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현대국어에서 볼 수 있는 몇 가지 형태, 음운론적인 현상에 대해서 최척성 이론이 보여주는 이론적 접근 방법이 지금까지 제시되 었던 다른 이론적 접근 방법에 비하여 어떠한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현대국어에서 볼 수 있는 몇 가지 형태, 음운론적인 현상에 대해서 최척성 이론이 보여주는 이론적 접근 방법이 지금까지 제시되 었던 다른 이론적 접근 방법에 비하여 어떠한 이...
이 글은 현대국어에서 볼 수 있는 몇 가지 형태, 음운론적인 현상에
대해서 최척성 이론이 보여주는 이론적 접근 방법이 지금까지 제시되
었던 다른 이론적 접근 방법에 비하여 어떠한 이점을 가질 수 있는가
를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특히, 최적성 이론의 가장 중요한 이론적 특
징인 제약과 제약의 등급에 관한 문제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앞서 논의된 것처럼, 주격조사의 이형태 선택과 반모음화 현상, 그
리고 방언적 차이에 따르는 음운론적, 형태론적 특징에 대해서는 지금
까지 다양한 논의가 있어 왔지만 여전히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들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비하여 최적성 이론에서는 그것의 형태론적, 음운론적 특징과
는 무관하게 제약의 설정과 그 제약들의 등급화를 통해 일률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태도는 체계 내적으로 보다 안정되고 통일
된 모습을 유지할 수 있으며, 현상에 대한 일관된 설명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또한 언어습득이라는 문제를 보다 구체적이고 적절하게 설명
해 줄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질 수 있었다.
그 반면에 최적성 이론은 이론의 핵심이 제약과 그들 제약 사이의
등급인 만큼 설정된 제약의 타당성과 실재성, 그리고 설정된 이들 제
약의 등급 등이 적절한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양한 실재적인 증거를
바탕으로 하여 우선적으로 논의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우리는 초기 생성음운론 이후 최적성 이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론적 발달 과정을 목격하였다. 이들 이론이 부침을 겪는 사
이에 이제 최적성 이론이라는 새로운 이론이 등장하였고, 최적성 이론
은 현재 통어론, 형태론, 의미론 할 것 없이 문법의 하위부문 전체에
걸쳐 새롭게 적용되고 있다. 이는 최적성 이론의 새로운 시도라 할수
있으며, 따라서 그 가능성은 현재 적극적으로 모색되는 중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성(1999)에서 지적한 것처럼 ‘많은 경우에 주어진 제
약의 상당수를 위반하고도 최적형(optimal form)을 선별’한다는 점에
서 최적성 이론은 여전히 다른 이론과 비교할 때 여전히 ‘최척의 이론
이 될 수 있을 듯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