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李民寏, "李民寏" 민족문화추진회 1992
2 장효현, "형성기 고전소설의 현실성과 낭만성 문제" 10 : 113-135, 1997
3 박재연, "한문필사본 <金英哲傳>"
4 엄태식, "한문필사본 <崔陟傳>"
5 박희병, "한국한문소설 교합구해" 소명출판 115-451, 2005
6 "한국고전종합DB"
7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 교학연구사 1-258, 1983
8 양승민, "최척전의 창작동인과 소통과정" 한국고소설학회 9 : 67-113, 2000
9 김재수, "최척전의 소설화 과정" 광주교육대학 26 : 1-29, 1985
10 김문희, "최척전의 가족 지향성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6 : 178-183, 2000
11 신해진, "최척전에서의 장육불의 기능과 의미"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회 35 : 362-369, 1996
12 박태상, "최척전에 나타난 애정담과 전쟁담 연구, In 조선조 애정소설 연구" 태학사 297-352, 1996
13 강진옥, "최척전에 나타난 고난과 구원의 문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8 : 239-252, 1986
14 민영대, "최척전고" 한국고소설학회 6 : 253-254, 1998
15 김현양, "최척전, 희망과 연대의 서사, In 한국 고전소설사의 거점" 보고사 95-100, 2
16 박희병, "최척전, In 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95-100, 1990
17 정명기, "최척전, In 고전소설연구" 일지사 883-898, 1993
18 민영대, "최척전 연구사, In 고소설연구사" 월인 151-169, 2002
19 민영대, "조위한의 삶과 문학" 국학자료원 1-552, 2000
20 민영대, "조위한과 최척전" 아세아문화사 1-367, 1993
21 김대현, "조선시대 소설사 연구" 국학자료원 1-72, 1996
22 권혁래, "조선 후기 역사소설의 성격" 박이정 75-79, 2000
23 박희병, "전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돌베개 15-66, 2007
24 김경미, "전기소설의 젠더화된 플롯과 닫힌 미학을 넘어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 : 213-242, 2010
25 김종철, "전기소설의 전개 양상과 그 특성"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8 : 1-46, 1995
26 이정원, "전기소설에서 ‘전기성’의 변천과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6 (6): 363-392, 2003
27 안동림, "장자" 현암사 646-763, 1998
28 박일용, "장르론적 관점에서 본 최척전의 사회적 성격, In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40-166, 1993
29 장경남, "임진왜란 실기의 소설적 수용 양상 연구" 국어국문학회 131 : 373-402, 2002
30 김진규, "임란 포로소설 연구-최척전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11 : 352-357, 1998
31 임형택, "이조시대 서사시, 하" 창작과비평사 45-51, 1992
32 이혜순, "열녀전의 입전의식과 그 사상적 의의, In 조선시대의 열녀담론" 월인 21-24, 2002
33 강명관, "열녀의 탄생" 돌베게 241-349, 2009
34 심경호, "여행과 동아시아 고전문학" 고려대학교출판부 1-101, 2011
35 엄태식, "애정전기소설의 창작 배경과 양식적 특징" 경원대학교 대학원 2010
36 간호윤, "선현유음, 이회" 영인 15-102, 2003
37 김기동, "불교소설 최척전 소고"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1 : 177-190, 1974
38 소재영, "기우록과 피로문학, In 임병양란과 문학의식" 한국연구원 267-285, 1980
39 장효현, "교감본 한국한문소설 전기소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53-217, 2007
40 李德懋, "靑莊館全書" 민족문화추진회 2000
41 梁慶遇, "霽湖集, In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73" 민족문화추진회 1991
42 "輿地圖書" 국사편찬위원회 1973
43 진재교, "越境과 敍事 - 동아시아의 서사 체험과 ‘이웃’의 記憶- 「崔陟傳」 독법의 한 사례 -" 한국한문학회 (46) : 129-162, 2010
44 鄭泰齊, "菊堂排語"
45 王先謙, "莊子集解, In 莊子集解․莊子集解內篇補正" 中華書局 1987
46 趙緯韓, "玄谷集," 민족문화추진회 1991
47 趙纘韓, "玄洲集" 민족문화추진회 1991
48 趙世衡, "漢陽趙氏玄洲公派世譜" 大同印刷所 1956
49 朱熹, "楚辭集注" 上海古籍出版社;安徽敎育出版社 2001
50 具鳳齡, "栢潭集, In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39" 민족문화추진회 1989
51 柳夢寅, "於于集 附於于野談" 경문사 1979
52 李民宬, "敬亭集" 민족문화추진회 1991
53 李昉, "太平廣記" 中華書局 1961
54 李京雨, "初期野譚의 文學性에 관한 硏究 : 「於干野譚」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55 이종필, "‘행복한 결말’의 출현과17세기 소설사 전환의 일 양상"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0 : 79-111, 2011
56 권혁래, "<최척전>의 문학지리학적 해석과 소설교육" 한국국어교육학회 (81) : 23-44, 2009
57 장효현, "<崔陟傳>의 창작 기반"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 : 149-165, 2006
58 오춘택, "17세기의 소설비평"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회 35 : 1-255, 1996
59 최웅권, "17세기 한문소설집 화몽집 교주" 소명출판 11-26, 2009
60 조현설, "17세기 전기·몽유록에 나타난 타자 연대와 서로주체성의 의미" 국문학회 (19) : 5-26, 2009
61 장경남, "17세기 열녀 담론과 소설적 대응" 민족문학사학회 47 (47): 108-137, 2011
62 황윤실, "17세기 애정전기소설에 나타난 여성주체의 욕망발현 양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0
63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 1-324, 1999
64 정환국, "17세기 애정류 한문소설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65 최기숙, "17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유랑과 축출, 그리고 귀환의 서사" 한국고전문학회 (38) : 37-74, 2010
66 정환국, "17세기 實記類와 小說의 거리 -전후 소설사의 흐름과 관련하여" 우리한문학회 7 (7): 101-128, 2002
67 한의숭, "17세기 傳奇小說의 낭만성과 현실성, 통속성에 대한 논의와 작품의 실제" 인문과학연구소 (51) : 149-172,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