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심지 지반굴착에 따른 토류구조물의 설계 및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최종)  :  (Development Of Computer Programs For Earth Retaining Structures In Urban Excavation And Introduction Of Safety Control Criteria And Assurance System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75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objective is to develope safety control and quality assurance system for urban excavation, and data base for construction of urban excav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main objective, we need to clarify existing earth pressure model and stress transfer mechanism of retaining wall through exprimental model for the application to domestic ground condition, we need to develop safety control standard for site and numerical analysis method using on-site instrumental data for better construction management.
      번역하기

      The main objective is to develope safety control and quality assurance system for urban excavation, and data base for construction of urban excav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main objective, we need to clarify existing earth pressure model and stress...

      The main objective is to develope safety control and quality assurance system for urban excavation, and data base for construction of urban excav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main objective, we need to clarify existing earth pressure model and stress transfer mechanism of retaining wall through exprimental model for the application to domestic ground condition, we need to develop safety control standard for site and numerical analysis method using on-site instrumental data for better construction manag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지반 굴착에서 정보화 시공체계 구축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발에 있다. 최종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국내 지반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존 토압모델의 규명을 위하여 벽체의 응력전달 메카니즘을 모형실험을 통하여 규명하며, 원활한 시공 관리를 위해 현장 안전관리 기준치 설정과 현장 계측치를 이용한 수치해석 기법을 통하여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을 최종 목표로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지반 굴착에서 정보화 시공체계 구축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발에 있다. 최종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국내 지반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존 토압모델의 규명을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지반 굴착에서 정보화 시공체계 구축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발에 있다. 최종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국내 지반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존 토압모델의 규명을 위하여 벽체의 응력전달 메카니즘을 모형실험을 통하여 규명하며, 원활한 시공 관리를 위해 현장 안전관리 기준치 설정과 현장 계측치를 이용한 수치해석 기법을 통하여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을 최종 목표로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서론
      • 1.1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 1.2 1, 2차년도 연구현황
      • 1.3 연구개발 추진 체계
      • 2. 토류구조물의 토압모델 및 주변 지반거동의 규명을 위한 모형실험
      • 1.서론
      • 1.1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 1.2 1, 2차년도 연구현황
      • 1.3 연구개발 추진 체계
      • 2. 토류구조물의 토압모델 및 주변 지반거동의 규명을 위한 모형실험
      • 2.1 토조모형 개발
      • 2.2 실험방법
      • 2.3 측정기기의 정확도 평가
      • 2.4 토조 실험 결과 분석 및 평가
      • 2.5 결론
      • 3. 지반 굴착 전용 FEM S/W개발
      • 3.1 서론
      • 3.2 수치 해석의 이론적 배경
      • 3.3 재료 모델 개발
      • 3.4 지반굴착 모델 개발
      • 3.5 Large Scale 앵커지지 시스템
      • 3.6 Small Scale 버팀지지 시스템
      • 3.7 현장 굴착시공 모델링
      • 3.8 결론
      • 4. 탄소성보법 역해석 프로그램 개발
      • 4.1 개요
      • 4.2 탄소성보법
      • 4.3 역해석기법
      • 4.4 프로그램의 설명
      • 4.5 개발한 GEBA 프로그램의 실행
      • 4.6 결 론
      • 5. 현장 계측자료 분석
      • 5.1 개요
      • 5.2 지반 변위에 대한 경험적 연구
      • 5.3 지반변위에 대한 해석적, 반경험적 연구
      • 5.4 굴착으로 인한 지반 변위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 요약
      • 5.5 허용 지반침하량 기준
      • 5.6 구조물 피해 예측 방법
      • 5.7 지반침하 유발 요소와 특성
      • 5.8 계측 자료 수집 및 분석
      • 5.9 현장계측 자료에 대한 토압분석
      • 5.10 결론
      • 6.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발
      • 6.1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
      • 6.2 현장계측분석 및 안전관리를 위한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의 목표
      • 6.3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의 특징
      • 6.4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
      • 6.5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의 화면구성 예
      • 6.6 결 론
      • 7. 1차년도 연구 성과에 대한 평가 및 결론
      • 7.1 토조모형시험을 통한 연구 성과
      • 7.2 지반굴착 전용 FEM S/W의 개발성과
      • 7.3 탄소성보법에 의한 역해석프로그램 개발성과
      • 7.4 현장 계측자료 분석
      • 7.5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개발 성과
      • 8. 제언사항(향후 연구계획을 중심으로)
      • 8.1 최종연구의 기대 효과
      • 8.2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