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패션 라이프스타일이 패션 렌탈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ashion Lifestyle on Usage Intention of Fasion Rental Servic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사회에 공유경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및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패션 제품에 대한 렌탈 서비스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러한 패션 렌탈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 렌탈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초기연구로 패션 라이프스타일이 패션 렌탈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이다. 20,30대 여성을대상으로 215개의 데이터가 수집되었으며, 기술통계, 요인분석, 군집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이 수행되었다. 본연구의 결과는 첫째, 패션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 사교추구, 가치추구 3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패션 라이프스타에 따른 패션 렌탈 서비스 이용의도의차이는 트렌드 추구 집단과 사교가치 추구집단의 이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패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여 패션 렌탈 서비스의 전략을 시행해야 한다.
      번역하기

      현대 사회에 공유경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및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패션 제품에 대한 렌탈 서비스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러한 패션 렌탈 서비스에 대...

      현대 사회에 공유경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및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패션 제품에 대한 렌탈 서비스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러한 패션 렌탈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 렌탈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초기연구로 패션 라이프스타일이 패션 렌탈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이다. 20,30대 여성을대상으로 215개의 데이터가 수집되었으며, 기술통계, 요인분석, 군집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이 수행되었다. 본연구의 결과는 첫째, 패션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 사교추구, 가치추구 3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패션 라이프스타에 따른 패션 렌탈 서비스 이용의도의차이는 트렌드 추구 집단과 사교가치 추구집단의 이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패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여 패션 렌탈 서비스의 전략을 시행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awareness of the shared economy has increased in the modern society, the rental service phenomenon has emerged not only for automobiles and household appliances but also for fashion product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consumer research on this fashion rental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shion lifestyle on usage intention of fashion rental service. Our 215 data were collected for women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For the analysis, SPSS 24.0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shion lifestyle was extracted with three factors: pursuit of trend, pursuit of value and a social pursuit. Second, the fashion lifestyle was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a trend-seeking group, an apathy group and a social value-seeking group.
      Finally, According to the fashion lifestyl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use the fashion rental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fashion lifestyle of consumers to increase usage intention of fashion renta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shion lifestyle on consumers' intention to use fashion service and to present strategic direction of fashion rental service.
      번역하기

      As the awareness of the shared economy has increased in the modern society, the rental service phenomenon has emerged not only for automobiles and household appliances but also for fashion product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consumer research ...

      As the awareness of the shared economy has increased in the modern society, the rental service phenomenon has emerged not only for automobiles and household appliances but also for fashion product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consumer research on this fashion rental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shion lifestyle on usage intention of fashion rental service. Our 215 data were collected for women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For the analysis, SPSS 24.0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shion lifestyle was extracted with three factors: pursuit of trend, pursuit of value and a social pursuit. Second, the fashion lifestyle was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a trend-seeking group, an apathy group and a social value-seeking group.
      Finally, According to the fashion lifestyl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use the fashion rental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fashion lifestyle of consumers to increase usage intention of fashion renta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shion lifestyle on consumers' intention to use fashion service and to present strategic direction of fashion rental servi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