 비즈니스 아키텍처 개념의 개방과 확대에 대한 제언 = Liberating and Reviving the Concept of EA Business Architec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180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erformance of Enterprise Architecture (EA) in the Korea’s public IT domain produces mixed results and responses. On the one hand, EA earns positive remarks and enthusiasm as a central government-wide IT governance framework with its significant IT budget saving record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response to EA at the department and agency level is tainted with disappointment, fatigue, and reluctance. This essay suggests that this is perhaps caused by the sterile lackluster concept of EA Business Architecture employed in the current EA practice of the enterprise. The possibility for liberating and reviving the concept of EA Business Architecture is explored. Various conceptual axes and branches of EA Business Architecture are identified based upon extensive EA field experience and observations, and discussions are made on how the concept of EA Business Architecture can be expanded and amplified on those conceptual axes and branched. The resulting EA Business Architecture conceptualization is consolidated into an illustrative typology for EA Business Architecture. In the e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discussed along with its contribution and limitation.
      번역하기

      The performance of Enterprise Architecture (EA) in the Korea’s public IT domain produces mixed results and responses. On the one hand, EA earns positive remarks and enthusiasm as a central government-wide IT governance framework with its significant...

      The performance of Enterprise Architecture (EA) in the Korea’s public IT domain produces mixed results and responses. On the one hand, EA earns positive remarks and enthusiasm as a central government-wide IT governance framework with its significant IT budget saving record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response to EA at the department and agency level is tainted with disappointment, fatigue, and reluctance. This essay suggests that this is perhaps caused by the sterile lackluster concept of EA Business Architecture employed in the current EA practice of the enterprise. The possibility for liberating and reviving the concept of EA Business Architecture is explored. Various conceptual axes and branches of EA Business Architecture are identified based upon extensive EA field experience and observations, and discussions are made on how the concept of EA Business Architecture can be expanded and amplified on those conceptual axes and branched. The resulting EA Business Architecture conceptualization is consolidated into an illustrative typology for EA Business Architecture. In the e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discussed along with its contribution and limit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부와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한 국내 EA 추진에 대한 평가는 복합적이다. 범 정부 차원의 국가정보화 거버넌스 체계로서의 EA에 대한 평가는 정보화 예산절감 등의 외형적 성과지표를 토대로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반면 개별 부처와 기관의 실제 EA 추진 현장에서 관찰되는 EA에 대한 평가는 효용에 대한 실망과 제도적 강제에 대한 피로감 등이 혼재되어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개별 부처 기관의 EA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EA 기반 국가정보화 체계의 근간을 흔드는 잠재적 위험요소로 발전할 수 있음을 경계하고 그 원인과 해결의 단초를 엔터프라이즈가 가진 EA 비즈니스 아키텍처 개념에서 찾기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현재 엔터프라이즈가 견지하는 EA 비즈니스 아키텍처에 대한 사고의 경직성을 지적하고 그 개념의 개방과 확대를 통해 비즈니스 아키텍처와 EA 전반에 대한 신뢰와 열정의 회복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실제 EA 구축 현장에서의 관찰과 경험을 토대로 EA 비즈니스 아키텍처 개념을 구성하는 제반 개념적 축과 분기점들을 도출하고 각 축과 분기점에서 비즈니스 아키텍처 개념이 어떻게 개방 확대될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아울러 이를 토대로 몇 개의 EA 비즈니스 아키텍처 개념 유형을 예시적으로 도출한다. 끝으로 이러한 EA 비즈니스 아키텍처 개념의 개방과 확대가 가진 이론적 실천적 의미와 시사점을 논하고 의의와 한계를 제시한다
      번역하기

      정부와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한 국내 EA 추진에 대한 평가는 복합적이다. 범 정부 차원의 국가정보화 거버넌스 체계로서의 EA에 대한 평가는 정보화 예산절감 등의 외형적 성과지표를 토대로...

      정부와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한 국내 EA 추진에 대한 평가는 복합적이다. 범 정부 차원의 국가정보화 거버넌스 체계로서의 EA에 대한 평가는 정보화 예산절감 등의 외형적 성과지표를 토대로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반면 개별 부처와 기관의 실제 EA 추진 현장에서 관찰되는 EA에 대한 평가는 효용에 대한 실망과 제도적 강제에 대한 피로감 등이 혼재되어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개별 부처 기관의 EA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EA 기반 국가정보화 체계의 근간을 흔드는 잠재적 위험요소로 발전할 수 있음을 경계하고 그 원인과 해결의 단초를 엔터프라이즈가 가진 EA 비즈니스 아키텍처 개념에서 찾기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현재 엔터프라이즈가 견지하는 EA 비즈니스 아키텍처에 대한 사고의 경직성을 지적하고 그 개념의 개방과 확대를 통해 비즈니스 아키텍처와 EA 전반에 대한 신뢰와 열정의 회복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실제 EA 구축 현장에서의 관찰과 경험을 토대로 EA 비즈니스 아키텍처 개념을 구성하는 제반 개념적 축과 분기점들을 도출하고 각 축과 분기점에서 비즈니스 아키텍처 개념이 어떻게 개방 확대될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아울러 이를 토대로 몇 개의 EA 비즈니스 아키텍처 개념 유형을 예시적으로 도출한다. 끝으로 이러한 EA 비즈니스 아키텍처 개념의 개방과 확대가 가진 이론적 실천적 의미와 시사점을 논하고 의의와 한계를 제시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진명, "활용을 고려한 요구사항 기반 EA 구축방안 연구" 7 (7): 2010

      2 전성현, "활용 관점에서 본 EA 추진전략" 한국ITA학회 5 (5): 21-30, 2008

      3 "한국정보화진흥원"

      4 한국정보화진흥원, "제 5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안"

      5 박동준, "엔터프라이즈 전략 아키텍처에 관한연구: 전략충돌과 전략 사일로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아키텍처프레임워크와대응방안을중심으로" 6 (6): 2009

      6 손정순,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지향 모델 개발: 연계와 통합 관점에서 본 엔터프라이즈 현재와 미래 아키텍처 사상" 한국경영정보학회 12 (12): 1-23, 2010

      7 신동익,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연구방법론 연구: 참조학술분야의 연구문헌 조사를 통한 비교 및 연계" 한국ITA학회 6 (6): 149-159, 2009

      8 신동익,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심사 모델 연구: 주요성공요인과 정보화경영 모델" 한국ITA학회 8 (8): 317-331, 2011

      9 김성근, "문헌조사를 통한 국내외 Enterprise Architecture 연구 동향" 한국ITA학회 7 (7): 63-76, 2010

      10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정보화 투자의 특성과 시사점:지난 10년 간(‘04년~’13년) 정보화 투자현황을 중심으로" 2013

      1 최진명, "활용을 고려한 요구사항 기반 EA 구축방안 연구" 7 (7): 2010

      2 전성현, "활용 관점에서 본 EA 추진전략" 한국ITA학회 5 (5): 21-30, 2008

      3 "한국정보화진흥원"

      4 한국정보화진흥원, "제 5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안"

      5 박동준, "엔터프라이즈 전략 아키텍처에 관한연구: 전략충돌과 전략 사일로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아키텍처프레임워크와대응방안을중심으로" 6 (6): 2009

      6 손정순,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지향 모델 개발: 연계와 통합 관점에서 본 엔터프라이즈 현재와 미래 아키텍처 사상" 한국경영정보학회 12 (12): 1-23, 2010

      7 신동익,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연구방법론 연구: 참조학술분야의 연구문헌 조사를 통한 비교 및 연계" 한국ITA학회 6 (6): 149-159, 2009

      8 신동익,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심사 모델 연구: 주요성공요인과 정보화경영 모델" 한국ITA학회 8 (8): 317-331, 2011

      9 김성근, "문헌조사를 통한 국내외 Enterprise Architecture 연구 동향" 한국ITA학회 7 (7): 63-76, 2010

      10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정보화 투자의 특성과 시사점:지난 10년 간(‘04년~’13년) 정보화 투자현황을 중심으로" 2013

      11 김성근, "국가정보화 거버넌스 체계정립을 위한 EA 노력의 변화 분석" 한국정보화진흥원 17 (17): 21-35, 2010

      12 이재두, "공공부문 EA 추진성과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ITA학회 9 (9): 155-166, 2012

      13 "http://www.zachmaninternational.com"

      14 Birkinshaw, J., "What is Your Management Model?" 50 (50): 2009

      15 Sanberg, J., "Ways of Constructing Research Questions: Gap-Spotting or Problematization?" 18 (18): 2011

      16 The Open Group, "The Open Group Architecture Framework (TOGAF) Version 9.1"

      17 Frery, F., "The Fundamental Dimensions of Str" 48 (48): 2006

      18 Gartner, "The Business Architecture Viewpoint: Defining the Bricks" 2007

      19 Henderson, J. C., "Strategic Alignment: Leveraging information technology for transforming organization" 32 (32): 1993

      20 Johnson, M. W., "Reinventing Your Business Model" 2008

      21 "OMB"

      22 Gartner, "Findings From the Open Group EA Conference: No Enterprise Business Architecture Definition" 2008

      23 Zachman, J., "Extending and Formalizing the Framework for Information Systems Architecture" 31 (31): 1992

      24 Whittle, R.A., "Enterprise Business Architecture: The Formal Link between Strategy and Results" Auerbach 2005

      25 Ross, J.W., "Enterprise Architecture as Strategy: Creating a Foundation for Business Executi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6

      26 Spewak, S. H, "Enterprise Architecture Planning: Developing a Blueprint for Data, Application, Technology" John Wiley and Sons 1992

      27 전성현, "EA에 대한 상황적 이해 -엔터프라이즈 복잡성 문제 관점에서-" 한국ITA학회 5 (5): 35-51, 2008

      28 김찬회, "EA기반 정보자원 통합 추진 및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산림청을 중심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 20 (20): 86-105, 2013

      29 김인규, "EA 활용을 위한 접근 방법 비교" 한국ITA학회 6 (6): 43-54, 2009

      30 전성현, "EA 아키텍처의 두 얼굴" 한국ITA학회 4 (4): 9-17, 2007

      31 Gartner, "EA Framework Approaches to Business Context" 2006

      32 Wagter, R., "Dynamic Enterprise Architecture" Wiley 2005-, 2005

      33 Gamma, E, "Design Patterns" Addison Wesley 1995

      34 Collis, D. J., "Can You Say What Strategy Is?" 2008

      35 Shpilberg, D, "Avoiding the Alignment Trap in IT" (Fall) : 2007

      36 Alexander, C., "A Pattern Language: Towns, Buildings"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37 Zachman, J., "A Framework for Information System Architecture" 26 (26): 1987

      38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2013

      3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년 10대 국가정보화 트렌드" 동향분석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ITA학회 ->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 -> Korea Institute of Enterprise Architectu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기술아키텍처 연구 -> 정보화연구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5 0.571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