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갑오경장 이후 성균관경학과와 경의문대(經義問對)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① 경의문대의 시행배경 : 1869년 「태학별단」이 작성된 이후 경의문대가 시행되기까지 어떤 내력이 있었는지 파악한다.
      ② 경의문대의 시행경위 : 1896년 경의문대가 시작된 이후 1907년 「성균관사업시선규정(成均館司業試選規程)」이 제정되어 사서(四書)·삼경(三經)에 대한 문제뿐만이 아니라, 시무책(時務策)으로 내외역사(內外歷史)·내외지지(內外地誌)·경제학·법률학·정치학에서도 문제를 출제하는 것으로 바꾸고, 1908년 산수학(算數學)이 추가되기에 이르기까지 제도의 시행경위를 밝힌다.
      ③ 경의문대의 시행절차 : 학부대신에 의한 경의문대 훈령의 발포에서부터 각 지방으로의 하달 및 각 지방으로부터의 보고, 경의문대 책자의 수합 및 상송(上送), 1차 합격자 선정 및 통보, 한성에서의 2차 시험 및 최종 합격자 선정, 합격자에 대한 관직(성균관 博士 또는 司業) 서임 등 경의문대가 치러지는 일련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④ 성균관 박사(博士)·사업(司業) 출신자들의 진로 : 경의문대나 그 변용인 성균관사업시선에 합격하여 성균관 박사나 사업에 서임된 인물들이 이후로 어떤 사회적 진출을 이루고 있는지 추적 조사한다.
      ⑤ 경의문대의 시행과 관련된 전통 교육체제의 주요 학정(學政) : 경의문대 시행의 근거가 되었던 「태학규제」(1893년)나 「흥학장정」(1896년) 등의 구체적인 시행 사례들을 밝힘으로써 지금까지 제대로 알려지지 않고 있는 성균관을 정점으로 하는 전통 교육체제의 실상을 규명한다.
      번역하기

      ① 경의문대의 시행배경 : 1869년 「태학별단」이 작성된 이후 경의문대가 시행되기까지 어떤 내력이 있었는지 파악한다. ② 경의문대의 시행경위 : 1896년 경의문대가 시작된 이후 190...

      ① 경의문대의 시행배경 : 1869년 「태학별단」이 작성된 이후 경의문대가 시행되기까지 어떤 내력이 있었는지 파악한다.
      ② 경의문대의 시행경위 : 1896년 경의문대가 시작된 이후 1907년 「성균관사업시선규정(成均館司業試選規程)」이 제정되어 사서(四書)·삼경(三經)에 대한 문제뿐만이 아니라, 시무책(時務策)으로 내외역사(內外歷史)·내외지지(內外地誌)·경제학·법률학·정치학에서도 문제를 출제하는 것으로 바꾸고, 1908년 산수학(算數學)이 추가되기에 이르기까지 제도의 시행경위를 밝힌다.
      ③ 경의문대의 시행절차 : 학부대신에 의한 경의문대 훈령의 발포에서부터 각 지방으로의 하달 및 각 지방으로부터의 보고, 경의문대 책자의 수합 및 상송(上送), 1차 합격자 선정 및 통보, 한성에서의 2차 시험 및 최종 합격자 선정, 합격자에 대한 관직(성균관 博士 또는 司業) 서임 등 경의문대가 치러지는 일련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④ 성균관 박사(博士)·사업(司業) 출신자들의 진로 : 경의문대나 그 변용인 성균관사업시선에 합격하여 성균관 박사나 사업에 서임된 인물들이 이후로 어떤 사회적 진출을 이루고 있는지 추적 조사한다.
      ⑤ 경의문대의 시행과 관련된 전통 교육체제의 주요 학정(學政) : 경의문대 시행의 근거가 되었던 「태학규제」(1893년)나 「흥학장정」(1896년) 등의 구체적인 시행 사례들을 밝힘으로써 지금까지 제대로 알려지지 않고 있는 성균관을 정점으로 하는 전통 교육체제의 실상을 규명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