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유형별 직업능력향상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Delphi Study for Development of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by Type of Dis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880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s an important means for achieving independent living and social integration of the disabled.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derive the component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s for each type of disability. To this e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with 20 vocational education experts to review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lements derived from prior literature and interviews with field workers. As a result of the study, basic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type of physical and brain lesion, basic vocational education and qualification education for the type of visual impairment, basic vocational education and qualification education for the type of hearing impairment and basic work function and work attitude for the type of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opinion that it is appropriate for the elements composed of in addition, for the components that could not be agreed upon, the validity of the item was explained through additional comments, and the basis for application to program development was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used as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s for each type of disability and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s an important means for achieving independent living and social integration of the disabled.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derive the components for the ...

      The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s an important means for achieving independent living and social integration of the disabled.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derive the component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s for each type of disability. To this e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with 20 vocational education experts to review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lements derived from prior literature and interviews with field workers. As a result of the study, basic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type of physical and brain lesion, basic vocational education and qualification education for the type of visual impairment, basic vocational education and qualification education for the type of hearing impairment and basic work function and work attitude for the type of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opinion that it is appropriate for the elements composed of in addition, for the components that could not be agreed upon, the validity of the item was explained through additional comments, and the basis for application to program development was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used as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s for each type of disability and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장애인 평생교육의 직업능력향상교육 프로그램은 장애인의 자립생활 및 사회통합을 달성하기 위 한 중요한 수단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유형별 직업능력향상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문헌과 현장실무자 면담을 통해 도출된 구성요소의 내용 타당성 을 검토하기 위하여 20명의 직업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2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지체·뇌병변장애 유형은 기초직업교육, 시각장애 유형은 기초직업교육과 자격인증교육, 청각장 애 유형은 기초직업교육과 자격인증교육, 중도·중복장애 유형은 기초작업기능과 작업 태도로 구성된 요소에 적합하다는 의견이 도출되었다. 또한, 합의에 이르지 못한 구성요소는 추가의견을 통해 해당 항목에 대한 타당도를 설명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는 장애유형별 직업능력향상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되었으며, 향후 직업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도 기여할 것이다.
      번역하기

      장애인 평생교육의 직업능력향상교육 프로그램은 장애인의 자립생활 및 사회통합을 달성하기 위 한 중요한 수단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유형별 직업능력향상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

      장애인 평생교육의 직업능력향상교육 프로그램은 장애인의 자립생활 및 사회통합을 달성하기 위 한 중요한 수단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유형별 직업능력향상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문헌과 현장실무자 면담을 통해 도출된 구성요소의 내용 타당성 을 검토하기 위하여 20명의 직업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2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지체·뇌병변장애 유형은 기초직업교육, 시각장애 유형은 기초직업교육과 자격인증교육, 청각장 애 유형은 기초직업교육과 자격인증교육, 중도·중복장애 유형은 기초작업기능과 작업 태도로 구성된 요소에 적합하다는 의견이 도출되었다. 또한, 합의에 이르지 못한 구성요소는 추가의견을 통해 해당 항목에 대한 타당도를 설명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는 장애유형별 직업능력향상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되었으며, 향후 직업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도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희찬,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정책의 변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9 (59): 59-81, 2016

      2 김두영 ; 고등영,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영역별 중요도에 대한 부모의 인식" 국립특수교육원 23 (23): 241-258, 2016

      3 Seu, E. J., "The study of key competencies and the epistemological perspective in secondary school environmental studies curriculums" Seoul University 2014

      4 Jung, K. J.,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mployment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 challenges and responding strategies"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2017

      5 Kim, D. I.,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ic-community-cased Curriculum"

      6 NISE(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rogram guide on education area for improving vocational ability"

      7 Noh, S. Y., "Delphi Technique: Forecasting the future with expert insight, easy-to-understand research methodolog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6

      8 Lee, J. S, "Delphi Survey" Education science book 2001

      9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28): 563-575, 1975

      10 Hong, S. D., "A basic study for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NISE(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18

      1 박희찬,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정책의 변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9 (59): 59-81, 2016

      2 김두영 ; 고등영,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영역별 중요도에 대한 부모의 인식" 국립특수교육원 23 (23): 241-258, 2016

      3 Seu, E. J., "The study of key competencies and the epistemological perspective in secondary school environmental studies curriculums" Seoul University 2014

      4 Jung, K. J.,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mployment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 challenges and responding strategies"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2017

      5 Kim, D. I.,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ic-community-cased Curriculum"

      6 NISE(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rogram guide on education area for improving vocational ability"

      7 Noh, S. Y., "Delphi Technique: Forecasting the future with expert insight, easy-to-understand research methodolog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6

      8 Lee, J. S, "Delphi Survey" Education science book 2001

      9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28): 563-575, 1975

      10 Hong, S. D., "A basic study for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NISE(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18

      11 Kim, S. H., "2014 National-wide surve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KIHASA(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12 Park, H. R., "2014 A national-wide survey on special education" NISE(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9-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Rehabilitation of Persons Disabilies -> Rehabilitation Research Institute affiliated with RI Korea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Mycobiology -> 재활복지
      외국어명 : Mycobiology ->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7 1.53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