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문명의 진화와 함께 개발된 문해력은 ‘리터러시(literacy)’라는 원어로 통용되며 과거로부터 미래로 이어지는 세상의 흐름을 읽어내고 비판하며 문제를 예측하는 중요한 원동력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인류 문명의 진화와 함께 개발된 문해력은 ‘리터러시(literacy)’라는 원어로 통용되며 과거로부터 미래로 이어지는 세상의 흐름을 읽어내고 비판하며 문제를 예측하는 중요한 원동력으로 ...
인류 문명의 진화와 함께 개발된 문해력은 ‘리터러시(literacy)’라는 원어로 통용되며 과거로부터 미래로 이어지는 세상의 흐름을 읽어내고 비판하며 문제를 예측하는 중요한 원동력으로 그 의미가지속적으로 진화되고 있다. 인공지능이 알고리즘을 통해 시각인식, 음성인식, 의사결정 등은 물론 이미지, 텍스트 등의 정보를 읽어내며 분석하고 이미지와 언어를 생성하는 시대에 인공지능의 기술적 활용을 넘어 비판적 사고와 윤리적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리터러시가 요구된다. 오늘날 시각적 문해력으로 알려진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의 의미는 디지털 기술의 습득과 활용에 필요한 시각적 인지력에 대한 새로운 방식은 물론 상상력과 비판적 사고가 결합된 방식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간 삶의 방식이 시각적으로 큰 변혁을 가져오게 된 시대 ‘비주얼리터러시’의 의미를 재고하고, 대학 교양교육에의 적용 필요성을 주장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내용은 인공지능으로 생성된 이미지와 텍스트의 정보처리 기술 향상과 미디어의 비판적 이해와 활용을 위한권한 부여로서 ‘비주얼 리터러시’의 의미의 확장 가능성을 제안한다. 연구의 결과는 인공지능이 가진 잠재력과 기술적 확장 가능성을 가져오기 위한 능력을 넘어 유토피아적이고 디스토피아적인 안목에 대한 자율적 판단과 그에 따른 책임 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차원에서 ‘비주얼 리터러시’ 의 교양교육적 적용 근거를 제공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teracy is an important driving force when it comes to attaining a critical eye for the real world, as well as for analyzing problems in the past and making predictions for the future. Since literacy is evolving in a new paradigm for human lifestyles...
Literacy is an important driving force when it comes to attaining a critical eye for the real world, as well as for analyzing problems in the past and making predictions for the future. Since literacy is evolving in a new paradigm for human lifestyles and abilities, in no small part thanks to the rapid development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 technology, this study begins with a review of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literacy. Next, we consider the meaning of ‘visual literacy’, in an era when AI reads and analyzes information such as images and texts, as well as visual recognition, voice recognition, and decision-making through algorithms, and creates art in a new way.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gue for the need to change the meaning of ‘visual literacy’ as a driving force for visual communication based on imagination in terms of technological utilization, critical thinking, and ethical social problem solving. Therefore, the content of this study emphasizes both a utopian and dystopian aesthetic vision, as well as critical thinking, in terms of potential and expandability of AI, rethinking the meaning of ‘visual literacy’ at the ethical level with human autonomous judgment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e need for us to apply ‘visual literacy’ in a way that combines imagination and critical thinking, as well as our need to develop a new way of visual cognition necessary for the acquisition and use of digital technology in terms of the role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Through this study, I argue that the application of ‘visual literacy’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hip qualities can help us expand new possibilities for the role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AI by giving us the author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digital media based on imagination for image and text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and visual communic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파울로 프레이리, "희망의 페다고지: 억압받는 이들과페다고지를 되새기며" 오트르랩 2020
2 UNESCO, "함께 그려보는 우리의 미래: 교육을 위한 새로운 사회계약 (국제미래교육위원회 보고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3 박휴용,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개념 및 범주, 이론적 기반, 그리고 교육의 방향"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11-55, 2020
4 정영식, "주제 중심의시민교육 방법 탐색" ㈜푸른길 139-174, 2021
5 오연주, "인공지능, 디지털 플랫폼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의 이해" 한울엠플러스(주) 149-189, 2021
6 와인 홈스, "인공지능 시대미래교육" ㈜피와이메이트 2020
7 이재박, "예술과 인공지능" ㈜엠아이디미디어 2021
8 카렌 키퍼보이드, "시각문화와미술교육" 교육과학사 2007
9 손지현, "시각문화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교수ㆍ학습 원리 연구"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2 (22): 1-24, 2021
10 임정택, "상상: 한계를 거부하는 발칙한 도전(상상에빠진 인문학 시리즈)" 21세기북스 2011
1 파울로 프레이리, "희망의 페다고지: 억압받는 이들과페다고지를 되새기며" 오트르랩 2020
2 UNESCO, "함께 그려보는 우리의 미래: 교육을 위한 새로운 사회계약 (국제미래교육위원회 보고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3 박휴용,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개념 및 범주, 이론적 기반, 그리고 교육의 방향"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11-55, 2020
4 정영식, "주제 중심의시민교육 방법 탐색" ㈜푸른길 139-174, 2021
5 오연주, "인공지능, 디지털 플랫폼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의 이해" 한울엠플러스(주) 149-189, 2021
6 와인 홈스, "인공지능 시대미래교육" ㈜피와이메이트 2020
7 이재박, "예술과 인공지능" ㈜엠아이디미디어 2021
8 카렌 키퍼보이드, "시각문화와미술교육" 교육과학사 2007
9 손지현, "시각문화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교수ㆍ학습 원리 연구"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2 (22): 1-24, 2021
10 임정택, "상상: 한계를 거부하는 발칙한 도전(상상에빠진 인문학 시리즈)" 21세기북스 2011
11 조남민, "비판적 인지와 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95-215, 2018
12 켈른너 더글라스,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참여, 소통, 그리고 미디어 교육" 도서출판 살림터 2022
13 맥신 그린, "블루 기타 변주곡" 서울문화재단 2011
14 황연주, "미술교육과 문화" 학지사 263-292, 2012
15 최항섭, "미래의 위험에 대처하기 위한 인문사회적상상력의 필요성: 코로나 판데믹과 미래문해력을 중심으로" 45 (45): 10-15, 2020
16 박성우 ; 장지순, "미디어 교육의 딜레마와 방향성 검토 :한국과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교육학회 16 (16): 109-134, 2021
17 조헌국, "디지털 패러다임 속 모두가 알아야 할 교양으로서의 과학" 2022
18 김연지 ; 서혁, "데이터피케이션(datafication) 환경에서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 - 데이터 리터러시 논의의 대안적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3 (13): 379-411, 2022
19 심상덕 ; 김현정, "데이터 리터러시로서의 정량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대학 교양교육 운영 방안" 한국교양교육학회 17 (17): 185-195, 2023
20 박효진 ; 류재만, "낙서화 감상활동을 통한 시각적 문해력 신장 방안"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59 : 149-170, 2019
21 피터 로버츠, "교육, 문해 그리고 인간화: 전작으로보는 파울루 프레이리의 삶과 사상" 빈책방 2021
22 임완철, "가르치는 인공지능은 가능한가? ‘장치의 교육학’을 위한 시론: 16개의 물음의 기록들" 새물결 출판사 2020
23 Rautins, C., "Wide-awakeness : Toward a critical pedagogy of imagination, humanism, agency, and becoming" 3 (3): 24-36, 2011
24 Elkins, J., "Visual literacy" Routledge 201-217, 2010
25 Lewis, S. C., "The tension between professional control and open participation : Journalism and its boundaries" 15 (15): 1-31, 2012
26 Freedman, K., "Teaching visual culture: Curriculum, aesthetics, and the social life of art" Teachers College Press 2003
27 Kress, G. R., "Literacy in the new media age" Routledge 2003
28 Limage, L. J., "Knowledge, culture and power: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literacy as policy and practice" Falmer Press 23-35, 2005
29 Miller, R., "Futures literacy. Embracing complexity and using the future" 10 (10): 23-28, 2011
30 Cassirer, E., "An essay of man: An introduction to a philosophy of human culture" Yale University Press 2021
31 Greene, M., "Aesthetic literacy in general education" 82 (82): 283-307, 2001
32 이유미 ; 박윤수, "AI 리터러시 개념 설정과 교양교육 설계를 위한 연구" 중앙어문학회 85 : 451-474, 2021
33 Avgerinou, M., "A review of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28 (28): 280-291, 1997
34 야마모토 다이스케, "3일만에 읽는 뇌의신비" 서울문화사 2002
35 김혜영, "21세기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데이터 리터러시 (Data Literacy)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47-159, 2020
Sustainable future and the general education
The KAGEDU : Its History, Structure,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