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공지능을 활용한 대기질 예측 모델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시계열 데이터 기반 예측 시스템 개발에 장점을 가진 DNN, LSTM 알고리즘을 활용한 다양한 예측 시스템이 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95747
2020
-
500
학술저널
577-579(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인공지능을 활용한 대기질 예측 모델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시계열 데이터 기반 예측 시스템 개발에 장점을 가진 DNN, LSTM 알고리즘을 활용한 다양한 예측 시스템이 제...
최근 인공지능을 활용한 대기질 예측 모델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시계열 데이터 기반 예측 시스템 개발에 장점을 가진 DNN, LSTM 알고리즘을 활용한 다양한 예측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STM을 활용한 모델과 Fully-Connected 기반의 DNN 모델을 활용한 대기질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고 두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비교한다. 성능 평가 결과를 보면 LSTM 모델이 DNN 모델보다 모든 면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줬다. 그리고 이산화황(SO<sub>2</sub>), 이산화질소(NO<sub>2</sub>), 초미세먼지 (PM<sub>2.5</sub>)에 대해서는 그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여행 수요 파악 및 항공 노선 전략 연구 : 웹 크롤링 기반 분석 기법
빅데이터 분석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특정 정치인의 견해와 평판에 대한 프로파일링 기술
신뢰성 있는 온라인 고객 리뷰 텍스트 마이닝 기반 식당개별 음식 아이템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