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개방경제하에서 거시 경제변수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주요 OECD 국가들에 대한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그 분석결과 장기적으로 설질설효환율의 평가절하가 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46508
2015
Korean
학술저널
43-43(1쪽)
※ KISS의 서비스 중단으로 원문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개방경제하에서 거시 경제변수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주요 OECD 국가들에 대한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그 분석결과 장기적으로 설질설효환율의 평가절하가 경...
본 논문은 개방경제하에서 거시 경제변수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주요 OECD 국가들에 대한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그 분석결과 장기적으로 설질설효환율의 평가절하가 경제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국내민간투자와 인적자본형성도 경제성장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무역개방도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주나 장기에는 부정적 효과로 났고 FDI가 장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질 설효환율이 경제성장에 단기적으로 더욱 큰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정부소비지출은 단기 적으로만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플레이션은 경제성장을 저해하나 통화량 증가는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불균등 도는 경제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의하면 개방화 시대에 경제성장에 있어서 설질환율의 변화가 매우 중요하며, 또한 개방화의 확대보다 민간투자의 활성화가 보다 중요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3-1분과 : 국제무역 4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위기 취약국과 우리나라의 금융 무역 연계성 분석
Inequity, Economic Growth, and Climate Chang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