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성격특성, 인지적 통제와 위험행동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788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생은 과도한 흡연이나 폭음, 도박하기, 위험한 성관계 같은 여러 가지 위험행동을 많이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성격특성과 인지적 통제가 대학생의 위험행동과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성격특성을 통제했을 때 인지적 통제가 위험행동을 예측하는지를 성별에 따라 검증하였다. D광역시 소재 K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가운데에서 남학생 57명과 여학생 60명이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성격특성으로 감각추구와 충동성을 Arnett 감각추구척도와 Barratt 충동성검사로 측정하였고, 인지적 통제는 컴퓨터로 실시한 Eriksen 수반자극과제에서 산출된 수반자극방해효과와 갈등적응효과로 측정하였다. 또한 지난 1년 동안 여러 가지 위험행동에 참여하였던 정도를 측정하였다. 위험행동은 일상 생활관련위험행동, 지위관련위험행동, 위법관련위험행동과 물질관련위험행동으로 구분되었고 전반적으로 위험행동은 낮은 편이었다. 성별에 관계없이 감각추구는 위험행동과 관계를 보여서 감각추구를 많이 할수록 대학생은 위험행동을 더 많이 보였다. 수반자극방해효과와 갈등적응효과는 여학생의 위험행동과 관계가 없었지만 갈등적응효과는 남학생의 일상생활관련 위험행동과 관계가 있었다. 남학생은 갈등적응효과가 작을수록 위험행동을 더 많이 보였고, 감각추구를 통제하였을 때에도 갈등적응효과는 남학생의 위험행동을 의미있게 예측하였다. 이 연구는 인지적 통제가 남학생의 위험행동을 예측하는 중요한 인지적 요인이며, 갈등적응효과가 수반자극방해효과보다 위험행동을 더 잘 예측한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대학생은 과도한 흡연이나 폭음, 도박하기, 위험한 성관계 같은 여러 가지 위험행동을 많이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성격특성과 인지적 통제가 대학생의 위험행동과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

      대학생은 과도한 흡연이나 폭음, 도박하기, 위험한 성관계 같은 여러 가지 위험행동을 많이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성격특성과 인지적 통제가 대학생의 위험행동과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성격특성을 통제했을 때 인지적 통제가 위험행동을 예측하는지를 성별에 따라 검증하였다. D광역시 소재 K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가운데에서 남학생 57명과 여학생 60명이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성격특성으로 감각추구와 충동성을 Arnett 감각추구척도와 Barratt 충동성검사로 측정하였고, 인지적 통제는 컴퓨터로 실시한 Eriksen 수반자극과제에서 산출된 수반자극방해효과와 갈등적응효과로 측정하였다. 또한 지난 1년 동안 여러 가지 위험행동에 참여하였던 정도를 측정하였다. 위험행동은 일상 생활관련위험행동, 지위관련위험행동, 위법관련위험행동과 물질관련위험행동으로 구분되었고 전반적으로 위험행동은 낮은 편이었다. 성별에 관계없이 감각추구는 위험행동과 관계를 보여서 감각추구를 많이 할수록 대학생은 위험행동을 더 많이 보였다. 수반자극방해효과와 갈등적응효과는 여학생의 위험행동과 관계가 없었지만 갈등적응효과는 남학생의 일상생활관련 위험행동과 관계가 있었다. 남학생은 갈등적응효과가 작을수록 위험행동을 더 많이 보였고, 감각추구를 통제하였을 때에도 갈등적응효과는 남학생의 위험행동을 의미있게 예측하였다. 이 연구는 인지적 통제가 남학생의 위험행동을 예측하는 중요한 인지적 요인이며, 갈등적응효과가 수반자극방해효과보다 위험행동을 더 잘 예측한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isk behaviors such as binge drinking, gambling and substance use occurs often among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ognitive control and risk behaviors were examined i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ifty seven male and 60 female students of K University in D city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by means of Arnett’s Sensation Seeking Scale and Barratt’s Impulsivity Scale. Cognitive control was measured through the Flanker interference and conflict adaptation effects, which were assessed via the Eriksen Flanker task. Risk behaviors were assessed by the frequencies of risk behaviors in the past year. Regardless of gender, sensation seeking but not impulsivity was related to risk behaviors. The Flanker interference and conflict adaptation effects were not related to risk behaviors in females. However, the conflict adaptation effect was related to risk behaviors in males. Males displayed high levels of risk behaviors when they showed poor cognitive control. When sensation seeking was controlled, the conflict adaptation effect predicted males’ risk behaviors. This study indicated that cognitive control is an important cognitive predictor of male college students’ risk behaviors and that the conflict adaptation effect predicted risk behaviors better than the Flanker interference effect.
      번역하기

      Risk behaviors such as binge drinking, gambling and substance use occurs often among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ognitive control and risk behaviors were examined in male and female college ...

      Risk behaviors such as binge drinking, gambling and substance use occurs often among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ognitive control and risk behaviors were examined i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ifty seven male and 60 female students of K University in D city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by means of Arnett’s Sensation Seeking Scale and Barratt’s Impulsivity Scale. Cognitive control was measured through the Flanker interference and conflict adaptation effects, which were assessed via the Eriksen Flanker task. Risk behaviors were assessed by the frequencies of risk behaviors in the past year. Regardless of gender, sensation seeking but not impulsivity was related to risk behaviors. The Flanker interference and conflict adaptation effects were not related to risk behaviors in females. However, the conflict adaptation effect was related to risk behaviors in males. Males displayed high levels of risk behaviors when they showed poor cognitive control. When sensation seeking was controlled, the conflict adaptation effect predicted males’ risk behaviors. This study indicated that cognitive control is an important cognitive predictor of male college students’ risk behaviors and that the conflict adaptation effect predicted risk behaviors better than the Flanker interference eff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심양, "한국판 Barratt 충동성 검사-11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769-782, 2012

      2 전덕희, "청소년의 우울과 감각추구성향이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산대학교 대학원 2002

      3 한상철, "청소년기의 위험행동 : 교우관계 및 가족역할 변화의 관계" 5 (5): 45-62, 1998

      4 백기청, "천안지역 대학생의 흡연군과 비흡연군간 충동성, 우울 및 불안정도 비교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1 (41): 1089-1098, 2002

      5 양돈규, "위험행동에 대한 낙관성 및 감각추구성향의 영향" 9 : 89-113, 2001

      6 신지원, "대학생의 충동성과 문제음주 사이의 관계: 음주동기와 예방행동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1831-1848, 2014

      7 김훈희, "대학생들의 발달자산, 스트레스 및 위험행동의 구조적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625-635, 2014

      8 이중정, "대구광역시 일개 4년제 대학생의 건강위험행동조사" 29 (29): 106-117, 2003

      9 Peeters, M., "Weakness in executive functioning predict the initiating of adolescents’ alcohol use" 16 : 139-146, 2015

      10 Duangpatra, K. N. K., "Variables affecting emerging adults’ self-reported risk and reckless behaviors" 30 (30): 283-309, 2009

      1 허심양, "한국판 Barratt 충동성 검사-11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769-782, 2012

      2 전덕희, "청소년의 우울과 감각추구성향이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산대학교 대학원 2002

      3 한상철, "청소년기의 위험행동 : 교우관계 및 가족역할 변화의 관계" 5 (5): 45-62, 1998

      4 백기청, "천안지역 대학생의 흡연군과 비흡연군간 충동성, 우울 및 불안정도 비교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1 (41): 1089-1098, 2002

      5 양돈규, "위험행동에 대한 낙관성 및 감각추구성향의 영향" 9 : 89-113, 2001

      6 신지원, "대학생의 충동성과 문제음주 사이의 관계: 음주동기와 예방행동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1831-1848, 2014

      7 김훈희, "대학생들의 발달자산, 스트레스 및 위험행동의 구조적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625-635, 2014

      8 이중정, "대구광역시 일개 4년제 대학생의 건강위험행동조사" 29 (29): 106-117, 2003

      9 Peeters, M., "Weakness in executive functioning predict the initiating of adolescents’ alcohol use" 16 : 139-146, 2015

      10 Duangpatra, K. N. K., "Variables affecting emerging adults’ self-reported risk and reckless behaviors" 30 (30): 283-309, 2009

      11 Miyake, A., "The unity and diversity of executive functions and their contributions to complex"Frontal Lobe"tasks : A latent variable analysis" 41 (41): 49-100, 2000

      12 Eysenck, S. B. G., "The place of impulsiveness in a dimensional system of personality description" 16 (16): 57-68, 1977

      13 Gullone, E., "The adolescent risk taking questionnaire :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15 (15): 231-250, 2000

      14 Greene, K., "Targeting adolescent risk-taking behaviors : The contributions of egocentrism and sensation-seeking" 23 (23): 439-461, 2000

      15 Arnett, J., "Sensation seeking : A new conceptualization and new scale" 16 (16): 289-296, 1994

      16 Magar, E. C. E., "Self-regulation and risk-taking" 45 : 153-159, 2008

      17 Pharo, H., "Risky business : Executive function, personality, and reckless behavior during adolescence and emerging adulthood" 125 (125): 970-978, 2011

      18 Arnett, J., "Risk behavior and family role transition during the twenties" 27 (27): 301-320, 1998

      19 Egner, T., "Right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mediates individual differences in conflict-driven cognitive control" 23 (23): 3903-3913, 2011

      20 Bradley, G., "Psychosocial predictors of emerging adults’risk and reckless behaviors" 31 (31): 253-265, 2002

      21 Zuckerman, M., "Personality and risk-taking : Common biosocial factors" 68 (68): 999-1029, 2000

      22 Gratton, G., "Optimizing the use of information : Strategic control of activation of reponses" 121 (121): 480-506, 1992

      23 Stanford, M. A., "Impulsiveness and risk-taking behavior : Comparison of high-school and college students using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21 (21): 1073-1075, 1996

      24 Byrnes, J. P., "Gender differences in risk taking : a meta-analysis" 125 (125): 367-383, 1999

      25 Patton, J. H., "Factor structure of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51 (51): 768-774, 1995

      26 Gil-Hernandez, S., "Executive performance and dysexecutive symptoms in binge drinking adolescents" 51 : 79-87, 2016

      27 Gustavson, D. E., "Executive functions and substance use : Relations in late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126 (126): 257-270, 2017

      28 Parada, M., "Executive functioning and alcohol binge drinking in university students" 37 : 167-172, 2012

      29 Romer, D., "Executive cognitive functions and impulsivity as correlates of risk taking and problem behavior in preadolescents" 47 (47): 2916-2926, 2009

      30 Eriksen, B. A., "Effects of noise letters upon the identification of a target letter in a non-search task" 16 (16): 143-149, 1974

      31 Khurana, A., "Early adolescent sexual debut : The mediating role of working memory ability, sensation seeking and impulsivity" 48 (48): 1416-1428, 2012

      32 Romer, D., "Does adolescent risk taking imply weak executive function? a prospective study of relations between working memory performance, impulsivity, and risk taking in early adolescence" 14 (14): 1119-1133, 2011

      33 Egner, T., "Congruency sequence effects and cognitive control" 7 (7): 380-390, 2007

      34 Botvinick, M. W., "Conflict monitoring and cognitive control" 108 (108): 624-652, 2001

      35 Rolison, M. R., "College student risk-taking from three perspectives" 38 (38): 689-704, 2003

      36 Youssef, G. J., "Cognitive control as a moderator of temperamental motivations toward adolescent risk-taking behavior" 87 (87): 395-404, 2016

      37 Zuckerman, M., "Behavioral expressions and biosocial bases of sensation seek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38 Wagner, M. K., "Behavio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ubstance abuse and risk-taking, sensation-seeking, anxiety sensitivity, and self-reinforcement" 26 (26): 115-120, 2001

      39 Kerns, J. G., "Anterior cingulate conflict monitoring and adjustments in control" 303 : 1023-1026, 2004

      40 Miller, E. K., "An integrative theory of prefrontal cortex function" 24 : 167-202, 2001

      41 Turner, C.,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risk-taking behaviour as an explanation for high incidence of motor vehicle crashes as a driver in young males" 10 (10): 123-130, 2003

      42 Gullone, E., "Adolescents risk-taking and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23 (23): 393-407,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청소년개발원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영문명 : 미등록 ->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청소년연구
      외국어명 : Studies on Korean Yout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6 2.86 3.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3.84 3.58 4.967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