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만의 원인과 평가에 관한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918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인들이 실시하고 있는 건강관리의 가장 주된 관심 중 하나는 적절한 체중유지이다 이는 현대인틀이 영향의 불균형으로 인한 영양과잉으로 비만이 초래되어 혈관계질환을 비롯한 많은 만성질환을 갖고 있기 때문이며, 최근에는 소아비만의 문제도 심각한 양상을 띄고 있다 B. C. 399년 Socrates는 체중초과를 위하여 ‘공복감과 갈증이 없을 때 섭취한 음식을 조심하라’고 충고하고 있으며, 1825년 프랑스의 유명한 미식가인 Brillat-savarin은 ‘비만치료는 분별있는 식품 섭취, 적절한 수면, 말이나 발을 사용한 운동, 이 세가지를 지속적으로 실행해야 한다’고 하여 식품 섭취와 열량 소비와의 관계를 언급하고 있다)) 120년 전 영국의 내과의사인 Willam haπey가 비만환자의 체중을 조절하기 위해 식사요법을 실시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2) 그 후 많은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여 다양한 치료법이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만을 위한 획기적이고 손쉬운 치료법이 없는 상태이다.
      비만은 외모상의 문제 뿐 아니라 당뇨병, 고혈압, 심장칠환, 통풍, 관절칠환, 간장질환, 담낭질환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3) 1996년 5월 세계보건기구(WHO) 에서는 비만을 ‘치료받아야 할 질환’으로 정의하기에 이르렀다. 이제는 비만의 피해를 용모손상(Disfigurement) , 불편(Discomfort), 무능(Disabiljty), 질병(Disease), 사망(Death)의 5Ds로 나타내어 건강을 해치는 근원으로 경계하고 있다.4)
      비만치료의 목적은 적절한 식품을 선택하여 섭취하는 식습관 수정과, 본인의 체력에 맞는 규칙적인 운동을 습관화하고, 기타 비만의 요인이 되는 환경적, 생리적 요인들을 수정하여 감소시킨 체중을 평생 동안 유지하는 것이다 5) 그러나 체중 감소를 원하는 비만인들은 비만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체중을 감소시키는 대신, 빠른 체중 감소를 기대하여 식욕억제제, 단식, 특정 유행식이 (fad diets) 등을 선택함으로써 건강을 해치게 되고 체단백의 감소로 인한 기초대사량의 감소, 식습관 장애인 폭식증(Bulimia), 우울증 등을 초래하게 되기도 하는데,6) 근본적인 치료 방법을 사용하여 식습관과 행동이 수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시행하던 방법을 중단 시 체중이 다시 증가하는 문제 (Yo-yo syndrome, 지방세포가 굶주린 상태)가 생기게 된다.7) 곧, 비만의 치료는 비만으로 언하여 현재 건강상태가 위험하고, 체중 감소 후 건강 상태가 호전될 수 있으며, 합리적인 비만 치료 방법이 존재할 경우 시도해야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비만 치료 방법은 비만의 원언 및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들을 치료하며 더욱 비만해지는 것을 예방하고 체중을 서서히 감소시키며 체중감소 시 나타나는 부작용들을 치료할 수 있어야 한다.8)
      비만은 결국 평생 자신과의 투쟁이고, 모든 생활습관이 점점 비만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볼 때, 비만은 우리의 삶과 점점 밀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비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확한 비만의 원인과, 판정을 위한 평가 방법을 고찰해 보는 것은 비만 치료를 위한 준비단계의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현대인들이 실시하고 있는 건강관리의 가장 주된 관심 중 하나는 적절한 체중유지이다 이는 현대인틀이 영향의 불균형으로 인한 영양과잉으로 비만이 초래되어 혈관계질환을 비롯한 많은 ...

      현대인들이 실시하고 있는 건강관리의 가장 주된 관심 중 하나는 적절한 체중유지이다 이는 현대인틀이 영향의 불균형으로 인한 영양과잉으로 비만이 초래되어 혈관계질환을 비롯한 많은 만성질환을 갖고 있기 때문이며, 최근에는 소아비만의 문제도 심각한 양상을 띄고 있다 B. C. 399년 Socrates는 체중초과를 위하여 ‘공복감과 갈증이 없을 때 섭취한 음식을 조심하라’고 충고하고 있으며, 1825년 프랑스의 유명한 미식가인 Brillat-savarin은 ‘비만치료는 분별있는 식품 섭취, 적절한 수면, 말이나 발을 사용한 운동, 이 세가지를 지속적으로 실행해야 한다’고 하여 식품 섭취와 열량 소비와의 관계를 언급하고 있다)) 120년 전 영국의 내과의사인 Willam haπey가 비만환자의 체중을 조절하기 위해 식사요법을 실시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2) 그 후 많은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여 다양한 치료법이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만을 위한 획기적이고 손쉬운 치료법이 없는 상태이다.
      비만은 외모상의 문제 뿐 아니라 당뇨병, 고혈압, 심장칠환, 통풍, 관절칠환, 간장질환, 담낭질환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3) 1996년 5월 세계보건기구(WHO) 에서는 비만을 ‘치료받아야 할 질환’으로 정의하기에 이르렀다. 이제는 비만의 피해를 용모손상(Disfigurement) , 불편(Discomfort), 무능(Disabiljty), 질병(Disease), 사망(Death)의 5Ds로 나타내어 건강을 해치는 근원으로 경계하고 있다.4)
      비만치료의 목적은 적절한 식품을 선택하여 섭취하는 식습관 수정과, 본인의 체력에 맞는 규칙적인 운동을 습관화하고, 기타 비만의 요인이 되는 환경적, 생리적 요인들을 수정하여 감소시킨 체중을 평생 동안 유지하는 것이다 5) 그러나 체중 감소를 원하는 비만인들은 비만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체중을 감소시키는 대신, 빠른 체중 감소를 기대하여 식욕억제제, 단식, 특정 유행식이 (fad diets) 등을 선택함으로써 건강을 해치게 되고 체단백의 감소로 인한 기초대사량의 감소, 식습관 장애인 폭식증(Bulimia), 우울증 등을 초래하게 되기도 하는데,6) 근본적인 치료 방법을 사용하여 식습관과 행동이 수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시행하던 방법을 중단 시 체중이 다시 증가하는 문제 (Yo-yo syndrome, 지방세포가 굶주린 상태)가 생기게 된다.7) 곧, 비만의 치료는 비만으로 언하여 현재 건강상태가 위험하고, 체중 감소 후 건강 상태가 호전될 수 있으며, 합리적인 비만 치료 방법이 존재할 경우 시도해야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비만 치료 방법은 비만의 원언 및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들을 치료하며 더욱 비만해지는 것을 예방하고 체중을 서서히 감소시키며 체중감소 시 나타나는 부작용들을 치료할 수 있어야 한다.8)
      비만은 결국 평생 자신과의 투쟁이고, 모든 생활습관이 점점 비만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볼 때, 비만은 우리의 삶과 점점 밀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비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확한 비만의 원인과, 판정을 위한 평가 방법을 고찰해 보는 것은 비만 치료를 위한 준비단계의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본론 2
      • 1. 비만의 원인 2
      • 1) 유전 2
      • 2) 중추신경계의 이상 4
      • Ⅰ. 서론 1
      • Ⅱ. 본론 2
      • 1. 비만의 원인 2
      • 1) 유전 2
      • 2) 중추신경계의 이상 4
      • 3) 내분비계 및 대사 이상 4
      • 4) 지방세포학설(Adipose cell theory) 5
      • 5) 심리적인 요인(Psychological factors) 6
      • 6) 식습관 7
      • 7) 열량 소비 8
      • 8) 사회 환경적인 요인 9
      • 2. 비만의 신체 계측에 의한 평가 10
      • 1) 표준체중과 비교하는 방법 11
      • 2) 체격지수(weigh-height index) 11
      • (1) Body mass index(BMI) 11
      • 2) 카우프 지수 13
      • 3) 뢸러 지수 13
      • 4) 피하지방 두께 13
      • 4) 신체부위의 둘레 측정 19
      • 5) 인체의 비중을 이용 23
      • 6) 체지방측정기를 사용하는 방법 24
      • Ⅲ. 결론 2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