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요추부 유합 후 인접분절에 속발한 퇴행성 병변의 치료 = Treatment for the Sequential Degenerative Changes at the Adjacent Segrnents to Lumbar Fu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7237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계획 : 임상자료와 영상자료의 후향성 분석. 연구목적 : 요추 유합 후 인접분절에 속발한 퇴행성 병변으로 인하여 증상이 재발한 환자에 대한 치료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

      연구계획 : 임상자료와 영상자료의 후향성 분석.
      연구목적 : 요추 유합 후 인접분절에 속발한 퇴행성 병변으로 인하여 증상이 재발한 환자에 대한 치료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요추의 일부분이 유합된 후 인접분절에 퇴행성 병변이 속발하여 다시 증상이 재발한 환자 중에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면서 추시하고 있거나 수술을 시행하였던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치료에 대하여 후향성 분석을 하였다. 이들에 나타난 인접분절의 이상소견은 불안정 분절, 추간간격의 협소, 척추관 협착, 추체의 전위등이었다. 재발한 초기의 증상은 모든 예에서 요통이 주증상이었고, 5례에서는 하지에 신경성 통증도 있었다. 그 후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다른 9례에서도 하지통이 나타났으며, 결국 7례에서는 신경성 파행으로 진행하여 이것이 주증상이 되었다.
      결과 : 초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보조기 착용, 강화운동, 요통학교 등의 보존적 치료로서 모든 예에 상당한 효과가 있었으나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또 신경성 파행이 나타남에 따라 보존적 치료의 효과가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예가 있었으나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또 신경성 파행이 나타남에 따라 보존적 치료의효과가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예들에서는 각막외주사치료가 일시적으로 효과가 있기도 하였다. 이러한 보존적 치료로서 효과가 없고 통증으로 인하여 상당한 활동장애가 있는 환자 중에 합당한 병변이 확인되면 수술을 권하였는데, 6명은 수술을 받았고, 1명은 간기능이 나빠서 수술을 시행하지 못하였으며, 1명은 수술을 응하지 않았다. 수술방법은 후방감압과 추경나사를 이용한 내고정 및 측방유합이 4명, 추경나사를 이용한 내고정 및 측방유합이1명, 후방감압만 시행한 것이 1명이었다. 수술후 8개월 내지 2년 2개월간 추시한 결과 모든 예에서 증상이 거의 소실하였고, 유합을 시행한 5명에서 모두 유합이 잘 이루어졌다.
      결론 : 유합 인접분절에 퇴행성 병변이 속발하여 증상이 재발하면 초기에는 보존적 치료로서 효과가 있으나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효과가 적었으며, 결국 수술이 필요하게 되는 예가 많았다. 수술방법이나 수술결과는 일차적인 병변과 별 차이가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y Design : A retrospectiv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view. Objectives : To assess the treatment for the recurred symptoms caused by various sequential degenerative changes at the adjacent segments to previous lumbar fusion. Sumary of Literatur...

      Study Design : A retrospectiv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view.
      Objectives : To assess the treatment for the recurred symptoms caused by various sequential degenerative changes at the adjacent segments to previous lumbar fusion.
      Sumary of Literature Review : Accelerated degeneration of lumbar segments adjacent to a previous fusion has been established, but the treatment for this condition has rarely been demonstrated.
      Materials and Methods : 19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treatments for the recurred symptoms caused by a sequential degenerative change at the adjacent segments were reviewed. The sequential changes at the adjacent segments were instability, discspace narrowing, spinal stenosis, and/or vertebral slip, and the symptoms of these changes were back pain in all patients and leg pain in many patients, particularly in later years.
      Results : Initially all symptomatic patients were tried with conservative regimens of medication, physiotherapy, execise, and education. A back brace was also appled for the patients who have considerable back pain, and the epidural injections for those who have leg pain. The symptoms of these patients, particularly the back pain were responded well to the conservative therapy during the earlier years, but surgery was neede eventually at the later years in 8 patients, paricularly for the leg pain. For these patients, an adequate decompression and extension of the fusion usin instrumentation resulted in good fusion with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s.
      Conclusion : The initial symptoms of the sequential degenerative changes at the adjacent segment after lumbar fusion were well responded to the conservative treatments, but a surgical treatment was needed eventually in many patients. The methods and results of the surgical treatment were similar to those of primary conditio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