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족’이라는 윤리의 폭력성과 전복의 정당성 ― 황정은의 「파묘」(2019)와 강화길의 「음복(飮福)」(2019)을 중심으로 = The Ethical Violence of ‘Family’ and the Legitimacy of Subversion ― Focusing on Hwang Jeong―eun’s ‘Pamyo’(2019) and Gang Hwa―gil’s ‘Eumbok’(201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472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ing on Hwang Jeong―eun’s ‘Pamyo’ and Gang Hwa―gil’s ‘Eumbok’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ethical violence occurring within the patriarchal family and analyze the subversive practices performed by people exposed to such violence. The family ideology, which advocates ‘universality’ and ‘identity’, requires family members to follow common ethics through the coercive means of ‘inclusion’ and ‘exclusion’ into the exclusive domain of family. This works as a ‘ethical violence.’ This is because ethical violence by family ideology does not recognize individual and special others, and blindly enforces only the perfect consistency of ‘family.’ The narrative in Hwang Jeong―eun’s ‘Pamyo’ develops around Lee Sun―il, who suffers from hard care work at the age of seventy―two. The family takes Lee Sun―il’s care work for granted and is insensitive to the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 that she is feeling. This means that Lee Soon―il is excluded to the ‘constitutive outside’ because he is not ‘recognized’ as a subject in the family. As a result, Lee Sun―il’s mourning is not properly completed in the end amid the coldness and indifference of her family members who colluded with violent power. However, Han Se―jin moves toward to the co―habitation that she absolutely understands and accepts the other after seeing the wounded ‘face’ of Lee Sun―il damaged by her family’s ethical violence.
      The conflict within the family and all the resulting violence begins with the patriarchal desire to continue the family by incorporating Jeong―woo, who was out of wedlock, into the family in Gang Hwa―gil’s ‘Eumbok.’ The ethical violence of the patriarchal system conversely turns ‘victims’ into ‘perpetrators’, which is revealed through the signifier of ‘villain.’ However, the mother―in―law and Se―na, victims of violence, show their will to eradicate the legacy of violence through solidarity and cooperation with each other, and want to protect Jeong―woo and her future daughter. The signifier of ‘Eumbok’ is redefined as a mutually dependent solidarity between the woman of the past generation represented by ‘mother―in―law’, the woman of the present generation represented by ‘Se―na’, and the woman of the future generation represented by ‘Se―na’s daughter.’ In conclusion, Hwang Jeong―eun and Gang Hwa―gil overturned and redefined the violence of identity that family ideology operates as a new means of women’s ethical resistance through ‘co―habitation’ and ‘solidarity.’ Therefore, they attempt the possibility of performative political action emerging in the midst of instability.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ing on Hwang Jeong―eun’s ‘Pamyo’ and Gang Hwa―gil’s ‘Eumbok’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ethical violence occurring within the patriarchal family and analyze the subversive practices performed by people exposed to su...

      This study focusing on Hwang Jeong―eun’s ‘Pamyo’ and Gang Hwa―gil’s ‘Eumbok’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ethical violence occurring within the patriarchal family and analyze the subversive practices performed by people exposed to such violence. The family ideology, which advocates ‘universality’ and ‘identity’, requires family members to follow common ethics through the coercive means of ‘inclusion’ and ‘exclusion’ into the exclusive domain of family. This works as a ‘ethical violence.’ This is because ethical violence by family ideology does not recognize individual and special others, and blindly enforces only the perfect consistency of ‘family.’ The narrative in Hwang Jeong―eun’s ‘Pamyo’ develops around Lee Sun―il, who suffers from hard care work at the age of seventy―two. The family takes Lee Sun―il’s care work for granted and is insensitive to the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 that she is feeling. This means that Lee Soon―il is excluded to the ‘constitutive outside’ because he is not ‘recognized’ as a subject in the family. As a result, Lee Sun―il’s mourning is not properly completed in the end amid the coldness and indifference of her family members who colluded with violent power. However, Han Se―jin moves toward to the co―habitation that she absolutely understands and accepts the other after seeing the wounded ‘face’ of Lee Sun―il damaged by her family’s ethical violence.
      The conflict within the family and all the resulting violence begins with the patriarchal desire to continue the family by incorporating Jeong―woo, who was out of wedlock, into the family in Gang Hwa―gil’s ‘Eumbok.’ The ethical violence of the patriarchal system conversely turns ‘victims’ into ‘perpetrators’, which is revealed through the signifier of ‘villain.’ However, the mother―in―law and Se―na, victims of violence, show their will to eradicate the legacy of violence through solidarity and cooperation with each other, and want to protect Jeong―woo and her future daughter. The signifier of ‘Eumbok’ is redefined as a mutually dependent solidarity between the woman of the past generation represented by ‘mother―in―law’, the woman of the present generation represented by ‘Se―na’, and the woman of the future generation represented by ‘Se―na’s daughter.’ In conclusion, Hwang Jeong―eun and Gang Hwa―gil overturned and redefined the violence of identity that family ideology operates as a new means of women’s ethical resistance through ‘co―habitation’ and ‘solidarity.’ Therefore, they attempt the possibility of performative political action emerging in the midst of insta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황정은의 「파묘」와 강화길의 「음복(飮福)」을 중심으로 가부장적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폭력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폭력에 노출된 인물들이 이에 대항하여 수행하는 전복적 실천에 대해 분석한다. ‘보편성’과 ‘동일성’을 내세우는 가족 이데올로기는 가족이라는 배타적 영역으로의 ‘포섭’과 ‘배제’라는 강압적인 수단을 통해 가족 구성원에게 공통의 윤리를 따를 것을 요구하는데, 이것은 하나의 ‘윤리적 폭력’으로 작동한다. 가족 이데올로기에 의한 윤리적 폭력은 개별적이고 특수한 타자‘들’을 인정하지 않고, ‘가족’이라는 완벽한 일관성만을 맹목적으로 강요하는 데에서 기인하기 때문이다.
      황정은의 「파묘」는 일흔둘의 나이에 돌봄 노동에 시달리는 이순일을 중심으로 서사가 전개된다. 가족들은 이순일의 돌봄 노동을 당연시하며 그가 느끼고 있는 육체적·정신적 괴로움에 대해 무감각하다. 이것은 이순일이 가족 내 주체로서 ‘인정’받지 못해 일종의 ‘구성적 외부’의 영역으로 배제됨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이순일의 애도는 폭력적 권력과 결탁한 가족들의 냉대와 무관심 속에서 끝끝내 제대로 완결되지 못한다. 그러나 한세진은 가족의 윤리적 폭력으로 인해 훼손된 이순일의 상처받은 ‘얼굴’을 접하고, 그를 절대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하는 ‘공거(共居)’로 나아가고자 한다.
      강화길의 「음복(飮福)」에서는 가족 내부의 갈등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폭력이 혼외자인 정우를 가족으로 편입시켜 집안의 대(代)를 잇고자 했던 가부장적 욕망에서부터 시작된다. 이러한 가부장제의 윤리적 폭력은 역(逆)으로 ‘피해자’를 ‘가해자’로 만들기도 하는데, 이것은 ‘악역’이라는 기표를 통해 드러난다. 그러나 폭력을 겪은 희생자인 시어머니와 세나는 서로 간의 연대와 협력을 통해 폭력의 대물림을 근절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정우와 미래의 딸을 폭력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한다. 그래서 ‘음복’이란 기표는 과거 세대의 여성으로 대표되는 ‘시어머니’와 현세대의 여성인 ‘세나’와 미래 세대의 여성인 ‘세나의 딸’ 사이의 상호의존적인 연대로 재의미화된다.
      결론적으로 황정은과 강화길은 ‘공거’와 ‘연대’를 통해 가족 이데올로기가 작동하는 동일성의 폭력을 여성들의 새로운 윤리적 저항의 수단으로 전복시키고 재의미화한다. 그럼으로써 이들은 불안정성의 한가운데에서 수행적인 정치적 행위의 가능성을 모색한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황정은의 「파묘」와 강화길의 「음복(飮福)」을 중심으로 가부장적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폭력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폭력에 노출된 인물들이 이에 대항하여 수행하는...

      본고는 황정은의 「파묘」와 강화길의 「음복(飮福)」을 중심으로 가부장적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폭력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폭력에 노출된 인물들이 이에 대항하여 수행하는 전복적 실천에 대해 분석한다. ‘보편성’과 ‘동일성’을 내세우는 가족 이데올로기는 가족이라는 배타적 영역으로의 ‘포섭’과 ‘배제’라는 강압적인 수단을 통해 가족 구성원에게 공통의 윤리를 따를 것을 요구하는데, 이것은 하나의 ‘윤리적 폭력’으로 작동한다. 가족 이데올로기에 의한 윤리적 폭력은 개별적이고 특수한 타자‘들’을 인정하지 않고, ‘가족’이라는 완벽한 일관성만을 맹목적으로 강요하는 데에서 기인하기 때문이다.
      황정은의 「파묘」는 일흔둘의 나이에 돌봄 노동에 시달리는 이순일을 중심으로 서사가 전개된다. 가족들은 이순일의 돌봄 노동을 당연시하며 그가 느끼고 있는 육체적·정신적 괴로움에 대해 무감각하다. 이것은 이순일이 가족 내 주체로서 ‘인정’받지 못해 일종의 ‘구성적 외부’의 영역으로 배제됨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이순일의 애도는 폭력적 권력과 결탁한 가족들의 냉대와 무관심 속에서 끝끝내 제대로 완결되지 못한다. 그러나 한세진은 가족의 윤리적 폭력으로 인해 훼손된 이순일의 상처받은 ‘얼굴’을 접하고, 그를 절대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하는 ‘공거(共居)’로 나아가고자 한다.
      강화길의 「음복(飮福)」에서는 가족 내부의 갈등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폭력이 혼외자인 정우를 가족으로 편입시켜 집안의 대(代)를 잇고자 했던 가부장적 욕망에서부터 시작된다. 이러한 가부장제의 윤리적 폭력은 역(逆)으로 ‘피해자’를 ‘가해자’로 만들기도 하는데, 이것은 ‘악역’이라는 기표를 통해 드러난다. 그러나 폭력을 겪은 희생자인 시어머니와 세나는 서로 간의 연대와 협력을 통해 폭력의 대물림을 근절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정우와 미래의 딸을 폭력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한다. 그래서 ‘음복’이란 기표는 과거 세대의 여성으로 대표되는 ‘시어머니’와 현세대의 여성인 ‘세나’와 미래 세대의 여성인 ‘세나의 딸’ 사이의 상호의존적인 연대로 재의미화된다.
      결론적으로 황정은과 강화길은 ‘공거’와 ‘연대’를 통해 가족 이데올로기가 작동하는 동일성의 폭력을 여성들의 새로운 윤리적 저항의 수단으로 전복시키고 재의미화한다. 그럼으로써 이들은 불안정성의 한가운데에서 수행적인 정치적 행위의 가능성을 모색한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국희, "황정은 소설에 나타난 ‘윤리적 폭력’ 비판" 한국근대문학회 20 (20): 305-337, 2019

      2 이미나, "황정은 소설에 나타난 ‘공감’의 사유와 ‘공존(共存)’하는 연대의 가능성" 인문과학연구소 (42) : 1-27, 2021

      3 문흥술, "타자지향적인 새로운 윤리적 주체의 정립을 위하여" 구보학회 (26) : 719-748, 2020

      4 철학사전 편찬위원회, "철학사전" 중원문화 2012

      5 주디스 버틀러, "지상에서 함께 산다는 것" 시대의창 2020

      6 이선현, "주디스 버틀러의 『불확실한 삶』에 나타난 제1세계 지식인의 자기 제한적 실천으로서의 문화 번역" 한국비평이론학회 27 (27): 121-146, 2022

      7 주디스 버틀러, "의미를 체현하는 육체" 인간사랑 2003

      8 주디스 버틀러, "윤리적 폭력 비판 : 자기 자신을 설명하기" 인간사랑 2019

      9 주디스 버틀러, "위태로운 삶" 필로소픽 2021

      10 선우은실, "우리가 우리의 문제에 대해 말할 때 필요한 것 - ‘당사자성’을 중심으로" 심미안 64 : 39-56, 2021

      1 윤국희, "황정은 소설에 나타난 ‘윤리적 폭력’ 비판" 한국근대문학회 20 (20): 305-337, 2019

      2 이미나, "황정은 소설에 나타난 ‘공감’의 사유와 ‘공존(共存)’하는 연대의 가능성" 인문과학연구소 (42) : 1-27, 2021

      3 문흥술, "타자지향적인 새로운 윤리적 주체의 정립을 위하여" 구보학회 (26) : 719-748, 2020

      4 철학사전 편찬위원회, "철학사전" 중원문화 2012

      5 주디스 버틀러, "지상에서 함께 산다는 것" 시대의창 2020

      6 이선현, "주디스 버틀러의 『불확실한 삶』에 나타난 제1세계 지식인의 자기 제한적 실천으로서의 문화 번역" 한국비평이론학회 27 (27): 121-146, 2022

      7 주디스 버틀러, "의미를 체현하는 육체" 인간사랑 2003

      8 주디스 버틀러, "윤리적 폭력 비판 : 자기 자신을 설명하기" 인간사랑 2019

      9 주디스 버틀러, "위태로운 삶" 필로소픽 2021

      10 선우은실, "우리가 우리의 문제에 대해 말할 때 필요한 것 - ‘당사자성’을 중심으로" 심미안 64 : 39-56, 2021

      11 강숙영, "오래된 세계에서 벗어나기 - 강화길 「음복」, 권효진 「내 생애 처음 파티」, 최은영 「아주 희미한 빛으로도" 한국불교사연구소 62 : 121-141, 2020

      12 김건형 외, "예민한 소설들, 그 미세한 기울기" 문학동네 26 (26): 1-33, 2019

      13 주디스 버틀러, "연대하는 신체들과 거리의 정치: 집회의 수행성 이론을 위한 노트" 창비 2020

      14 박윤영, "엄마의 자리에 서서 : 돌봄과 자기윤리 - 황정은, 김유담 김초엽의 소설을 중심으로" 실천문학사 137 : 185-196, 2020

      15 박지원, "애도의 페다고지 : 주디스 버틀러의 ‘취약성’과 ‘공거의 윤리’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21

      16 엠마누엘 레비나스,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2012

      17 주디스 버틀러, "비폭력의 힘" 문학동네 2021

      18 미셸 바렛, "반사회적 가족" 나름북스 2019

      19 전혜은, "근대적 주체 이후의 행위성: 주디스 버틀러의 행위성 이론"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19 (19): 153-191, 2011

      20 권명아, "가족 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책세상 2021

      21 조주영, "‘취약성’ 개념을 통한 상호주관적 인정관계의 재구성 : 인정에 대한 버틀러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30 : 35-62, 2018

      22 김혜영, "‘동원된 가족주의’의 시대에서 ‘가족 위험’의 사회로" 한국사회연구소 17 (17): 3-44, 2016

      23 강화길, "2020년 제11회 젊은 작가상 수상작품집" 문학동네 2021

      24 강지희, "2020 제11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문학동네 281-291, 2020

      25 오은교, "2020 제11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문학동네 42-51, 2020

      26 황정은, "2019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문학동네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