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와닷따 파승의 연구는 미완성의 현재진행형이다. 그들 교파가 인도에서 천년 이상 존속했다는 구법승들의 증언은 있지만, 그 세월은 고스란히 역사적 공백으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그렇...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37365
2013
-
220
KCI등재
학술저널
85-121(3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데와닷따 파승의 연구는 미완성의 현재진행형이다. 그들 교파가 인도에서 천년 이상 존속했다는 구법승들의 증언은 있지만, 그 세월은 고스란히 역사적 공백으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그렇...
데와닷따 파승의 연구는 미완성의 현재진행형이다. 그들 교파가 인도에서 천년 이상 존속했다는 구법승들의 증언은 있지만, 그 세월은 고스란히 역사적 공백으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파승에 관한 율장 전승이야말로 여러 전제와 가정 아래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經證이나 독창적 연구 성과를 앞세운 단정보다는 유보적 태도에 무게중심이 실려야 한다.
연구를 위한 첫 번째 전제는 구법승들의 증언이 그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증언이 전설로 점철된 파승의 검토 범위를 규제하는 척도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法顯과 玄奬의 기록은 200년 이상 차이가 나고, 데와닷따파를 발견한 지역이 중인도와 동인도로 상이하다. 확언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집단이 광범위하게 산재하고 있었을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義淨은 그들의 생활상과 불교교단과의 관계는 물론, 날란다寺에서 함께 공부했던 자들과의 대화를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어서, 그들의 교단사적 지위 재정립의 계기가 되고 있다.
증언의 중심은 청정행이고, 이는 데와닷따가 釋尊에게 제안한 오사와 직결되어 있다. 이를통해 청정행은 오사 제안 이래 그들 교파의 일관된 종교적 전통이었다는 사실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구법승들의 증언은, 파승의 교단사적 검토가 오사를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다시 말해 오사 제안의 고찰이야말로 파승의 교단사적 재조명을 위한 대전제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전제는, 석존 재세시 ‘유행에서 정주로의 전환’은 ‘불교이념의 변화’라고 불릴 정도로 교단사적 파격이었으며, 오사 제안의 근원적 원인이라는 점이다. 정주를 뒷받침하는 석존 재세시 승원의 유적이 지와까원에서만 45곳이나 발견되었고, 또 광범위한 지역적 분포를 갖는 승원이 30여 곳이나 경전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이는 정주의 보편화를 웅변하고 있다. 생활양식이 정주로 변하면서 의ㆍ식생활의 변화도 수반되어 출가의 기본 정신과 상치되는 부작용들이 생겨났고, 유행 편력 생활을 이어나간 비구들을 중심으로 위기의식이 나타나게 되었다. 급기야 유행주의와 승원주의의 갈등이 표면화되었고, 데와닷따 사건은 그 연장선상에서 보아야 한다.
한편 석존의 오사 거부는 상황윤리적 계율관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고, 비구들의 안녕과 복지를 위한 정신적 배려에서 나온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그의 계율관 역시 여기서 찾아야만한다. 또한 상가의 규모확대와 상가와 호혜적 관계에 있는 세속의 환경 변화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일 수밖에 없었다는 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ies on the schism in the sangha (sanghabheda) created by Devadatta is incomplete and ongoing. Although there are testimonies of Chinese monks that sects following him survived for about l,000 years, the history of that period remains blank. Thus i...
Studies on the schism in the sangha (sanghabheda) created by Devadatta is incomplete and ongoing. Although there are testimonies of Chinese monks that sects following him survived for about l,000 years, the history of that period remains blank. Thus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legend of Devadatta's sanghabheda carefully and to make our conclusions with great reserve.
The first premise is that the testimonies of Chinese monks can be the starting point of a study on Devadatta's schism. Namely, the testimonies can be a measure to set the limits on the scope of studying the schism. There is a difference of 200 years in which Devadatta's sect was discovered by Fa-xian and Hsǖantsang, and the regions differed from Middle India to East India. We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there were more than two sects widespread at that time. The record by I-tsing is particularly key to reorganize the position of Devadatta's sect in the history of denominations, since it contains details of their lifestyle, their relations with Buddhism, and conversations with the sect members he studied with in Nālandā.
Key contents in this testimony are about the pure practices of Devadatta's sect which are connected directly with 'five rules(pañcavatthū)' proposed by Devadatta. From this testimony, we may guess that pañcavatthū had been a consistent religious tradition thereafter for the Devadatta's sects. Therefore, the testimony suggests that the schism should only be studied on the basis of pañcavatthū. It is then a presupposition for a historical review of Devadatta's sanghabheda to inquire into pañcavatthū.
The second premise is that the transformation from wandering to being settled was an issue of enormous controversy in the sangha, having been called a 'revolution in Buddhist doctrine', and that this was a fundamental cause of proposing pañcavatthū. About 45 relic sites in the age of the Buddha was found in Jīvakaārama alone which back up the existence of ārāma empirically. Additionally, there are about 30 ārama described widely in the canon. This evidence tells the story of the transformation from wandering to being settled. This transformation was accompanied by changes in clothing and eating during the Buddha's lifetime.
Another consequence of this transformation were unexpected side effects which produced a sense of crisis for those who kept the lifestyle of the wandering bhikkhu in spite of the reformation. This conflict finally came up to the surface between advocates for wandering and those for being settled, and Devadatta's sanghabheda should be viewed as an extension of the conflict.
On the other hand, the Buddha's refusal of the five rules came not from a situ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precepts, but from thoughtful consideration for the safety and welfare of bhikkhus, in line with a general view of the precepts. It should also be considered that refusal was an inevitable option for the Buddha due to changes in the secular societal environment, which had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 with the sangh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佐々木閑, "律藏の成立問題に關する現在の狀況" 日本印度學佛敎學會 54 (54): 938-931, 2006
2 J. W. 드용, "현대불교학 연구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4
3 佐々木閑, "출가, 세속의 번뇌를 놓다" 민족사 2007
4 신성현, "초기불교 상가 분열에 대하여-붓다 당시를 중심으로-" 인도철학회 13 (13): 65-90, 2003
5 佐藤密雄, "초기불교 교단과 계율" 민족사 1991
6 이자랑, "인도불교의 변천" 동국대학교출판부 2007
7 에띠엔 라모뜨, "인도불교사 1 ; 2" 시공사 2006
8 奈良康明, "인도불교" 민족사 1990
9 平川彰, "율장연구" 토방 1995
10 平川彰, "원시불교의 연구" 민족사 2003
1 佐々木閑, "律藏の成立問題に關する現在の狀況" 日本印度學佛敎學會 54 (54): 938-931, 2006
2 J. W. 드용, "현대불교학 연구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4
3 佐々木閑, "출가, 세속의 번뇌를 놓다" 민족사 2007
4 신성현, "초기불교 상가 분열에 대하여-붓다 당시를 중심으로-" 인도철학회 13 (13): 65-90, 2003
5 佐藤密雄, "초기불교 교단과 계율" 민족사 1991
6 이자랑, "인도불교의 변천" 동국대학교출판부 2007
7 에띠엔 라모뜨, "인도불교사 1 ; 2" 시공사 2006
8 奈良康明, "인도불교" 민족사 1990
9 平川彰, "율장연구" 토방 1995
10 平川彰, "원시불교의 연구" 민족사 2003
11 和辻哲郞, "원시불교의 실천철학" 불교시대사 1993
12 玆玄(廉仲燮), "승단분열의 철학적 담론" 한국학술정보 2009
13 增原良彦, "소승불교와 대승불교" 민족사 1991
14 渡邊照宏, "불타석가모니" 문학의 숲 2010
15 渡邊照宏, "불교사의 전개" 불교시대사 1992
16 대림 스님, "맛지마 니까야 제1권" 초기불전연구원 2012
17 각묵 스님, "디가니까야 제1권" 초기불전연구원 2006
18 원필성, "데바닷타, 그는 정말 악인이었는가" 불교평론사 4 (4): 214-242, 2002
19 藍吉富, "데바닷다, 그는 정말 악인이었는가" 운주사 2004
20 "高僧法顯傳 (大正藏 51)"
21 木川敏雄, "破僧した後の提婆について" 日本印度學佛敎學會 30 (30): 114-115, 1991
22 下田正弘, "涅槃經の硏究" 春秋社 1997
23 "根本說一切有部百一羯磨 ( 大正藏 24)"
24 田賀龍彦, "提婆達多の五法について" 日本佛敎學會 (29) : 311-330, 1964
25 季羨林, "季羨林學術論著自選集" 北京師範學院出版社 1991
26 "大唐西域記(『大正藏』51)"
27 "四分律 (『大正藏』22)"
28 佐藤密雄, "原始佛敎敎團の硏究" 山喜房佛書林 1972
29 中村元, "原始佛敎の成立" 春秋社 1992
30 義淨, "南海寄歸內法傳校注" 中華書局 1995
31 "南海寄歸內法傳(『大正藏』54)"
32 "十誦律 (『大正藏』23)"
33 長尾雅人, "佛敎敎團の原始形態" 日本佛敎學會 39 : 1-19, 1973
34 "五分律 (『大正藏』22)"
35 Hermann Oldenberg, "Vin: The Vinaya pitakaṃ" PTS 1995
36 Edward J. Thomas, "The Life of Buddha as legend and history" A. A. Knopf 1956
37 E. Frauwallner, "The Earliest Vinaya and the Beginnings of Buddhist Literature, In Serie Orientale Roma Ⅷ" 1956
38 V. Trenckner, "MN: Majjhima Nikāya vol.Ⅰ" PTS 1979
39 S. Dutt, "Dutt, Early Buddhist Monachism" Routledge 1924
40 Paola G. Tinti, "Did Hsṻan-tsang meet the Followers of Devadatta?" Linh Son Temple 14 (14): 39-47, 1997
41 T.W. Rhys Davids, "Dialogues of the Buddha: translated from the Pali Part Ⅰ" PTS 1977
42 Suriyagoda Sumangala Thera, "Dhp: Dhammapada" PTS 1914
43 André Bareau, "Devadatta and the First Buddhist Council" Linh Son Temple 14 (14): 19-38, 1997
44 T. W. Rhys Davids, "DN: Dīgha Nikāya vol.Ⅰ" PTS 1975
45 N. Dutt, "Buddhist sects in India" Firma KLM 1970
46 Mohan Wijayaratna, "Buddhist Monastic Lif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47 H. Oldenberg, "Buddha-His Life, His Doctrine, His Order, translated by William Hoey"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1997
48 I-Tsing, "A record of the Buddhist religion as practised in India and the Malay archipelago (A.D. 671-695)" The Clarendon Press 1896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9-06-1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
2019-06-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Buddhist Studies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
2019-06-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 ->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5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47 | 0.937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