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팀티칭 사례연구 - 미술교육전문가, 미술가, 학급교사의 파트너십에 기초한 공공미술 수업 - = Team teaching in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Partnership for Public Art Lessons among the Art Educator, the Artist, and the Classroom Teach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52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case study of team teaching about public art in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levate the professionalism of art education through team teaching of an art educator, an artist, and a classroom teacher, and to show the potential practicality of a closely linked partnership among the three groups. The case we executed and analyzed is composed of art lessons in which students extend and modify everyday objects to formulate their own public art which they could actually touch and play with. The study focuses on students' deeper understanding about public art through making murals in the school hallway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works and based on personal interviews and classroom observations, the study present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eam teaching and actual ways of practice.
      번역하기

      This is a case study of team teaching about public art in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levate the professionalism of art education through team teaching of an art educator, an artist, and a classroom teacher, and to sho...

      This is a case study of team teaching about public art in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levate the professionalism of art education through team teaching of an art educator, an artist, and a classroom teacher, and to show the potential practicality of a closely linked partnership among the three groups. The case we executed and analyzed is composed of art lessons in which students extend and modify everyday objects to formulate their own public art which they could actually touch and play with. The study focuses on students' deeper understanding about public art through making murals in the school hallway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works and based on personal interviews and classroom observations, the study present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eam teaching and actual ways of pract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미술교육에서 공공미술을 주제로 한 팀티칭 사례를 고찰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미술교육전문가, 미술가, 학급교사의 팀티칭 수업을 통해 초등미술교육의 전문성을 높이고 각 분야 전문가들을 연계한 파트너십의 필요성과 실천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 수업은 생활 주변의 사물을 확대·변형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직접 만지고 놀 수 있는 공공미술을 구상해보고, 이를 드로잉과 교내 벽화로 표현하는데 그 초점이 있다. 학생들의 작품과 면담 내용을 기초로 팀티칭 수업의 성과를 고찰해보고 미술교육에서 팀티칭이 갖는 교육적 의의가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미술교육에서 공공미술을 주제로 한 팀티칭 사례를 고찰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미술교육전문가, 미술가, 학급교사의 팀티칭 수업을 통해 초등미술교육의 전문성을 높이고...

      본 연구는 초등미술교육에서 공공미술을 주제로 한 팀티칭 사례를 고찰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미술교육전문가, 미술가, 학급교사의 팀티칭 수업을 통해 초등미술교육의 전문성을 높이고 각 분야 전문가들을 연계한 파트너십의 필요성과 실천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 수업은 생활 주변의 사물을 확대·변형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직접 만지고 놀 수 있는 공공미술을 구상해보고, 이를 드로잉과 교내 벽화로 표현하는데 그 초점이 있다. 학생들의 작품과 면담 내용을 기초로 팀티칭 수업의 성과를 고찰해보고 미술교육에서 팀티칭이 갖는 교육적 의의가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승숙, "학습장애 등 경도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내 협력교수의 실제: 모형과 전략의 함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323-352, 2004

      2 김해경, "파트너십에 기반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와 구조에 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4 (24): 93-122, 2010

      3 박종인, "팀티칭을 통한 음악과 합주 기능 신장" 34 : 104-117, 2005

      4 김미옥, "팀티칭을 통한 리코더부 연주 능력 신장" 34 : 168-183, 2005

      5 황미옥, "팀티칭에 의한 일본어작문 교수법 -새로운 작문교수법에 대한 시도-" 일본연구소 (29) : 363-385, 2006

      6 백상수, "특수교육 전공 대학원생의 협력교수에 관한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583-612, 2010

      7 안금희, "초등미술교육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대학교의 교과 전담 양성체제와 프로그램 개발" 한국조형교육학회 (24) : 91-124, 2004

      8 안혜리, "초등교사양성기관에서 통합교육을 위한 미술교과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 및 모형 고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 : 177-196, 2006

      9 김영미, "원어민과 내국인 영어교사의 효율적 팀티칭을 위한 단계별 협동 전략 기초연구"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13 (13): 177-201, 2007

      10 최정란, "예체능영역의 팀 티칭을 통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 이해 지도" 13 : 205-221, 1998

      1 최승숙, "학습장애 등 경도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내 협력교수의 실제: 모형과 전략의 함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323-352, 2004

      2 김해경, "파트너십에 기반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와 구조에 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4 (24): 93-122, 2010

      3 박종인, "팀티칭을 통한 음악과 합주 기능 신장" 34 : 104-117, 2005

      4 김미옥, "팀티칭을 통한 리코더부 연주 능력 신장" 34 : 168-183, 2005

      5 황미옥, "팀티칭에 의한 일본어작문 교수법 -새로운 작문교수법에 대한 시도-" 일본연구소 (29) : 363-385, 2006

      6 백상수, "특수교육 전공 대학원생의 협력교수에 관한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583-612, 2010

      7 안금희, "초등미술교육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대학교의 교과 전담 양성체제와 프로그램 개발" 한국조형교육학회 (24) : 91-124, 2004

      8 안혜리, "초등교사양성기관에서 통합교육을 위한 미술교과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 및 모형 고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 : 177-196, 2006

      9 김영미, "원어민과 내국인 영어교사의 효율적 팀티칭을 위한 단계별 협동 전략 기초연구"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13 (13): 177-201, 2007

      10 최정란, "예체능영역의 팀 티칭을 통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 이해 지도" 13 : 205-221, 1998

      11 정인성, "대학의 웹기반 가상수업 팀티칭 모형 개발 연구" 7 (7): 27-49, 2001

      12 정웅섭, "교회교육 현장에서의 team teaching:교회학교 수업개선을 중심으로" 13 (13): 205-238, 1972

      13 정혜경, "교수학습 지도 혁신을 위한 협력교수의 이해와 실제:특수학교에서의 협력교수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53 : 191-200, 2008

      14 이종경, "교사 양성 과정에서 활용된 역사 수업팀티칭 사례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11): 119-139, 2008

      15 "www.wiu.edu/users/mfsam1/TeamTchg.html"

      16 "http://www.people.ucalgary.ca/~egallery/goetz.html"

      17 "http://www.isec2005.org/isec/abstracts/papers_s/sileo_j.shtml"

      18 Quinn, S, "Team teaching: An alternative to lecture fatigue. (JC 850 005) Paper in an abstract: Innovation Abstracts" Eric Document Reproductive Service 1984

      19 Bernen, C, "Team teaching in the secondary instrumental music classroom" 89 (89): 31-35, 2003

      20 Dean, S. E, "Team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Office of Education, Education Brief No. 38"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2

      21 Buechner,A, "Team teaching in elementary music education" 50 (50): 31-35, 1963

      22 Polos,N.C, "Team teaching and flexible scheduling for tomorrow" MSS Educational Publishing Company. 1969

      23 Shapline, J. T, "Team teaching" Harper & Row Publishers. 1964

      24 Maroney, S. A, "Some notes on team teaching"

      25 Goetz,K, "Perspectives on team teaching" 1 (1): 2000

      26 Kochhar,S.K, "Methods and technique of teaching" Sterling Publishers. 1971

      27 Bauwens, J, "Making co-teaching a mainstreaming streategy" 35 (35): 19-24, 1991

      28 Trump, J. L, "Guide to better schools:Focus on change" Rand McNally & Company. 1961

      29 Bergen,D, "Developing the art and the science of team teaching" 70 (70): 1994

      30 Sileo,J.M, "Co-teaching:Best practices for education" 2005

      31 Matray, P, "A team-teaching approach for secondary schools" 42 (42): 477-481, 196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