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국제화’ 담론과 현실에 대한 대학교수들의 인식과 경험:인문사회계 교수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Cognition and experience of professors on discourse and reality of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Focusing on narratives of professors in human and social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854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세계화의 진전으로 인한 고등교육체제 변화에 대한 대응전략으로서 한국사회에서 진행되어 온 ‘대학국제화’ 담론과 현실을 행위자들의 경험과 해석에 의해 그 의의와 한계를 ...

      이 연구는 세계화의 진전으로 인한 고등교육체제 변화에 대한 대응전략으로서 한국사회에서 진행되어 온 ‘대학국제화’ 담론과 현실을 행위자들의 경험과 해석에 의해 그 의의와 한계를 분석하고자 하는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가파르게 진행되어 온 대학국제화의 가장 적극적인 추진 주체인 동시에 대상인 교수들은 대학국제화 담론을 어떻게 의미화하고 경험하는지를 탐구하여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에 의해 서울과 지방에 재직하고 있는 인문사회계 교수 8명을 심층 면접하였고, 그 결과를 1) 대학국제화의 개념과 의미 2) 대학국제화 담론과 정책에 대한 평가 3) 대학국제화 방향성4) 개인적인 대응방식 4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학교수들은 대학국제화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한국사회에서 이루어져온 대학국제화 담론과 현실의 방향성에는 다소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특히,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학국제화 담론과 현실은 구체적 내용과 지향이 없이 양적 지표에 의해서만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고, 미국화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대학교육의 본질을 흐리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한국적 혹은 지역적 특성에 맞는 대학국제화 모델을 창출해야 한 다는 입장을 보여주고 있었다. 한편, 대학국제화에 대한 개인적인 관점이나 입장과는 별개로 대학국제 화에 대한 개념 정의와 개인적인 대응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드러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 로 한국사회 대학국제화 담론과 정책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scourse and reality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by the experience of actors, university professors in human and social studies.That aims to discuss the signification and limitation of int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scourse and reality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by the experience of actors, university professors in human and social studies.That aims to discuss the signification and limitation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focusing on how university professors make sense of their own experience in a global context wher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education overwhelms as a dominant discourse and policy.After analyzing the participants’ narratives, their interpretation and strategy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1) concept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2) evaluation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3) orientation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4) individual strategy. Based on the result, I discussed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internationalization in the Koreanuniversity contex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앤서니 기든스, "현대 사회학" 을유문화사 2003

      2 이기정, "한국고등교육의 국제화 현황"

      3 김미란, "한국 고등교육 국제화 정책 진단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4 김태환,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2012

      5 교육과학기술부, "외국인 유학생 정책 관련 보도자료(2011. 10. 17.)"

      6 교육과학기술부, "외국인 유학생 정책 관련 보도자료(2008. 8. 14.)"

      7 전인한, "숫자만 부풀리면 국제화되나, 교육의 질이나 연구 성과 아닌 정량평가 잣대로 판단"

      8 최돈민, "세계화에 따른 교육개방현실과 대응논리"

      9 권대봉, "세계화를 위한 사회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전략" 59-83, 1995

      10 한국교육개발원, "세계의 교육동향( 2006-2007)" 2007

      1 앤서니 기든스, "현대 사회학" 을유문화사 2003

      2 이기정, "한국고등교육의 국제화 현황"

      3 김미란, "한국 고등교육 국제화 정책 진단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4 김태환,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2012

      5 교육과학기술부, "외국인 유학생 정책 관련 보도자료(2011. 10. 17.)"

      6 교육과학기술부, "외국인 유학생 정책 관련 보도자료(2008. 8. 14.)"

      7 전인한, "숫자만 부풀리면 국제화되나, 교육의 질이나 연구 성과 아닌 정량평가 잣대로 판단"

      8 최돈민, "세계화에 따른 교육개방현실과 대응논리"

      9 권대봉, "세계화를 위한 사회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전략" 59-83, 1995

      10 한국교육개발원, "세계의 교육동향( 2006-2007)" 2007

      11 교육혁신위원회, "미래교육비전과 전략"

      12 손준종, "미국 고등교육의 기업화 과정 분석: 그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육사회학회 14 (14): 101-128, 2004

      13 이두휴,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대응하는 고등교육의 개혁방안" 11 (11): 105-125, 2002

      14 손준종, "교육정책과 수의 지배: 신자유주의적 통치 양식으로서 수량화 비판" 한국교육사회학회 22 (22): 109-139, 2012

      15 변기용, "고등교육 분야의 국제교류 협력촉진을 위한 추진 전략 연구: 대학의 특성과 역량에 따른 국제화 대응 양상과 전략 분석" 고려대 고등교육정책연구소 2013

      16 엄상현, "고등교육 국제화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42) : 123-155, 2012

      17 최정윤, "고등교육 국제화 지표 및 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18 "http://weekly.donga.com/docs/magazine/weekly/2012/07/02/201207020500020/201207020500020_1.html"

      19 Carnoy, M., "What does globalisation mean for educational change? a comparative approach" 46 (46): 1-9, 2002

      20 Ishikawa, M., "University ranking, global model and emerging hegemony : critical analysis form Japan" 13 (13): 159-173, 2009

      21 Cho, Y. H., "Stakeholders’ views of South Korea’s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policy" 65 (65): 291-308, 2013

      22 John D. Palmer, "South Korean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policie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교육연구소 13 (13): 387-401, 2012

      23 Beillerot, J., "Savoir et rapport au savoir" éd. Universitaires 1989

      24 Mazzarol, T., "Push-pull factors influencing international student destination choice" 16 : 82-90, 2002

      25 Yeoh, B., "Preface of proceedings" 2012 Jointly organized by the Asia Research Institut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and GUISM 2012

      26 Seid. E, "Orientalism" Pantheon 1978

      27 Appadurai, A., "Modernity at Large : Cultural dimensions of Globalis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6

      28 Paille, P., "L’analyse qualitative en SSCIences humaines et sociales" Armand colin 2003

      29 Cornwell, Grant H., "Globalizing Knowledge: Connecting international and intercultural studies" Association of American Colleges and Universities 1999

      30 Scott, P., "Globalisation and higher education :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4 (4): 3-10, 2000

      31 Tikly, L., "Globalisation and education in the postcolonial world: Towards a conceptual framework" 37 (37): 151-171, 2001

      32 Marginson, S., "Globalisation and Higher Education" OECD Publishing 2007

      33 Marginson, S., "Global field and global imagining: Bourdieu and worldwide higher education" 29 (29): 303-315, 2008

      34 Knight, J., "GATS and crossborder education: Developments and implications in Asia-Pacific" 2005

      35 Mosconi, N., "Formation et formations du Rapport au savoir" L’Harmattan 2000

      36 Marginson, S., "Dynamics of national and global competition in higher education" 52 : 1-39, 2006

      37 Abelmann, N., "College ranking and neo-liberal subjectivity in South Korea :the burden of self-development" 10 (10): 229-247,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69 2.04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