遼東 南部 지역은 中國 東北 지역에서 지석묘가 가장 밀집 분포되어 있는 지역이다. 그간 이 지역의 지석묘에 대해서는 형식 분류․변천 관계․편년․종족 등여러 면이 다루어졌으나, 정작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遼東 南部 지역은 中國 東北 지역에서 지석묘가 가장 밀집 분포되어 있는 지역이다. 그간 이 지역의 지석묘에 대해서는 형식 분류․변천 관계․편년․종족 등여러 면이 다루어졌으나, 정작 ...
遼東 南部 지역은 中國 東北 지역에서 지석묘가 가장 밀집 분포되어 있는 지역이다. 그간 이 지역의 지석묘에 대해서는 형식 분류․변천 관계․편년․종족 등여러 면이 다루어졌으나, 정작 지석묘의 배치 유형과 그에 따른 사회경제적인 의미 및 지석묘의 기능에 대해서는 다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遼東 南部 지역 지석묘의 지석묘 배치 유형을 분류한 결과, 도합 14개의 배치 유형이 추려졌다. 또한이들 배치 유형은 遼東 南部의 여러 지석묘 소지역권인 碧流河 流域圈․浮渡河流域圈․海城河 流域圈․庄河-英那河 流域圈․大洋河 流域圈․哨子河 流域圈 등에서 지역적인 특색을 보이며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각 소지역권에서 유사한 현상도 확인되는데, 그것은각 하천 상류역과 상지류역의 산곡 깊숙이 들어갈수록 평지에 列狀으로 배치되어있는 배치 유형이 주로 채택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거주민들의 생계유지 전략 및 자연지리적인 제약성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 또한 구릉의 평탄 대지에 단독 또는 복수 이상의 탁자식 지석묘가 배치되어 있는 배치 형태 등은 무덤이 아니라, 씨족-내 씨족-간의 다양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형성된 의례 기념물․경계 표지물 등이었다. 이외 다른 배치 유형은 기본적으로 무덤으로 조성된 것이지만, 일부는 기념물적 성격이 복합된 것들도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outhern Liaodong area has the densest distribution of dolmen in the Chinese northeast area. In the past, the dolmen of this area have been treated extensively in areas such as typological classification, modes of transition,periodization and dete...
The southern Liaodong area has the densest distribution of dolmen in the Chinese northeast area. In the past, the dolmen of this area have been treated extensively in areas such as typological classification, modes of transition,periodization and determination of ethnic grouping, however,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their socio-economic significance and the functions of the dolmen themselves have not been examined. Thereupon,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of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dolmen of the southern Liaodong area, a total of 14 distribution patterns were singled out. Also these distribution patterns show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re distributed in the many dolmen distribution spheres such as the Biliu river sphere, Fudu river sphere,Haicheng river sphere, Zhuang-Yingna river sphere, Dayang river sphere and the Shaozi river sphere.
Despite this, there are common characteristics in each of the distribution spheres in that, the further up into the upper reaches of a river area and the deeper into a mountain valley within the upper reaches of a river area, linear distribution on flat land is selected. This phenomenon has to do with the subsistence patterns of the inhabitants and natural geographical limitations.
Also those singular or multiple table style dolmen distributed on the flat area on the top of a hill were not tombs, but were instead ceremonial monuments and boundary markers created within the various social relations between differing clans. The remainder of the distribution patterns were basically erected as tombs but some also had characteristics as ceremonial monum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崔德, "遼寧省營口地區石棚硏究, In 中國考古集成․東北卷․靑銅時代(二)" 北京出版社 1997
2 符松子, "遼寧省新發現兩座石棚" 2 : 1956
3 許玉林, "遼寧省岫岩縣太老墳石棚發掘簡報" 3 : 1995
4 許玉林, "遼寧盖縣伙家窩堡石棚發掘簡報" 9 : 1993
5 劉俊勇, "遼寧新金縣王屯石棺墓" 3 : 1988
6 旅順博物館, "遼寧大連新金縣碧流河大石盖墓" 8 : 1984
7 吳江原, "遼東~韓半島地域 支石墓의型式變遷과分布樣相" 17 : 2002
8 田村晃一, "遼東石棚考" 東北亞細亞考古學硏究會 1996
9 兪泰勇, "遼東地方 支石墓의性格 檢討, In 希正 崔夢龍 敎授 停年退任論叢(III): 21세기의한국고고학 III" 주류성 2010
10 許玉林, "遼東半島石棚與大石盖墓槪要" 1 : 1993
1 崔德, "遼寧省營口地區石棚硏究, In 中國考古集成․東北卷․靑銅時代(二)" 北京出版社 1997
2 符松子, "遼寧省新發現兩座石棚" 2 : 1956
3 許玉林, "遼寧省岫岩縣太老墳石棚發掘簡報" 3 : 1995
4 許玉林, "遼寧盖縣伙家窩堡石棚發掘簡報" 9 : 1993
5 劉俊勇, "遼寧新金縣王屯石棺墓" 3 : 1988
6 旅順博物館, "遼寧大連新金縣碧流河大石盖墓" 8 : 1984
7 吳江原, "遼東~韓半島地域 支石墓의型式變遷과分布樣相" 17 : 2002
8 田村晃一, "遼東石棚考" 東北亞細亞考古學硏究會 1996
9 兪泰勇, "遼東地方 支石墓의性格 檢討, In 希正 崔夢龍 敎授 停年退任論叢(III): 21세기의한국고고학 III" 주류성 2010
10 許玉林, "遼東半島石棚與大石盖墓槪要" 1 : 1993
11 許玉林, "遼東半島石棚綜述" 1 : 1981
12 遼寧省博物館, "遼東半島石棚的新發現" 2 : 1985
13 崔德文, "遼東半島石棚文化硏究, In 中國考古集成․東北卷․靑銅時代(二)" 北京出版社 1997
14 曲傳麟, "遼東半島石棚性質初探" 1 : 1982
15 武家昌, "遼東半島石棚初探" 4 : 1994
16 許玉林, "遼東半島石棚之硏究" 3 : 1985
17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東半島石棚" 遼寧科學技術出版社 1994
18 宋延英, "遼東半島的石棚文化-析木城石棚" 52 : 1987
19 陶炎, "遼東半島的巨石文化" 1 : 1981
20 宮本一夫, "遼東半島周代倂行土器の變遷-上馬石貝塚A․BII區お中心に-" 76-74, 1991
21 吳江原, "遼東 南部 浮渡河 流域圈의 형성과 大型 支石墓群 출현의 社會經濟的 背景" 10 : 2011
22 靳楓毅, "論中國東北地區含曲刃靑銅短劍的文化遺存 (上)" 4 : 1982
23 李淸圭, "청동기를 통해 본 고조선" 國史編纂委員會 42 : 1993
24 이성주, "지석묘: 농경사회의기념물, In 한국지석묘연구이론과방법계급사회의발생" 주류성 2000
25 도유호, "조선거석문화연구" (2) : 1959
26 석광준, "우리나라서북지방고인돌에관한연구" 7 : 1979
27 吳江原, "요동 남부지역 雙房型 二重口緣深鉢形土器에 관한 연구" 關東大學校 博物館 2 (2): 2002
28 오강원, "비파형동검문화와요령지역의청동기문화" 청계 2006
29 박진욱, "비파형단검문화의발원지와그창조자에대하여, In 비파형단검문화에관한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7
30 許玉林, "鳳城東山大石盖墓發掘簡報" 2 : 1990
31 崔玉寬, "鳳城東山、西山大石盖墓1992年發掘簡報" 2 : 1997
32 金貞培, "韓國과遼東半島의支石墓" 7 : 1996
33 金載元, "韓國支石墓硏究"
34 李盛周, "靑銅器時代 東아시아 世界體系와 韓半島의 文化變動" 23 : 1996
35 遼寧省博物館, "金縣亮甲店小石棚" 1 : 1962
36 陳大爲, "試論遼寧“石棚”的性質及其演變" 1 : 1991
37 王嗣洲, "試論遼東半島石棚墓與大石盖墓的關係" 2 : 1996
38 肖兵, "示與大石文化" 2 : 1980
39 孫福海, "石棚考略" 7 : 1995
40 楊洪岐, "石棚山石棚" 4 : 1992
41 三上次男, "滿鮮古代における支石墓社會の成立-北東アジア古代社會の一形態" 60-61, 1951
42 三上次男, "滿鮮原始墳墓の硏究" 吉川弘文館 1961
43 三上次男, "滿鮮の考古學-とくに日本と對比して-" 162 : 1961
44 鳥居龍藏, "滿蒙古蹟考"
45 三上次男, "滿洲における支石墓の在り方" 38 (38): 1970
46 三上次男, "滿州地區における支石墓社會の推移と高句麗政權の成立" 1 : 1953
47 李亨求, "渤海沿岸地區 遼東半島의 고인돌 무덤 硏究" 韓國學中央硏究院 32 : 1987
48 陳明達, "海城縣的巨石建築" 10 : 1953
49 劉景玉, "析木城石棚及其性質考釋" 鞍山市博物館 1992
50 曉鴻, "析木城石棚" 3 : 1983
51 金貞, "東北아시아支石墓의硏究" 5 : 1988
52 池健吉, "東北아시아 支石墓의 型式學的 考察" 12 : 1982
53 三上次男, "東北地區の石棺墓文化, In 世界考古學大系 5" 平凡社 1959
54 金貞培, "東北亞의琵琶形銅劍文化에대한綜合的 硏究" 88 : 2000
55 三宅俊成, "東北アジア考古學の硏究" 圖書刊行會 1975
56 島田貞彦, "望海堝-關東州亮甲店附近望海堝先史遺迹-" 東亞考古學會 1942
57 編輯部, "普兰店安波发现重要石棺墓葬群"
58 許玉林, "新金雙房石棚和石盖石棺墓" 7 : 1983
59 許明綱, "新金雙房石棚和石盖石棺墓" 1 : 1980
60 華玉冰, "新城子文化初步硏究-兼談與遼東地區相關考古遺存的關係" 6 : 2011
61 藤田亮策, "支石墓雜記" 38 (38): 1948
62 李盛周, "巨視的 관점에서본東北亞 社會文化體系의變動" 東北亞歷史財團 33 : 2011
63 俠夫, "小石棚"
64 赵褘璠, "小关屯小石棚全貌: 青铜器时代氏族显贵的墓葬"
65 旅順博物館, "大連于家村砣頭積石墓地" 9 : 1983
66 刘永斌, "吴炉白店石棚获批省级文物: 白店石棚为进一步研究青铜器时代古人类的生活提供了重要依据"
67 河文植, "古朝鮮 地域의고인돌硏究" 백산자료원 1999
68 吳靑雲, "人力不至疑天成-介紹金王寂詩中所記的“石棚”" 86 : 1989
69 鳥居龍藏, "中國石棚之硏究" 31 : 1946
70 林澐, "中國東北系銅劍初論" 2 : 1980
71 姜仁求, "中國東北地方의古墳, In 韓國上古史의諸問題" 韓國上古史의諸問題 1987
72 宮本一夫, "中國東北地方の支石墓, In 東アジアにおける支石墓の總合的硏究"
73 甲元眞之, "中國東北地方, In 森貞次郞博士古稀記念古文化論集" 森貞次郞博士古喜記念論文集刊行會 1982
74 國家文物局, "中國文物地圖集: 遼寧分冊(上), (下)" 西安地圖出版社 2009
75 金貞培, "中國 東北地域의支石墓 硏究" 85 : 199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5-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38 | 0.553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