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622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인성교육에 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실행여부를 조사하여 유아 창 의?인성교육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아 창의?인성교육의 방향 제시와 유아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인성교육에 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실행여부를 조사하여 유아 창 의?인성교육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아 창의?인성교육의 방향 제시와 유아 창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공?사립 유치원 교사 212명이며, 연구방법은 질문지를 이용한 조사방법이다. 질문지는 선행연구와 문헌을 토대로 제작하였 으며, 일반적 배경,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대한 총 3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 록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개념, 목적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기관 유형에 상관없이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내용, 특성과 지도방법, 세부내용의 이해 수준에서는 기관유형에서만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실행을 살펴본 결과, 창의?인성교육의 실행은 주 1회가 가장 많았고, 활동 형태는 자유선 택활동, 활동 유형은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인성교육의 실행 시 문제 점이나 필요한 지원 사항과 연수 내용으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 과는 창의?인성교육을 유아교육 현장에서 실천하기 위해 구체적인 프로그램과 교수방법의 개발 및 교 재, 교구의 보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directions for effectiv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by examining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and practices in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12 kinder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directions for effectiv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by examining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and practices in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12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at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in Gyeonggi Province. The questionnaire made up based on precedent studies and references, and consisted of 34 items on background information, perceptions and practices in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longer educational experiences as well as higher educational level showed higher perceptions on the concept and purpose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e teachers had higher perceptions on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institution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ir understanding of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methods, and detailed content about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ppeared only based on the type of organization. Second, survey data revealed that most of the teachers implemented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once a week, during the free-choice activity time, and in the form of verbal communication activity. When the kindergarten teachers were asked about problems, requests, or needs for in-service training, they mentioned the need for training on teaching strategie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that the development of concrete teaching method and the distribution of teaching materials are needed for practicing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2009

      2 구광현, "창의성교육에 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지도 실태"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43-370, 2012

      3 김한나,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4 김왕동, "창의․인성교육의 근본적 해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5 홍혜원,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와 중등교사의 인식 비교" 17 (17): 1-18, 2010

      6 박찬석, "창의․인성 교육의 도덕과 적용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0 (40): 129-152, 2012

      7 박춘성, "창의·인성의 특성과 학교에서의 발현을 위한 방안 탐색"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0 (10): 61-72, 2010

      8 김홍희,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의 개념도" 한국영재교육학회 10 (10): 49-72, 2011

      9 지예인,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박정희,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아의 창의성과 교육기관 적응의 관계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169-187, 2011

      1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2009

      2 구광현, "창의성교육에 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지도 실태"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43-370, 2012

      3 김한나,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4 김왕동, "창의․인성교육의 근본적 해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5 홍혜원,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와 중등교사의 인식 비교" 17 (17): 1-18, 2010

      6 박찬석, "창의․인성 교육의 도덕과 적용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0 (40): 129-152, 2012

      7 박춘성, "창의·인성의 특성과 학교에서의 발현을 위한 방안 탐색"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0 (10): 61-72, 2010

      8 김홍희,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의 개념도" 한국영재교육학회 10 (10): 49-72, 2011

      9 지예인,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박정희,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아의 창의성과 교육기관 적응의 관계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169-187, 2011

      11 조난심,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개선 방향"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18, 2004

      12 한국교육학회, "인성교육" 문음사 1998

      13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2011

      14 박창현, "유치원 교사의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행"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127-143, 2012

      15 이경민,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169-193, 2006

      16 김숙자,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실태 및 요구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7-48, 2012

      17 이경민,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73-96, 2013

      18 교육과학기술부, "새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2013

      19 홍배식, "사회과교육 영역 창의인성 교육의 실제 - 일반사회 교과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16 (16): 31-61, 2010

      20 문용린,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ㆍ인성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과학창의재단 2010

      21 조벽, "나는 대한민국의 교사다: 새 시대 교육자들이 반드시 갖춰야 할 생존 전략" 해냄출판사 2010

      22 이인숙, "가정과 교육에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과 실행 : CBAM 모형에 기초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3 이인숙, "가정과 교사의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행에 대한 인식 - CBAM 모형에 기초하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4 (24): 117-134, 2012

      24 Guilford, J. P.,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McGraw Hill 1967

      25 Sawyer, R. K., "Explaining creativity: The science of human inno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26 Csikszentmihalyi, M.,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27 Weisberg, R. W., "Creativity and knowledge: A challenge to theo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6-250,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1 1.6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 1.654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