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희생양 모티프 = Scapegoat Motif Appeared in Lee, Gwang-Soo's Nov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18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extracted several attributes described below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capegoat motif appear in Lee's novel.
      An innocent scapegoat appears to be the core motif in Lee's novel, [Mujung], and outraging the purity of innocent scapegoat, in this case, Yongchae happens to be the focus of problem.
      In [Gaechukja], the scapegoat of self-awakening appears to be the core motif. This novel describes the self-awakening of Sungsoon, the heroine, and presents the problem of frustration and hopelessness followed by the self-awakening process.
      In [Jaesaeng], the core motif is the scapegoat of the times. A scapegoat of retribution from the corruptions and sins of young people comes into question.
      In [Heuk], the core motif is the scapegoat of arrogance. Arrogance from class-conscious, retribution of sins which comes from passion, and self-resurrection portrays a problem.
      In [Aejung ui Pian], the core motif is the scapegoat of passion. The scapegoat of passion and self sacrifice comes into question.
      In [Sarang], the core motif is the scapegoat of salvation. Self sacrifice based on the tragic world view and a will of salvation presents a problem.
      By analyzing the above, we can easily find the fact that the scapegoat motif becomes the core motif in Lee, Gwang-soo's work. This motif parallels the scapegoat motif of Jesus Christ, so the conclusion that the Christian implication is indirectly and internally presented by the scapegoat motif can be made even though Lee did not externally professed Christianity in his novels.
      번역하기

      In this paper, we extracted several attributes described below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capegoat motif appear in Lee's novel. An innocent scapegoat appears to be the core motif in Lee's novel, [Mujung], and outraging the purity of innocent...

      In this paper, we extracted several attributes described below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capegoat motif appear in Lee's novel.
      An innocent scapegoat appears to be the core motif in Lee's novel, [Mujung], and outraging the purity of innocent scapegoat, in this case, Yongchae happens to be the focus of problem.
      In [Gaechukja], the scapegoat of self-awakening appears to be the core motif. This novel describes the self-awakening of Sungsoon, the heroine, and presents the problem of frustration and hopelessness followed by the self-awakening process.
      In [Jaesaeng], the core motif is the scapegoat of the times. A scapegoat of retribution from the corruptions and sins of young people comes into question.
      In [Heuk], the core motif is the scapegoat of arrogance. Arrogance from class-conscious, retribution of sins which comes from passion, and self-resurrection portrays a problem.
      In [Aejung ui Pian], the core motif is the scapegoat of passion. The scapegoat of passion and self sacrifice comes into question.
      In [Sarang], the core motif is the scapegoat of salvation. Self sacrifice based on the tragic world view and a will of salvation presents a problem.
      By analyzing the above, we can easily find the fact that the scapegoat motif becomes the core motif in Lee, Gwang-soo's work. This motif parallels the scapegoat motif of Jesus Christ, so the conclusion that the Christian implication is indirectly and internally presented by the scapegoat motif can be made even though Lee did not externally professed Christianity in his nove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희생양 모티프의 특성을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성이 추출되었다. 무정에서는 무구의 희생양이 중심 모티프가 되고 있었다. 이 작품에서는 영채를 중심으로 순결성의 더럽힘으로 한 죄 없는 희생양이 문제되고 있었다. 개척자에서는 자아 각성의 희생양이 중심 모티프가 되고 있었다. 이 작품에서는 여주인공 성순의 자아 각성과 그에 따르는 좌절과 절망이 문제되고 있었다.재생에서는 시대의 희생양이 중심 모티프가 되고 있었다. 독립 운동 시기의 젊은이들의 타락과 죄의 업보로 인한 희생양이 문제되고 있었다.흙에서는 오해의 희생양이 중심 모티프가 되고 있었다. 악의적인 의도와 그로인한 오해로 무구한 여인이 목숨을 잃는 희생양이 문제되고 있었다.애욕의 피안에서는 애욕의 희생양이 중심 모티프가 되고 있었다. 애욕으로 인한 희생양과 자기희생이 문제시되고 있었다.사랑에서는 구원의 희생양이 중심 모티프가 되고 있었다. 비극적 세계 인식을 토대로 한 자기 희생과 구원이 문제시되고 있었다.이상의 것을 종합해 볼 때, 이광수 소설에서는 희생양 모티프가 중심 모티프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모티프는 예수의 희생양 모티프와 궤도를 같이하는 것이기에, 이광수 소설은 표면적으로는 기독교 소설을 표방하지 않았으나, 내면적으로는 희생양 모티프를 통해 간접적으로 기독교적 의미를 드러낸 것이란 결론이 가능해 진다.
      번역하기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희생양 모티프의 특성을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성이 추출되었다. 무정에서는 무구의 희생양이 중심 모티프가 되고 있었다. 이 작품에서는 ...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희생양 모티프의 특성을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성이 추출되었다. 무정에서는 무구의 희생양이 중심 모티프가 되고 있었다. 이 작품에서는 영채를 중심으로 순결성의 더럽힘으로 한 죄 없는 희생양이 문제되고 있었다. 개척자에서는 자아 각성의 희생양이 중심 모티프가 되고 있었다. 이 작품에서는 여주인공 성순의 자아 각성과 그에 따르는 좌절과 절망이 문제되고 있었다.재생에서는 시대의 희생양이 중심 모티프가 되고 있었다. 독립 운동 시기의 젊은이들의 타락과 죄의 업보로 인한 희생양이 문제되고 있었다.흙에서는 오해의 희생양이 중심 모티프가 되고 있었다. 악의적인 의도와 그로인한 오해로 무구한 여인이 목숨을 잃는 희생양이 문제되고 있었다.애욕의 피안에서는 애욕의 희생양이 중심 모티프가 되고 있었다. 애욕으로 인한 희생양과 자기희생이 문제시되고 있었다.사랑에서는 구원의 희생양이 중심 모티프가 되고 있었다. 비극적 세계 인식을 토대로 한 자기 희생과 구원이 문제시되고 있었다.이상의 것을 종합해 볼 때, 이광수 소설에서는 희생양 모티프가 중심 모티프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모티프는 예수의 희생양 모티프와 궤도를 같이하는 것이기에, 이광수 소설은 표면적으로는 기독교 소설을 표방하지 않았으나, 내면적으로는 희생양 모티프를 통해 간접적으로 기독교적 의미를 드러낸 것이란 결론이 가능해 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춘원 이광수-그의 생애"

      2 "이광수와 그의 시대" 한길사 1986

      3 "이광수 연구" 선일문화사 1984

      4 "이광수 소설의 서사성 연구" 2000

      5 "이광수 소설의 분석적 연구" 삼지원 1986

      6 "이광수 소설연구-애정 삼각 관계의 양상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2001

      7 "이광수 소설 연구" 삼영사 1984

      8 "<흙과 무지개>" 1933

      9 "<흙과 고향의 원천고찰-1930년대 농민계몽소설이 비교문학적 탐색>" 1973

      10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연구-이광수 염상섭ㆍ현진건의 소설을 중심으로>" 1988

      1 "춘원 이광수-그의 생애"

      2 "이광수와 그의 시대" 한길사 1986

      3 "이광수 연구" 선일문화사 1984

      4 "이광수 소설의 서사성 연구" 2000

      5 "이광수 소설의 분석적 연구" 삼지원 1986

      6 "이광수 소설연구-애정 삼각 관계의 양상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2001

      7 "이광수 소설 연구" 삼영사 1984

      8 "<흙과 무지개>" 1933

      9 "<흙과 고향의 원천고찰-1930년대 농민계몽소설이 비교문학적 탐색>" 1973

      10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연구-이광수 염상섭ㆍ현진건의 소설을 중심으로>" 1988

      11 "<춘원의 흙과 민촌의 고향>" 4 (4): 1935

      12 "<춘원의 전작-춘원의 사랑독후감>" 1938

      13 "<춘원의 작품과 종교적 의의>" 계명대 1 : 1967

      14 "<춘원의 사랑>" 1938

      15 "<춘원소설의 ‘누이’의 의미>" 1987

      16 "<춘원소설연구>" 1960

      17 "<춘원소설에 나타난 불교사상>" 《어문론》10 : 1967

      18 "<춘원사상과 기독교>" 1976

      19 "<춘원문학에 나타난 불교적 인생관>" 1964

      20 "<춘원문학과 기독교>" 《기독교사상》75 1965

      21 "<춘원과 사랑>" 1938

      22 "<춘원 이광수와 불교경전>" 1978

      23 "<춘원 문학의 기독교적 사상분석>" 단국대 대학원 1963

      24 "<춘원 문학에 미친 톨스토이의 영향-흙과 안나까레리나를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 1972

      25 "<재생을 읽으면서>" 《동아일보》1925

      26 "<작품 사랑의 사랑분석-사랑의 육파라밀> 《연구논문집》8ㆍ9" 1971

      27 "<이광수의 한국기독교비판>" 1979

      28 "<이광수의 재생 연구>" 1986

      29 "<이광수의 문학과 불교사상> 12" 1962

      30 "<이광수의 군상연구>" 동국대 대학원 석사논문 1984

      31 "<이광수씨의 전작 사랑을 추천함>" 《조선일보》 1938

      32 "<이광수씨의 사랑 평>"

      33 "<이광수씨의 근작 흙에 대한 소감-문예시평>" 1933

      34 "<이광수 장편소설 연구-비극적 세계인식을 중심으로>" 1984

      35 "<이광수 연구-무정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박사논문 1981

      36 "<이광수 소설의 여인상>" 《아세아여성연구》21 1981

      37 "<이광수 소설의 수용된 톨스토이>" 1978

      38 "<위선자의 문학>" 《‘부르주아의 인간상’》> 탐구당서점1949

      39 "<시대착오의 지도원리-춘원의 흙을 읽고>" 7-30, 1933

      40 "<소설성과 개념의 알력-춘원의 전작소설 사랑" 《조선일보》 1938

      41 "<보살도의 미학-춘원의 사랑을 중심으로>" 1975

      42 "<무정의 주제-무정을 통해 본 춘원의 일생>" 전북대 1955

      43 "<무정계보 고>" 숭전대 1983

      44 "<귀농운동의 관념화-흙의 제구성의 양상-장편소설검토>" 194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8 1.285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