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교양교육과 실용적 글쓰기의 역학관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644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의 편차를 확인하고, 실용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개편 과정에 개입하는 요인들 간에 형성되는 역학관계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이 논의는 교육 전통이 오래지 않고,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반을 구축해가는 지방 사립대, 특히 원주 한라대학교를 중심으로 하였다. 지방 사립대의 경우 교양교육의 교육적, 인적, 물적 토대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담론화된 요소들이 각각의 논리와 운동성을 가지고 개입하게 되는데, 표면적으로 이들 간의 관계는 일차원적 대립으로 보이지만, 실제적으로는 상호 견제를 통한 다차원적 상호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원주 한라대학교의 경우, 대학교육 내 전공교육과 교양교육의 관계, 교양교육에 관한 대학구성원들의 인식의 편차, 심화되는 대학경쟁에서의 생존, 취업을 비롯한 사회진출을 우선시 하는 사회적 풍토 등을 비롯하여 교양교과의 개발, 운영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매개 개념으로 실용, 실용적 글쓰기를 선택하였다.
      일반적으로 실용, 실용적 글쓰기는 학문, 학문적 글쓰기와 대립되는 개념으로 인식되면서, 대학교육에 있어서 변방으로 취급되어 왔다. 그러나 한라대학교가 처한 상황으로 인해 전략적으로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실용, 실용적 글쓰기는 대학의 교양교육다움을 잃지 않으려 노력하는 한편 교양교육은 보조적인 여분의 영역이라는 대학 구성원들의 인식을 바꾸기 위해, 취업을 중시하는 사회적 풍토를 거스르지 않으면서, 한라대학교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과 교재를 구축하는 데 있어서 각각의 영역들을 자연스럽게 엮어갈 수 있도록 하는 핵심적 개념 역할을 했다. 그 결과 교양교육 개편에 개입했던 제반 요인들이 대립적, 적대적 관계에서 서로의 논리와 운동성을 인정하면서 상호 견제의 관계로 진화하게 되면서, 실용과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가져오게 되었다.
      번역하기

      이 글은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의 편차를 확인하고, 실용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개편 과정에 개입하는 요인들 간에 형성되는 역학관계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이 논의는 교육 ...

      이 글은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의 편차를 확인하고, 실용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개편 과정에 개입하는 요인들 간에 형성되는 역학관계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이 논의는 교육 전통이 오래지 않고,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반을 구축해가는 지방 사립대, 특히 원주 한라대학교를 중심으로 하였다. 지방 사립대의 경우 교양교육의 교육적, 인적, 물적 토대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담론화된 요소들이 각각의 논리와 운동성을 가지고 개입하게 되는데, 표면적으로 이들 간의 관계는 일차원적 대립으로 보이지만, 실제적으로는 상호 견제를 통한 다차원적 상호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원주 한라대학교의 경우, 대학교육 내 전공교육과 교양교육의 관계, 교양교육에 관한 대학구성원들의 인식의 편차, 심화되는 대학경쟁에서의 생존, 취업을 비롯한 사회진출을 우선시 하는 사회적 풍토 등을 비롯하여 교양교과의 개발, 운영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매개 개념으로 실용, 실용적 글쓰기를 선택하였다.
      일반적으로 실용, 실용적 글쓰기는 학문, 학문적 글쓰기와 대립되는 개념으로 인식되면서, 대학교육에 있어서 변방으로 취급되어 왔다. 그러나 한라대학교가 처한 상황으로 인해 전략적으로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실용, 실용적 글쓰기는 대학의 교양교육다움을 잃지 않으려 노력하는 한편 교양교육은 보조적인 여분의 영역이라는 대학 구성원들의 인식을 바꾸기 위해, 취업을 중시하는 사회적 풍토를 거스르지 않으면서, 한라대학교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과 교재를 구축하는 데 있어서 각각의 영역들을 자연스럽게 엮어갈 수 있도록 하는 핵심적 개념 역할을 했다. 그 결과 교양교육 개편에 개입했던 제반 요인들이 대립적, 적대적 관계에서 서로의 논리와 운동성을 인정하면서 상호 견제의 관계로 진화하게 되면서, 실용과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가져오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the research of general education by Halla University in Wonju Kangwon-do. Many researches about general education has been studied since late 1990’s. For the result of those researches, certain discussions about general educations has formed. And, the results of these discussions are started to appear.
      But still, there are some problems that needs more studies. The thing is, process of re-interpreting liberal and general education. Prior to make the discussion of universal and appropriate argument about general education, it is important that let each colleges harmonize to it’s situation. Because Halla University has short history, I think the problem of general education is complicated with two basic issues.
      First, organizing their general education in average level, and the other is to re-interpreting their general education to harmonize with the situation of Halla University.
      In cases of Halla University, they realized that general education is important to adapt their freshman easily to their new university life.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abandons their register and giving up the school has extremely decreased. Also it brought the school alive.
      With this result, Halla University developed and managed the program which leads students to self-respect and dignity and to manage their future. And the result of this program turned out really well, so Halla University could make general education school which is autonomous and independent. Also the school could hire professional person who can take charge the general education.
      They will continue their effort to maintain the original meaning of general education. They are still in the process to work for the general education.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the research of general education by Halla University in Wonju Kangwon-do. Many researches about general education has been studied since late 1990’s. For the result of those researches, certain discussions about general educations h...

      This article is the research of general education by Halla University in Wonju Kangwon-do. Many researches about general education has been studied since late 1990’s. For the result of those researches, certain discussions about general educations has formed. And, the results of these discussions are started to appear.
      But still, there are some problems that needs more studies. The thing is, process of re-interpreting liberal and general education. Prior to make the discussion of universal and appropriate argument about general education, it is important that let each colleges harmonize to it’s situation. Because Halla University has short history, I think the problem of general education is complicated with two basic issues.
      First, organizing their general education in average level, and the other is to re-interpreting their general education to harmonize with the situation of Halla University.
      In cases of Halla University, they realized that general education is important to adapt their freshman easily to their new university life.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abandons their register and giving up the school has extremely decreased. Also it brought the school alive.
      With this result, Halla University developed and managed the program which leads students to self-respect and dignity and to manage their future. And the result of this program turned out really well, so Halla University could make general education school which is autonomous and independent. Also the school could hire professional person who can take charge the general education.
      They will continue their effort to maintain the original meaning of general education. They are still in the process to work for the general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의 편차: 당위의 역설
      • Ⅲ. 교양교육과 실용적 글쓰기의 실험적 관계설정
      • Ⅳ. 교양교육과 실용적 글쓰기에 나타난 상호 견제의 역학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의 편차: 당위의 역설
      • Ⅲ. 교양교육과 실용적 글쓰기의 실험적 관계설정
      • Ⅳ. 교양교육과 실용적 글쓰기에 나타난 상호 견제의 역학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미옥, "지식기반사회에서 대학교양교육이 나아갈 방향" 2004

      2 차하순, "전환기에서의 대학교양교육의 방향" 1 (1): 2007

      3 손동현, "인문교양교육의 의미와 과제" 인문과학연구소 (37) : 203-232, 2006

      4 이영주, "연도별 신입생 이탈률, 2010, 미간행"

      5 이영주, "연도별 교양 선택교과 운영 현황. 2011, 미간행"

      6 김장원, "실용적 글쓰기의 교육과정 연구 - 자기소개서와 로드맵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29) : 179-208, 2010

      7 신의항, "미국 대학의 교양교육 현황 분석" 2 (2): 2008

      8 양혜련, "대학의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15 : 2006

      9 서정혁, "대학의 교양교육과 글쓰기 교육" 한국독서학회 (15) : 372-395, 2006

      10 홍병선, "대학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대안 모색" 3 (3): 2009

      1 장미옥, "지식기반사회에서 대학교양교육이 나아갈 방향" 2004

      2 차하순, "전환기에서의 대학교양교육의 방향" 1 (1): 2007

      3 손동현, "인문교양교육의 의미와 과제" 인문과학연구소 (37) : 203-232, 2006

      4 이영주, "연도별 신입생 이탈률, 2010, 미간행"

      5 이영주, "연도별 교양 선택교과 운영 현황. 2011, 미간행"

      6 김장원, "실용적 글쓰기의 교육과정 연구 - 자기소개서와 로드맵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29) : 179-208, 2010

      7 신의항, "미국 대학의 교양교육 현황 분석" 2 (2): 2008

      8 양혜련, "대학의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15 : 2006

      9 서정혁, "대학의 교양교육과 글쓰기 교육" 한국독서학회 (15) : 372-395, 2006

      10 홍병선, "대학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대안 모색" 3 (3): 2009

      11 김지현,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재개념화" 한국교육원리학회 12 (12): 115-151, 2007

      12 이영석, "대학 교육의 대중화와 교양 교육의 전망" 인문과학연구소 (49) : 1-24, 2005

      13 임은정, "대학 교육과정 결정과정의 특징: 4개 대학 교양 교육과정 결정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81-107, 2007

      14 김성우, "대학 교양교육의 위기와 인문학의 미래"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 (20): 11-42, 2009

      15 최연주,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국내․외 교양교육과정 비교분석"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6) : 143-175, 2007

      16 최광제, "교양의 효율적 운영과 정체성 확립" 2007

      17 손동현, "교양교육연구 창간사" 2007

      18 박홍규, "교양과 교양교육의 방향" 인문과학연구소 (49) : 77-106, 2005

      19 김순혜, "교양 교육과정 모형 개발연구" 경원대 아시아문화연구소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9 1.81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