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의 공동체주의 자유주의 논쟁은 윤리적인 측면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 까닭에 공동체와 개인, 어디에 우선순위를 매길 것이냐로 대개의 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1351
200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의 공동체주의 자유주의 논쟁은 윤리적인 측면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 까닭에 공동체와 개인, 어디에 우선순위를 매길 것이냐로 대개의 논...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의 공동체주의 자유주의 논쟁은 윤리적인 측면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 까닭에 공동체와 개인, 어디에 우선순위를 매길 것이냐로 대개의 논쟁이 결말을 맺었다. 『공동체란 무엇인가』는 다섯 명의 학자들이 그 협소한 논쟁의 틀과 내용물을 새로이 짜고, 채운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공동체란 무엇인가』의 저자들은 공동체의 역사와 역사적인 공동체주의의 본연의 임무였던 이상적인 미래상의 제시를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해 글과 말을 쏟아 놓는다.
중국 사상을 대표하는 두 축이라고 할 수 있는 도가(道家)와 유가(儒家)에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문제를 적용한 김수중 교수는 전통 사회의 기본 단위였던 가족과 국가에 대한 각각의 윤리가 충돌되는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어느 것을 우선시하는가는 그 사회상의 반영이라고 말한다. 그는 명말의 신유학자였던 하심은이 기획한 공동체 '취화당'을 예로 들어 사심(私心)을 극복하고 공공성(公共性)을 실현하는 것이 유가 전통의 근본적 과제였음을 밝히며, 유가 전통에서 혈연 중시의 성격을 탈색시킨다면 전통 공동체는 오늘날에도 적지 않은 시사점을 줄 것이라고 주장한다.
동아시아의 공동체주의가 가부장적이고 온정주의적이라는 비판에 맞서고자 하는 이동희 박사는 중국과 동아시아 공동체의 근간을 이루는 가족 공동체에서 인륜의 원리를 밝히고, 그 공동체들이 '미성숙'했으며 '주종의 관계'로 점철되어 있다고 한 헤겔의 비판은 인륜 개념이 갖는 '자발성'과 '상호 소통의 관계'를 고찰하지 못한 결과이며, 우리 자신도 그동안 부정적으로 생각해 왔던 아시아적 가치에 대한 재고가 절실하게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공동체의 개념과 성격, 그 지향점을 논하는 자리에 과학이 개입한다? 과학과 공동체를 인식론적 관점에서 연계시킨 이봉재 교수는 근대 과학의 출현은 바로 바람직한 공동체의 원형이 존재하고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말한다. 객관적인 지식의 총합인 과학이 어느 한 사람의 천재에 의해서만은 이룩할 수 없는 진보를 지속적으로 해 왔다는 사실은 과학 공동체 내에서의 의견 개진과 그에 대한 승인이 민주적으로 행해졌다는 증거라는 것이다. 그는 기억과 감정에 의해 유지되는 혈연 공동체의 문제점을 과학 공동체의 합리성으로 상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서구의 근대를 전통적 공동체의 와해 과정으로 고찰한 한승완 박사는 근대의 태생적 문제를 해결하려 했던 맑스와 듀이의 공동체론을 비교한다. 그는 경제적 조건만을 고려한 맑스의 공동체론과 듀이 공동체론의 의사소통을 통한 의미 공유와 상보적 관계를 맺어 '공동체 민주주의'를 이룰 수 있으며, 에치오니의 '좋은 사회' 이론이 그러한 예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자유로운 개인에 의해 구축된다는 근대 시장 경제 체제와 국가적 관료 행정이 개인의 일상을 지배하는 은밀한 폭력이라고 본 권용혁 교수는 자유주의의 보완으로서만 공동체주의를 말하는 서구 공동체주의자들의 한계를 지적하고, 철학적 정당성을 획득할 수 있는 공동체상으로 특정 공동체에서만 통용되는 폐쇄성이 아닌 개방성을 지닌 '의사소통 공동체'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그는 '의사소통 공동체'의 구성으로 자유주의의 세계화 전략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한다.
『공동체란 무엇인가』에 실린 글들은 공동체주의와 개인주의가 길항의 관계를 끝내고 사이좋게 공존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흥미로운 질문에 대한 일단의 해답을 곳곳에 숨겨 놓고 있다. 눈 밝은 독자라면 행간의 의미를 찾아내는 순간의 희열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국문 초록 (Abstract)
[머릿말] 통공동체 개념을 함께 생각하며 개인, 가족, 국가 : 전통 중국의 공동체 사상(김수중) [토론] 헤겔과 중국에 있어서 인륜적 공동체 비교 : 가족 개념을 중심으로(이...
[머릿말] 통공동체 개념을 함께 생각하며
개인, 가족, 국가 : 전통 중국의 공동체 사상(김수중)
[토론]
헤겔과 중국에 있어서 인륜적 공동체 비교 : 가족 개념을 중심으로(이동희)
[토론]
과학과 공동체 인식 : 인식론적 관점(이봉재)
[토론]
'전통 공동체'에서 '민주 공동체'로 : 서구 근대에서 공동체 기획의 두 가지 모델(한승완)
[토론]
공동체주의와 의사소통 공동체 이론(권용혁)
[토론]
[종합토론] 통일과 공동체 개념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