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크 랑시에르, "해방된 관객" 현실문화 2016
2 김소은, "퍼포먼스로서 ‘시’의 수행성 연구-<신동엽의 서울시대> 문학 기행을 중심으로" 한국드라마학회 (60) : 61-108, 2020
3 안톤 체홉, "체호프 희곡 전집" 연극과 인간 2000
4 사라 살리, "주디스 버틀러의 철학과 우울" 앨피 2009
5 조현순,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 패러디, 수행성, 복종, 우울증을 중심으로"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9 (9): 179-207, 2001
6 주디스 버틀러, "젠더트러블" 문학동네 2008
7 가브리엘 클라인, "이 시대의 퍼포먼스란 무엇인가" 2018
8 주디스 버틀러, "의미를 체현하는 육체" 인간사랑 2003
9 무라카미 하루키, "여자 없는 남자들" 문학동네 2014
10 조주영, "신체적 수행성과 정치적인 것에 대한 상상 - 버틀러의 아렌트 독해를 중심으로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32 (32): 147-188, 2021
1 자크 랑시에르, "해방된 관객" 현실문화 2016
2 김소은, "퍼포먼스로서 ‘시’의 수행성 연구-<신동엽의 서울시대> 문학 기행을 중심으로" 한국드라마학회 (60) : 61-108, 2020
3 안톤 체홉, "체호프 희곡 전집" 연극과 인간 2000
4 사라 살리, "주디스 버틀러의 철학과 우울" 앨피 2009
5 조현순,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 패러디, 수행성, 복종, 우울증을 중심으로"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9 (9): 179-207, 2001
6 주디스 버틀러, "젠더트러블" 문학동네 2008
7 가브리엘 클라인, "이 시대의 퍼포먼스란 무엇인가" 2018
8 주디스 버틀러, "의미를 체현하는 육체" 인간사랑 2003
9 무라카미 하루키, "여자 없는 남자들" 문학동네 2014
10 조주영, "신체적 수행성과 정치적인 것에 대한 상상 - 버틀러의 아렌트 독해를 중심으로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32 (32): 147-188, 2021
11 장성규, "수행성의 미학을 위한 텍스트의 전략들- 『노동해방문학』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학회 (44) : 631-654, 2014
12 에리카 피셔-리히테, "수행성의 미학" 문학과 지성 2017
13 자크 랑시에르, "불화" 도서출판 길 2015
14 김윤정, "박완서 소설 『그 남자네 집』의 젠더 수행성과 장소" 현대문학이론학회 (53) : 29-52, 2013
15 자크 랑시에르, "미학 안의 불편함" 인간사랑 2009
16 자크 랑시에르, "문학의 정치" 인간사랑 2009
17 오태영, "문학관의 공간 조직화와 수행적 신체"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 : 145-173, 2016
18 J. I. 오스틴, "말과 행위" 서광사 1992
19 새뮤얼 체임버스, "랑시에르의 교훈" 그린비 2019
20 김기수, "랑시에르의 ‘정치적 예술’에 관하여 - 윤리적 전환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38 : 27-68, 2013
21 하마구치 류스케, "드라이브 마이카"
22 윤영광, "네그리의 공통주의와 공통적인 것" 범한철학회 104 (104): 213-248, 2022
23 김미미, "‘운동으로서 문학’의 미적 범주 연구 — 오월시 동인의 미적 전략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학회 (81) : 5-29, 2020
24 양경언, "1980년대 한국 시에 나타난 샤먼-시인의 수행성 연구" 서강대학교 2020
25 배하은, "1980년대 문학의 수행성 연구 : 양식과 미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7
26 강지희, "1960년대 여성장편소설의 증여와 젠더수행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9
27 허윤, "1950년대 한국 소설의 남성 젠더 수행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