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발음 표기의 오류 실태 - 표준발음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 Method of Pronunciation Marks in Korean Langu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8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is on the purpose of seeking out the accurate education method by investigating & analyzing the status of inaccurate pronunciation marks in korean language.
      The concluson made was as follows.
      First, the final consonants rule on the end of a Korean orthographic syllable is pronounced only with 7 consonants ‘k, n, t, r, m, p, ŋ’ comes under from article 8 to article 12. Second, prolonged sound rule is that if the syllable is combined with form morpheme which is start with vowl, final consonant will be pronunciated as a syllable. the rule of standard prounciation article 13 to article 15. Third, that the sound assimilation happens when voices are connected each other, and either one side or both sides is influenced to change similar sound comes under from article 18 to article 20. Fourth, that the addition happens adding ‘n’ sound pronounced as ‘ni, nya, nyeo, nyo, nyu’ comes under article 29.
      Based on the standard pronunciation rule, As a result, the practice and education for the standard pronunciation must be conducted steadily, it is necessary to lead the students to use a standard pronuncition converter.
      번역하기

      The study is on the purpose of seeking out the accurate education method by investigating & analyzing the status of inaccurate pronunciation marks in korean language. The concluson made was as follows. First, the final consonants rule on the end of a ...

      The study is on the purpose of seeking out the accurate education method by investigating & analyzing the status of inaccurate pronunciation marks in korean language.
      The concluson made was as follows.
      First, the final consonants rule on the end of a Korean orthographic syllable is pronounced only with 7 consonants ‘k, n, t, r, m, p, ŋ’ comes under from article 8 to article 12. Second, prolonged sound rule is that if the syllable is combined with form morpheme which is start with vowl, final consonant will be pronunciated as a syllable. the rule of standard prounciation article 13 to article 15. Third, that the sound assimilation happens when voices are connected each other, and either one side or both sides is influenced to change similar sound comes under from article 18 to article 20. Fourth, that the addition happens adding ‘n’ sound pronounced as ‘ni, nya, nyeo, nyo, nyu’ comes under article 29.
      Based on the standard pronunciation rule, As a result, the practice and education for the standard pronunciation must be conducted steadily, it is necessary to lead the students to use a standard pronuncition convert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발음 표기의 오류 실태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발음 표기를 조사ㆍ분석하고, 다양한 현상을 체계적으로 논의하여 어떤 규칙이 적용되는가를 고구하려고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전제 조건을 수반하였다.
      발음 표기 기준은 ① 음절 끝소리 규칙은 음절의 끝소리 자리에서 모든 자음이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중 하나로 소리나는 것을 말한다. ② 연음법칙은 음절의 받침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가 이어지면, 앞의 받침이 뒤 음절의 첫소리로 발음되는 것을 일컫는다. ③ 자음동화는 두 개의 자음이 이어날 때 어느 한 쪽이 다른 쪽의 조음 위치와 방법을 닮거나 서로 닮는 방향으로의 변동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을 일컫는다. ④ ‘ㄴ’ 첨가는 합성어나 파생어 등에서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 음절이 ‘ㅑ, ㅕ, ㅛ, ㅠ, ㅣ, ㅖ’ 일 때 뒷말의 초성 자리에 ‘ㄴ’이 첨가되는 것을 말한다. 이상과 같이 이 논문에서는 ‘음절 끝소리 규칙, 연음법칙, 자음동화, ‘ㄴ’ 첨가’ 등을 대상으로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발음 표기의 오류 실태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발음 표기를 조사ㆍ분석하고, 다양한 현상을 체계적으로 논의하여 어떤 규칙이 적용되는가를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발음 표기의 오류 실태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발음 표기를 조사ㆍ분석하고, 다양한 현상을 체계적으로 논의하여 어떤 규칙이 적용되는가를 고구하려고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전제 조건을 수반하였다.
      발음 표기 기준은 ① 음절 끝소리 규칙은 음절의 끝소리 자리에서 모든 자음이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중 하나로 소리나는 것을 말한다. ② 연음법칙은 음절의 받침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가 이어지면, 앞의 받침이 뒤 음절의 첫소리로 발음되는 것을 일컫는다. ③ 자음동화는 두 개의 자음이 이어날 때 어느 한 쪽이 다른 쪽의 조음 위치와 방법을 닮거나 서로 닮는 방향으로의 변동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을 일컫는다. ④ ‘ㄴ’ 첨가는 합성어나 파생어 등에서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 음절이 ‘ㅑ, ㅕ, ㅛ, ㅠ, ㅣ, ㅖ’ 일 때 뒷말의 초성 자리에 ‘ㄴ’이 첨가되는 것을 말한다. 이상과 같이 이 논문에서는 ‘음절 끝소리 규칙, 연음법칙, 자음동화, ‘ㄴ’ 첨가’ 등을 대상으로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용우, "후행어 ‘j’ 앞에서의 ‘ㄴ’ 첨가" 국제언어문학회 12 : 9-10, 2005

      2 이석규, "현대 국어 정도 어찌씨의 의미연구" 건국대 1998

      3 권재일, "한국어문법사" 박이정 1998

      4 강옥미, "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229-294, 2003

      5 허용, "한국어 발음교육론" 박이정 218-220, 2006

      6 문화관광부, "한국어 발음 교육-한국어교육 총서1-" 한림출판사 2002

      7 한재영, "한국어 발음 교육" 한림출판사 2003

      8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1, 2" 한국문화사 2002

      9 안주호, "한국어 교육에서의 표준어와 지역방언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한말연구학회 (21) : 143-166, 2007

      10 국립국어원, "한국 어문 규정집" 국립국어원 104-118, 2007

      1 변용우, "후행어 ‘j’ 앞에서의 ‘ㄴ’ 첨가" 국제언어문학회 12 : 9-10, 2005

      2 이석규, "현대 국어 정도 어찌씨의 의미연구" 건국대 1998

      3 권재일, "한국어문법사" 박이정 1998

      4 강옥미, "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229-294, 2003

      5 허용, "한국어 발음교육론" 박이정 218-220, 2006

      6 문화관광부, "한국어 발음 교육-한국어교육 총서1-" 한림출판사 2002

      7 한재영, "한국어 발음 교육" 한림출판사 2003

      8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1, 2" 한국문화사 2002

      9 안주호, "한국어 교육에서의 표준어와 지역방언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한말연구학회 (21) : 143-166, 2007

      10 국립국어원, "한국 어문 규정집" 국립국어원 104-118, 2007

      11 이관규, "학교 문법론" 월인 1999

      1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발음실태조사" 국립국어연구원 2002

      13 배주채, "표준발음법의 理想"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69-92, 2006

      14 김선철, "표준발음법과 언어 현실" 국립국어연구원 14 (14): 2004

      15 권인한, "표준발음법과 문화어발음법 규정" 국립국어연구원 3 (3): 1993

      16 리의도, "초등학교 국어과 발음 단원의 내용 연구" 한말연구학회 (17) : 1-57, 2005

      17 신지영, "우리말 소리의 체계" 한국문화사 2005

      18 김미형, "생활음운론" 한국문화사 80-, 2005

      19 박동근, "말머리에 나타나는 이유 없는 된소리 현상 연구" 한국언어학회 27 (27): 2000

      20 황경수, "대학생들의 표준 발음 실태에 대한 고찰" 한말연구학회 (20) : 317-340, 2007

      21 이호영, "국어음성학" 태학사 2003

      22 정동환, "국어복합어의 의미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3

      23 이문규, "국어 교육을 위한 현대 국어 음운론" 한국문화사 170-,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