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사들의 교육활동에서 드러나는 아동관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발달과 배움의 관점에서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pective on children and curriculum demonstrated in educational activities: focusing on aspects of development and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4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pectives on children and curriculum demonstrated in educational activities. From March to October 2017, 13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D city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 It was shown that the participant teachers considered a child as an incompetent human being who is at a lower stage of development, or as a scientist who would learn by themselves at some points. Also, teachers implicitly viewed infants are incapable of appreciating the arts, and performing arts appreciation activities at the age 1 is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Moreover, teachers were trying to accept and follow the current Nuri curriculum which is presented by age. On the other hand, some teachers were paying more attention to children’s strength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and continue to write about what and how to teach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future application research to encourag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form diverse learning philosophy and to exhibit related behaviors with a sense of agenc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eyond top-down theories and activ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pectives on children and curriculum demonstrated in educational activities. From March to October 2017, 13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D city were invited to particip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pectives on children and curriculum demonstrated in educational activities. From March to October 2017, 13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D city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 It was shown that the participant teachers considered a child as an incompetent human being who is at a lower stage of development, or as a scientist who would learn by themselves at some points. Also, teachers implicitly viewed infants are incapable of appreciating the arts, and performing arts appreciation activities at the age 1 is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Moreover, teachers were trying to accept and follow the current Nuri curriculum which is presented by age. On the other hand, some teachers were paying more attention to children’s strength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and continue to write about what and how to teach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future application research to encourag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form diverse learning philosophy and to exhibit related behaviors with a sense of agenc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eyond top-down theories and activ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이 교육활동에서 드러내는 아동관과 교육과정에 대한 신념을 살펴보고자 D광역시 유아교사 13인을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10월까지 개별 및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참여유아교사들은 유아들을 낮은 발달 단계에 위치한 무능한 존재로 바라보거나, 일정 시기가 되면 저절로 배우게 되는 과학적 존재로 유아를 바라보고 있었다. 어린 영아는 예술 감상을 할 수 없는 연령이라고 생각하며 만 1세반에서 예술감상활동을 하는 것은 발달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잘못된 교육활동이라는 신념이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연령별로 단계화하여 제시되어 있는 현 누리과정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여 따르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반면, 일부 참여유아교사들은 유아들이 보이는 충만한 힘과 교육적 경험에 좀 더 주목하며, 유아교사로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지속하며 기록작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 위에서 아래로 전달되어온 발달과 학습에 대한 유아교육 이론을 벗어나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들이 행위주체성을 가지고 배움에 관한 교육적 신념과 실천적 행위를 생성해나갈 수 있도록 다양체를 존중하는 실천지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이 교육활동에서 드러내는 아동관과 교육과정에 대한 신념을 살펴보고자 D광역시 유아교사 13인을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10월까지 개별 및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이 교육활동에서 드러내는 아동관과 교육과정에 대한 신념을 살펴보고자 D광역시 유아교사 13인을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10월까지 개별 및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참여유아교사들은 유아들을 낮은 발달 단계에 위치한 무능한 존재로 바라보거나, 일정 시기가 되면 저절로 배우게 되는 과학적 존재로 유아를 바라보고 있었다. 어린 영아는 예술 감상을 할 수 없는 연령이라고 생각하며 만 1세반에서 예술감상활동을 하는 것은 발달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잘못된 교육활동이라는 신념이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연령별로 단계화하여 제시되어 있는 현 누리과정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여 따르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반면, 일부 참여유아교사들은 유아들이 보이는 충만한 힘과 교육적 경험에 좀 더 주목하며, 유아교사로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지속하며 기록작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 위에서 아래로 전달되어온 발달과 학습에 대한 유아교육 이론을 벗어나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들이 행위주체성을 가지고 배움에 관한 교육적 신념과 실천적 행위를 생성해나갈 수 있도록 다양체를 존중하는 실천지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Dahlberg, G., "포스트모던 유아교육: 새로운 이해와 실천을 열어가기" 창지사 2007

      2 정선아, "통합의 시대를 향한 유아교육과정의 방향. 통합의 시대를 향한 한국유아교육의 비젼과 전망" 55-70, 2016

      3 Deleuze, G.,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4 권귀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과유아교사의 역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7-72, 2018

      5 강진주, "유아의 참여권 신장을 위한 교육적 접근으로써 기록화의 가능성: 기록화에서 유아의 참여 역할에 관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51-774, 2018

      6 김희연, "유아교육에서의 교과 담론에 관한 일고"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6 (16): 157-178, 2017

      7 Cannella, G. S., "유아교육 이론 해체하기: 비판적 접근" 창지사 2002

      8 김미애, "유아교사의 일을 이해하기 위한 관점들"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273-296, 2015

      9 모용희, "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과 교직신념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41-260, 2013

      10 김미애, "유아 교사의 이론과 실천에 관한 고찰: bottom-up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107-119, 2017

      1 Dahlberg, G., "포스트모던 유아교육: 새로운 이해와 실천을 열어가기" 창지사 2007

      2 정선아, "통합의 시대를 향한 유아교육과정의 방향. 통합의 시대를 향한 한국유아교육의 비젼과 전망" 55-70, 2016

      3 Deleuze, G.,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4 권귀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과유아교사의 역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7-72, 2018

      5 강진주, "유아의 참여권 신장을 위한 교육적 접근으로써 기록화의 가능성: 기록화에서 유아의 참여 역할에 관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51-774, 2018

      6 김희연, "유아교육에서의 교과 담론에 관한 일고"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6 (16): 157-178, 2017

      7 Cannella, G. S., "유아교육 이론 해체하기: 비판적 접근" 창지사 2002

      8 김미애, "유아교사의 일을 이해하기 위한 관점들"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273-296, 2015

      9 모용희, "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과 교직신념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41-260, 2013

      10 김미애, "유아 교사의 이론과 실천에 관한 고찰: bottom-up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107-119, 2017

      11 김연희, "예비유아교사 신입생들의 아동관 및 교직관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69-78, 2011

      12 이가형, "영아의 하나의 경험(an experience) 들여다보기"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7 (7): 61-85, 2017

      13 김희연, "어린이의 삶에서 본 유아교육ㆍ교육과정의 본질: ‘발달’과 ‘교과’에 대한 재해석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355-376, 2006

      14 Sellers, M., "어린이의 교육과정 되기: 들뢰즈, 테 파리키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창지사 2018

      15 Davies, B., "어린이에게 귀 기울이기: ‘이기’와 ‘되기’" 창지사 2017

      16 김규수, "아동중심교육의 개념적고찰 : DAP에 대한 견해" 2 (2): 49-68, 1997

      17 전가일, "아동의 배움과 그 여정, 배운다는 것의 의미 찾기. 교육과정의 새로운 여정: 유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학습과정" 23-26, 2016

      18 Dewey, J., "아동과 교육과정" 문음사 2002

      19 유혜령, "상상력 교육과 유아교육과정. 유아교육과 상상력 간의 대화: 유아교육에서 상상력에 대한 재조명과 전망" 33-53, 2016

      20 곽영순, "미래 학교교육 변화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필요한 교사 전문성 탐색" 교과교육연구소 19 (19): 93-111, 2015

      21 이경화, "메타포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한계" 한국보육지원학회 12 (12): 131-149, 2016

      22 Lenz Taguchi, H., "들뢰즈와 내부작용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 구분 넘어서기" 창지사 2018

      23 김재춘, "들뢰즈와 교육 : 차이생성의 배움론" 학이시습 2016

      24 Olsson, L. M., "들뢰즈와 가타리를 통해 유아교육 읽기: 운동과 실험" 살림터 2017

      25 김재춘, "들뢰즈 철학에서 ‘배움’과 ‘가르침’의 의미와 관계 탐색" 한국교육학회 50 (50): 125-149, 2012

      26 이진희, "놀이와 배움을 잇는 유아평가의 방향성 탐색. 유아, 놀이, 유아교육을 위한 평가의 미래" 69-86, 2019

      27 Jackson, P. W., "교육이란 무엇인가?" 순천향대학교출판부 2013

      28 이진희, "교육의 본질로서의 상상력을 키워주는 유아교육과정 상상하기: 전근대와근대, 그리고 탈근대의 공존 속에서. 유아교육과 상상력 간의 대화: 유아교육에서 상상력에 대한 재조명과 전망" 54-60, 2016

      29 서명석, "교육과정의 위상과 교사의 대응 방식: 교육과정의 주인으로 살 것인가 아니면 교육과정의 노예로 살 것인가. 국가수준 교육과정(누리과정) 실행과 기관평가의 딜레마" 3-20, 2014

      30 이영자, "교사의 아동관이 교사-유아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3 (23): 113-133, 1985

      31 정선아, "교사들이 구성하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305-329, 2004

      32 Dewey, J., "경험과 교육" 문음사 2002

      33 Walsh, D. J., "가르침의 기예: 유아교사론" 파워북 2015

      34 Biesta, G. J., "Why ‘what works’ still won’t work : From evidence-based education to value-based education" 29 (29): 491-503, 2010

      35 Moss, P., "Valuing quality in early childhood services: New approaches to defining quality" Teachers College Press 1994

      36 Carr, M., "Unlocking assessment: Understanding for reflection and application" Routledge 36-54, 2008

      37 Spradley, J. P., "The ethnographic interview" Holt, Rinehart & Winston 1979

      38 김미애, "Rethinking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Teaching from Critical Perspectives" 한국유아교육학회 20 (20): 41-60, 2014

      39 Vandenbroeck, M., "Post-foundationalism, enhanced liberalism and post truth. 21st century developm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7

      40 Honan, E., "Nomadic education: Variations on a theme by Deleuze and Guattari" Sense Publishers 111-128, 2008

      41 Carr, M., "Learning stories : Constructing learner identities in early education" Sage 2012

      42 Cuffaro, H. K., "Issues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Yearbook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64-85, 1991

      43 Rinaldi, C., "In dialogue with Reggio Emilia: Listening, researching and learning" Routledge 2006

      44 Weber, E., "Ideas influen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 theoretical analysis" Teachers College Press 1984

      45 정선아, "G. Stanley Hall의 아동연구 발달주의의 의미" 21 (21): 481-496, 2001

      46 Wood, E., "Free choice and free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Troubling the discourse" 22 (22): 4-18, 2014

      47 Walsh, D. J., "Extending the discourse on developmental appropriateness : A developmental perspective" 2 : 109-119, 1991

      48 Wen, X.,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iculum beliefs : Are they consistent with observed classroom practices?" 22 (22): 945-969, 2011

      49 Williams, L., "Does practice lead theory? Techers’ constructions about teaching : Bottom-up perspectives" 8 : 153-184, 1996

      50 Bredekamp, 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serving children from birth through age 8" National Association of th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1987

      51 Bredekamp, 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97

      52 Lubeck, S., "Deconstructing ‘child development knowledge’ and ‘teacher preparation’" 11 (11): 147-168, 1996

      53 Wood, E.,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Critical questions about content, coherence, and control" 27 (27): 387-405, 2016

      54 Bloch, M. N., "Critical science and the history of child development’s influence on early education research" 2 (2): 95-108, 1991

      55 Donaldson, M., "Children’s minds" W. W. Norton 1978

      56 Carr, M., "Assessment in early childhood settings : Learning stories" Sage 2001

      57 Kessler, S. A., "Alternative perspectiv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6 (6): 183-197,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