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머리말
- Ⅱ. 경산지역 수용기 횡혈식석실묘
- Ⅲ. 경산지역 수용기 횡혈식석실묘의 성격과 의미
- Ⅳ. 맺음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47288
2020
-
임당유적 ; 횡혈식석실묘 ; 다양성 ; 신라 ; 지방 ; 상호작용 ; Imdang Relics ; stone chamber tombs ; diversity ; Silla ; Province ; Interaction
900
KCI등재
학술저널
431-452(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종현, "조영EⅡ호분 출토 철기 검토,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ⅩⅤ-造永EⅡ-4號墳外" 嶺南大學校博物館 2019
2 김대욱, "조영EⅡ-1호 축조 및 유물 부장에 대하여, 압독국 최초의 돌방무덤 조영EⅡ-1호분"
3 김용성, "임당의 고분과 생활유적" 학연문화사 2000
4 김수남, "임당의 고분과 생활유적" 학연문화사 2000
5 李漢周, "임당의 고분과 생활유적" 학연문화사 2000
6 장용석, "임당 유적을 통해 본 경산지역 고대 정치체제의 형성과 변천" (사)한국문화유산협회 (3) : 43-85, 2007
7 김대환, "임당 발굴 30년 그리고 압독문화" 영남문화재연구원 제25회 조사연구회 2012
8 김대욱, "임당 고총의 축조와 그 장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9 고은별, "임당 고총 동물부장 연구 : 조류 부장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106) : 138-171, 2018
10 경산시립박물관, "압독국 최초의 돌방무덤 조영EⅡ-1호분" 2014
1 황종현, "조영EⅡ호분 출토 철기 검토,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ⅩⅤ-造永EⅡ-4號墳外" 嶺南大學校博物館 2019
2 김대욱, "조영EⅡ-1호 축조 및 유물 부장에 대하여, 압독국 최초의 돌방무덤 조영EⅡ-1호분"
3 김용성, "임당의 고분과 생활유적" 학연문화사 2000
4 김수남, "임당의 고분과 생활유적" 학연문화사 2000
5 李漢周, "임당의 고분과 생활유적" 학연문화사 2000
6 장용석, "임당 유적을 통해 본 경산지역 고대 정치체제의 형성과 변천" (사)한국문화유산협회 (3) : 43-85, 2007
7 김대환, "임당 발굴 30년 그리고 압독문화" 영남문화재연구원 제25회 조사연구회 2012
8 김대욱, "임당 고총의 축조와 그 장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9 고은별, "임당 고총 동물부장 연구 : 조류 부장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106) : 138-171, 2018
10 경산시립박물관, "압독국 최초의 돌방무덤 조영EⅡ-1호분" 2014
11 김용성, "압독 사람들의 삶과 죽음,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 도록" 2000
12 김재열, "북사리 1호묘 대금구의 연대와 제작지 파악" 2010
13 우은진, "고대 인골연구와 압독국 사람들" 영남대학교박물관 2019
14 정충원, "고대 인골연구와 압독국 사람들" 영남대학교박물관 2019
15 김대욱, "고대 인골 연구와 압독국 사람들" 영남대학교박물관 2019
16 김재열, "경산지역 고분의 장신구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8
17 화랑문화재연구원, "경산지식산업지구 진입도로 개설공사부지 내 2구역(소월리유물산포지 2)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
18 李 熙 濬, "경산 지역 고대 정치체의 성립과 변천" 영남고고학회 (34) : 1-3, 2004
19 황종현, "경산 조영EⅢ호분 출토 철기 고찰,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Ⅺ-造永EⅢ-4號墳" 嶺南大學校博物館 2014
20 장용석, "경산 임당유적의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2
21 진흥문화재연구원, "경산 대동 57-1번지 유적, 2015년도 소규모 발굴조사 보고서 14-경북2-" 한국문화재재단 2017
22 김용성, "新羅의 高塚과 地域集團" 춘추각 1998
23 하대룡, "慶山 林堂遺蹟 新羅 古墳의 殉葬者 身分 硏究 -出土 人骨의 미토콘드리아 DNA 分析을 中心으로-" 한국고고학회 (79) : 175-204, 2011
24 영남대학교박물관,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Ⅻ-造永EⅡ-1號墳" 2003
25 영남대학교박물관,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Ⅶ-林堂5・6號墳" 2003
26 황종현, "大邱 旭水洞古墳群 石室墓의 검토" 2001
27 김용성, "土器에 의한 大邱・慶山地域 古代墳墓의 編年" 韓國考古學會 35 : 1996
28 길가은, "三國時代 慶山地域 積石木槨墓 硏究"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29 주보돈, "6세기 금석문과 신라사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한국고대사학회 2018
30 김대욱, "6~7세기 경산지역 석실묘의 전개양상" 영남고고학회 (41) : 45-83, 2007
31 김재열, "5~6세기 신라 慶山地域 政治體의 冠" 신라사학회 (20) : 45-91, 201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7 | 0.972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