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지를 활용한 한국화 교육 사례연구 - 온라인 교육을 중심으로 - = A Case Study of Korean Painting Education Using korean Paper - Mainly based on online Educati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881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painting is an important academic realm that allows one to understand contemporary painting based on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methods but is not dealt sufficiently in elementary schools; researches on its status and case studies are also insufficient.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Korean painting programs using traditional paper Hanji starting with preceding researche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s by empirically applying them to students, and to secondarily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online class by systematizing and analyzing the developed Korean painting programs to respond to online class.
      To verify the benefits of the developed programs, the four-hour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total eight hours in two weeks) targeting total 15 artistically-gifted 5 th graders of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SNUE. The educational program was produced for helping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aterial Hanji and its techniques,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outcomes drawn by students and their survey before/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the conclusion of the empirical experiment, firstly, most of the students knew about Hanji and Korean painting in the survey before starting the educational program while they were lacking in experiences of them. Secondly,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an ink smear experiment to let them know the production method of Hanji and the differences of papers for explaining the materials of Korean painting, the students understood the differences of papers. Thirdl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al program in each session, in the stage of introduction, the passive attitude was observed due to the online class which was relatively unfamiliar. However, as the session was more proceeded, their attitude was changed to be active, and the interest was also increased. Fourthly, in the survey after completing the educational program, the overall understanding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moment when starting the program. And they also showed highly-increased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Korean painting online class. Fifthly, despite some strengths and weaknesse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face-to-face class, this study verified the benefits of online art class. In the results of a survey targeting 20 teachers of online class in the same period, it could be developed into a new genre of education if there are lesson plan and prepar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
      In the results, the case study on Korean painting class using Hanji had positive effects.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systematized to respond to online class would have a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the upcoming new paradigm art education in the future.
      번역하기

      Korean painting is an important academic realm that allows one to understand contemporary painting based on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methods but is not dealt sufficiently in elementary schools; researches on its status and case studies are als...

      Korean painting is an important academic realm that allows one to understand contemporary painting based on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methods but is not dealt sufficiently in elementary schools; researches on its status and case studies are also insufficient.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Korean painting programs using traditional paper Hanji starting with preceding researche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s by empirically applying them to students, and to secondarily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online class by systematizing and analyzing the developed Korean painting programs to respond to online class.
      To verify the benefits of the developed programs, the four-hour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total eight hours in two weeks) targeting total 15 artistically-gifted 5 th graders of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SNUE. The educational program was produced for helping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aterial Hanji and its techniques,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outcomes drawn by students and their survey before/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the conclusion of the empirical experiment, firstly, most of the students knew about Hanji and Korean painting in the survey before starting the educational program while they were lacking in experiences of them. Secondly,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an ink smear experiment to let them know the production method of Hanji and the differences of papers for explaining the materials of Korean painting, the students understood the differences of papers. Thirdl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al program in each session, in the stage of introduction, the passive attitude was observed due to the online class which was relatively unfamiliar. However, as the session was more proceeded, their attitude was changed to be active, and the interest was also increased. Fourthly, in the survey after completing the educational program, the overall understanding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moment when starting the program. And they also showed highly-increased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Korean painting online class. Fifthly, despite some strengths and weaknesse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face-to-face class, this study verified the benefits of online art class. In the results of a survey targeting 20 teachers of online class in the same period, it could be developed into a new genre of education if there are lesson plan and prepar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
      In the results, the case study on Korean painting class using Hanji had positive effects.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systematized to respond to online class would have a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the upcoming new paradigm art education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화는 전통적인 재료와 기법을 바탕으로 현대회화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학문이지만 초등 교육현장에서는 낮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실태와 사례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시작으로 한지를 이용하여 한국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에게 실증 적용하여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 부차적으로 개발 한국화 프로그램이 온라인 교육에 대응될 수 있도록 체계화하여 온라인 교육의 방향성과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개발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점검하기 위해 S 교대 영재교육원 미술영재 초등 5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1회, 4시간 프로그램을 2주에 걸쳐 8시간 진행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한국의 전통적 재료 한지와 기법을 이해하도록 제작되었고, 학생들이 그린 결과물과 프로그램 참여 전ㆍ후 학생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실험을 통하여 첫째, 교육 프로그램 시작 전 설문조사에서 대부분 학생들은 한지 및 한국화에 대해 알고 있었으나 경험이 부족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둘째, 한국화 재료 설명을 위한 한지 제작법과 종이의 차이점을 알려주기 위한 먹 번짐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학생들은 종이의 차이점을 이해했다. 셋째, 한국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회기별 분석 결과, 도입단계에서 상대적으로 생소한 온라인 교육으로 소극적 태도가 관찰되었고 회기가 진행될수록 적극적 태도로 변화되었으며 흥미도 증가했다. 넷째, 교육 프로그램 종료 후, 설문조사는 프로그램 시작에 비해 전반적으로 이해도 향상을 볼 수 있었으며, 한국화 온라인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이해도 증가를 보였다. 다섯째, 온라인 미술교육은 전통적 대면 수업 대비 장단점이 공존하나 그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시기 온라인 교육 진행 교사 20명 설문 결과 온라인 특성에 맞는 수업계획과 준비가 된다면 새로운 교육 장르로 발전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한지를 이용한 한국화 교육 사례연구는 긍정적 효과를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온라인 수업에 대응되도록 체계화시킨 한국화 교육은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패러다임 미술교육에서 발전 가능성도 확인시켜주었다.
      번역하기

      한국화는 전통적인 재료와 기법을 바탕으로 현대회화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학문이지만 초등 교육현장에서는 낮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실태와 사례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한국화는 전통적인 재료와 기법을 바탕으로 현대회화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학문이지만 초등 교육현장에서는 낮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실태와 사례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시작으로 한지를 이용하여 한국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에게 실증 적용하여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 부차적으로 개발 한국화 프로그램이 온라인 교육에 대응될 수 있도록 체계화하여 온라인 교육의 방향성과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개발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점검하기 위해 S 교대 영재교육원 미술영재 초등 5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1회, 4시간 프로그램을 2주에 걸쳐 8시간 진행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한국의 전통적 재료 한지와 기법을 이해하도록 제작되었고, 학생들이 그린 결과물과 프로그램 참여 전ㆍ후 학생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실험을 통하여 첫째, 교육 프로그램 시작 전 설문조사에서 대부분 학생들은 한지 및 한국화에 대해 알고 있었으나 경험이 부족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둘째, 한국화 재료 설명을 위한 한지 제작법과 종이의 차이점을 알려주기 위한 먹 번짐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학생들은 종이의 차이점을 이해했다. 셋째, 한국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회기별 분석 결과, 도입단계에서 상대적으로 생소한 온라인 교육으로 소극적 태도가 관찰되었고 회기가 진행될수록 적극적 태도로 변화되었으며 흥미도 증가했다. 넷째, 교육 프로그램 종료 후, 설문조사는 프로그램 시작에 비해 전반적으로 이해도 향상을 볼 수 있었으며, 한국화 온라인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이해도 증가를 보였다. 다섯째, 온라인 미술교육은 전통적 대면 수업 대비 장단점이 공존하나 그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시기 온라인 교육 진행 교사 20명 설문 결과 온라인 특성에 맞는 수업계획과 준비가 된다면 새로운 교육 장르로 발전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한지를 이용한 한국화 교육 사례연구는 긍정적 효과를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온라인 수업에 대응되도록 체계화시킨 한국화 교육은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패러다임 미술교육에서 발전 가능성도 확인시켜주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기순, "한지를 활용한 입체표현 활동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정경자, "한지를 활용한 미술표현활동 연구 : 초등학교 2학년 즐거운 생활을 중심으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이정신, "한지를 이용한 자연친화적 교육 사례(예비 유아교사 중심으로)" 20 (20): 1-16, 2017

      4 홍근인, "한지 제작을 통한 중학교 미술 교육 지도 방안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김충식, "한국화 지도과정을 통한 창의적인 표현력 신장 방안"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 : 67-90, 2006

      6 김유경, "한국화 재료를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3 (13): 73-93, 2006

      7 김주령, "한국화 교육에서 도판 용어 중 종이에 대한 내용분석 및 제안(초등미술 교과서 중심으로)" 1-15, 2019

      8 류재만, "초등학교미술 4학년" 천재교육 2018

      9 류재만, "초등학교미술 3학년" 천재교육 2018

      10 김정희, "초등학교 미술 6학년" 동아출판사 2019

      1 박기순, "한지를 활용한 입체표현 활동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정경자, "한지를 활용한 미술표현활동 연구 : 초등학교 2학년 즐거운 생활을 중심으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이정신, "한지를 이용한 자연친화적 교육 사례(예비 유아교사 중심으로)" 20 (20): 1-16, 2017

      4 홍근인, "한지 제작을 통한 중학교 미술 교육 지도 방안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김충식, "한국화 지도과정을 통한 창의적인 표현력 신장 방안"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 : 67-90, 2006

      6 김유경, "한국화 재료를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3 (13): 73-93, 2006

      7 김주령, "한국화 교육에서 도판 용어 중 종이에 대한 내용분석 및 제안(초등미술 교과서 중심으로)" 1-15, 2019

      8 류재만, "초등학교미술 4학년" 천재교육 2018

      9 류재만, "초등학교미술 3학년" 천재교육 2018

      10 김정희, "초등학교 미술 6학년" 동아출판사 2019

      11 김정희, "초등학교 미술 5학년" 동아출판사 2019

      12 김정선, "초등학교 미술 4학년" 금성출판사 2018

      13 김성숙, "초등학교 미술 4학년" 지학사 2018

      14 김정희, "초등학교 미술 4학년" 동아출판사 2018

      15 김정선, "초등학교 미술 3학년" 금성출판사 2018

      16 김정희, "초등학교 미술 3학년" 동아출판사 2018

      17 김성숙, "초등학교 미술 3학년" 지학사 2018

      18 박준규, "초등미술영재교육을 위한 실기지도 방안 연구(초등학생 5~6학년의 입체작품제작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2015

      19 이미연, "초등미술영재 교육과정 운영 현황 분석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0 서유리, "음양오행설에 근거한 오방색의 색채연구" 영남대학교 2020

      21 李承哲, "우리나라 회화사에 한지가 미친 영향"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22 이승철, "우리 한지" 현암사 2002

      23 정다은, "온라인 미술교육을 통해 살펴본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술교육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1 (21): 67-94, 2020

      24 이상민, "예비 초등교사 대상 온라인 미술교육 방안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31 (31): 181-204, 2020

      25 김대열, "수묵화(출현과 선종의 영향)" 핵사곤 2017

      26 김주령, "수묵을 이용한 교육이 아동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50 : 73-98, 2017

      27 고선희,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일반학급 미술수업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6

      28 고홍규, "미술교육에서 우리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18 (18): 117-131, 2017

      29 최명숙, "미술과 수업에서 한국화 한지민예품 교육 - 2009 개정 초등 3-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7 (37): 45-70, 2014

      30 류재만, "LCI 교육 기반 온라인 미술 감상 수업 개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34 (34): 55-84, 2020

      31 김주령, "2015 개정 미술교과서 한국화 교육에 관한 내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초등학교 3, 4학년 중심으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57 : 81-108,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