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모바일 시대에 따른 모바일 홍보가 대세이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수의 관광객들은 관광브로슈어를 통해 관광정보를 얻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광브로슈어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1864
-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모바일 시대에 따른 모바일 홍보가 대세이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수의 관광객들은 관광브로슈어를 통해 관광정보를 얻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광브로슈어의 ...
현재 모바일 시대에 따른 모바일 홍보가 대세이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수의 관광객들은 관광브로슈어를 통해 관광정보를 얻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광브로슈어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와 관광브로슈어의 언어적·시각적 메시지 요소가 관광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험설계가 병행되었으며, 실험설계는 사전 사후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대상은 안동시 관광브로슈어이며, 피실험자는 200명의 대학생이었다. 실험기간은 2016년 4월 25일 부터 5월 23일 까지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광브로슈어의 노출은 긍정적인 커뮤니케이션 효과가 있었다. 관광브로슈어의 언어적·시각적 메시지 요소는 모두 관광태도(인지적, 감성적, 행동적)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어적 요소와 시각적 메시지 요소에 대한 태도 변화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언어적 요소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광목적지에서는 관광브로슈어의 긍정적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상기해야 한다. 더불어 관광브로슈어 제작자는 관광브로슈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확신을 가져야 한다. 또한 효과적인 관광브로슈어를 위해 관광브로슈어 제작 시에는 언어적 메시지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mobile promotion is a popular trend in the mobile age. However, many tourists still collet tourist information through tourist brochures. Thu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munication effects of tourism brochure and the impacts of verbal ...
Currently, mobile promotion is a popular trend in the mobile age. However, many tourists still collet tourist information through tourist brochures. Thu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munication effects of tourism brochure and the impacts of verbal and visual components of travel brochure on tourists' attitude change. A combination of secondary research and experimental design used for this study. A pretest-post test design was employed. Object of this study was travel brochures of Andong and the subjects were 200 university students. The experimental period was from April 25, 2016 to May 23, 2016. The highlight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xposure to the tourism brochure positively influenced the respondents' attitude toward the travel destination. The components verbal and visual component per se positively influenced tourists' attitude(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change of travel brochure. Also attitude change toward verbal and visual components was found different and the respondent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verbal compon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ecall the positive communication effects of tourism brochures at tourist destinations. In addition, producers of tourism brochures should be confident in the effective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