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령자의 건강문제가 본인과 배우자의 노동 공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ealth Problems on Old Aged Couples` Labor Supply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530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령자의 건강문제가 가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건강문제가 부부의 노동 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주관적 도구로 건강문제를 측정할 ...

      본 연구는 고령자의 건강문제가 가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건강문제가 부부의 노동 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주관적 도구로 건강문제를 측정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정당화 편의(justification bias)를 방지하고자, 최근 2년간 새롭게 진단받은 암, 뇌혈관질환, 낙상사고 등 11개 질병 및 사고와 ADL 지수의 변화로 건강문제를 측정하였다. 고령화연구패널 1~5차에 응한 남성 기준 4,220쌍, 여성기준 2,507쌍을 대상으로 1차 차분모델을 적용하고 프로빗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과 같은 중증질환은 본인의 노동 공급을 유의하게 줄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건강문제는 배우자의 노동 공급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남성의 경우 아내의 건강 악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여성의 경우 남편이 아플 때 노동 공급을 중단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성별분업론을 지지하는 결과로, 여성은 돌봄 역할을 위해 노동공급을 중단하면서 노후 빈곤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건강문제의 부정적인 영향을 보완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elderly people`s health problems on their own and their spouse`s labor supply. To control the possible justification bias caused by subjective health measures, it defines health problems as 11 kinds of diagnosed...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elderly people`s health problems on their own and their spouse`s labor supply. To control the possible justification bias caused by subjective health measures, it defines health problems as 11 kinds of diagnosed diseases and changes in ADL index. Using 1st-5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Panel and first differencing model, it conducted probit analysis on 4,220 couples (based on men sample) and 2,507 couples (women sample). The results revealed that health problems significantly reduced the one`s own labor supply. The effect of spouse`s health problems shows the contrast between gender and age groups. While no effect is observed for men, women is more likely exit from labor market due to the spouse`s health problems. These results support the gender role theory which explains that women bear the caring role in household. It also implies that women may face the high risk of poverty in later life due to the short labor suppl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possible policy tools to compensate the negative effect of health problems on aged couples` household econom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혜경, "한국인 중.고령자의 건강상태와 조기은퇴" 한국노년학회 33 (33): 397-418, 2013

      2 김안나, "한국사회 여성빈곤과 빈곤대책" 26 (26): 37-68, 2006

      3 우국희, "취업노인의 직장 내 연령차별 경험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9 (39): 281-304, 2012

      4 김대환, "중증질환으로 인한 소득상실리스크와 정책적 시사점" 한국보험학회 (102) : 39-58, 2015

      5 이석구, "종합병원 입원환자들의 가족 간병실태에 대한 연구" 25 (25): 117-128, 1998

      6 지은정, "의료비 지출이 종사상 지위 및 소득변화에 미치는 요인요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5-35, 2004

      7 황나미, "의료기관 간병서비스 제도화 쟁점분석과 과제" 170 : 60-71, 2010

      8 홍백의, "은퇴결정에 대한 배우자의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503-522, 2009

      9 석상훈, "은퇴가 건강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1 (11): 81-102, 2011

      10 장지연, "우리나라 중ㆍ노년 인구의 건강상태" 30 (30): 45-69, 2007

      1 우혜경, "한국인 중.고령자의 건강상태와 조기은퇴" 한국노년학회 33 (33): 397-418, 2013

      2 김안나, "한국사회 여성빈곤과 빈곤대책" 26 (26): 37-68, 2006

      3 우국희, "취업노인의 직장 내 연령차별 경험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9 (39): 281-304, 2012

      4 김대환, "중증질환으로 인한 소득상실리스크와 정책적 시사점" 한국보험학회 (102) : 39-58, 2015

      5 이석구, "종합병원 입원환자들의 가족 간병실태에 대한 연구" 25 (25): 117-128, 1998

      6 지은정, "의료비 지출이 종사상 지위 및 소득변화에 미치는 요인요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5-35, 2004

      7 황나미, "의료기관 간병서비스 제도화 쟁점분석과 과제" 170 : 60-71, 2010

      8 홍백의, "은퇴결정에 대한 배우자의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503-522, 2009

      9 석상훈, "은퇴가 건강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1 (11): 81-102, 2011

      10 장지연, "우리나라 중ㆍ노년 인구의 건강상태" 30 (30): 45-69, 2007

      11 장미혜, "여성노인의 빈곤원인에 대한 생애사적 규명" 한국사회학회 443-458, 2013

      12 김지경, "성별 은퇴사유와 은퇴 후 소득 비교" 한국사회보장학회 21 (21): 55-76, 2005

      13 신기철, "상병소득보장제도 충실화 방안 연구 (급여소득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133-156, 2011

      14 함선유, "부부은퇴의 상호의존성 연구 - 배우자의 은퇴여부 및 은퇴자발성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7 (67): 281-303, 2015

      15 Mankiw, N. G., "맨큐의 경제학" 센게이지러닝코리아(주) 2013

      16 김경휘, "노인의 고용이행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1-34, 2011

      17 오영희, "노인의 건강실태와 정책과제" 223 : 29-39, 2015

      18 이기주, "국민연금제도가 중고령 남성 임금근로자의 은퇴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55-88, 2011

      19 김원섭, "국민연금이 중고령 남성의 은퇴에 미치는 효과와 정책적 함의"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5) : 111-139, 2008

      20 조동훈, "고령자 은퇴시점 결정요인 분석: 세대별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4 (24): 47-66, 2014

      21 Zhu, Rong., "The labour force participation of Australian mature-aged men:the role of spousal participation" National Centre for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014

      22 Lundberg, S., "The added worker effect" 11-37, 1985

      23 Li, Y., "The Insurance Role of Household Labor Supply for Older Workers" Michigan Retirement Research Center 2014

      24 Radl, J., "The Influence of Marital Status and Spousal Employment on Retirement Behavior in Germany and Spain" 37 (37): 361-387, 2015

      25 Johnson, R. W., "Retiring together or working alone: The impact of spousal employment and disability on retirement decisions" Urban Institute 2001

      26 Hospido, L., "Retirement patterns of couples in Europe" 2014

      27 Gustman, A. L., "Retirement in Dual‐Career Families : A Structural Model" 18 (18): 503-545, 2000

      28 Henretta, J. C., "Retirement Reason Versus Retirement Process: Examining the Reasons for Retirement Typology" 47 (47): S1-S7, 1992

      29 OECD., "OECD Pension at a Glance 2013" OECD Publishing 2013

      30 OECD., "OECD Pension at a Glance 2011" OECD Publishing 2011

      31 OECD., "OECD Health at a Glance 2013" OECD Publishing 2013

      32 Ehrenberg, R. G., "Modern labor economics: theory and public policy" Pearson Education, Inc 2012

      33 Borjas, G. J., "Labor Economics" The McGraw-Hill Irwin 2005

      34 McGeary, K. A., "How do health shocks influence retirement decisions?" 7 (7): 307-321, 2009

      35 England, P., "Households, Employment, and Gender" Aldine de Gruyter 1986

      36 Jiménez-Martín, S., "Health status and retirement decision for older european couples" 1999

      37 Coile, C., "Health shocks and couples' labor supply decisions"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04

      38 Dwyer, D. S., "Health problems as determinants of retirement: Are self-rated measures endogenous?" 18 (18): 173-193, 1999

      39 Guo, D., "Happy Together Or Home Alone: A Structural Model Of The Role Of Health Insurance In Joint Retirement" 2013

      40 Ekerdt, D. J., "Frontiers of Research on Work and Retirement" 65B (65B): 69-80, 2010

      41 McClellan, M. B., "Frontiers in the Economics of Ag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1-350, 1998

      42 Ho, J. -H. ., "Expectations and realization of joint retirement among dual-worker couples" 31 (31): 153-179, 2009

      43 Cullen, J. B., "Does unemployment insurance crowd out spousal labor supply?" 18 (18): 546-572, 2000

      44 Syse, A., "Do Spouses Coordinate Their Work Exits? A Combined Survey and Register Analysis From Norway" 36 (36): 625-650, 2014

      45 박경숙, "55세 이상 고령자의 노동시장 이탈 과정; 은퇴의 유형화에 대한 함의" 3 (3): 103-140,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사회연구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SCOPUS 등재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9 1.79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16 2.4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