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과 예비 교사의 글로벌 시민성 유형과 결정 요인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글로벌 시민성 유형을 분석하고 연령, 성별,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한 국제관련 시사 컨텐츠의 접촉 빈도, 해외방문경험, 지역공동체 활동경험 등의 변수가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시민성 유형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경북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서 사회과 예비교사 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중등학교 자격 취득 과목은 역사, 일반사회, 지리 등의 세 영역으로 이루어졌다. 군집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글로벌 시민성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연령, 성별,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한 국제관련 시사 컨텐츠의 접촉 빈도, 해외방문경험, 지역공동체활동 경험 등의 변수가 글로벌 시민성 유형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첫째, 사회과 예비교사의 글로벌 시민성은 ‘다중적 시민성(25.1%)’, ‘미숙한 시민성(27.6%)’, ‘국가지향 시민성(20.1%)’. 그리고 ‘이문화 인정주의(27.1%)’의 네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연령, 해외방문경험, 지역공동체활동 경험은 글로벌 시민성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성별과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한 국제관련 시사 컨텐츠의 접촉 빈도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과교사교육을 위한 방향과 연구의 한계 및 미래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글로벌 시민성 유형을 분석하고 연령, 성별,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한 국제관련 시사 컨텐츠의 접촉 빈도, 해외방문경험, 지역공동체 활동경험...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글로벌 시민성 유형을 분석하고 연령, 성별,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한 국제관련 시사 컨텐츠의 접촉 빈도, 해외방문경험, 지역공동체 활동경험 등의 변수가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시민성 유형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경북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서 사회과 예비교사 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중등학교 자격 취득 과목은 역사, 일반사회, 지리 등의 세 영역으로 이루어졌다. 군집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글로벌 시민성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연령, 성별,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한 국제관련 시사 컨텐츠의 접촉 빈도, 해외방문경험, 지역공동체활동 경험 등의 변수가 글로벌 시민성 유형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첫째, 사회과 예비교사의 글로벌 시민성은 ‘다중적 시민성(25.1%)’, ‘미숙한 시민성(27.6%)’, ‘국가지향 시민성(20.1%)’. 그리고 ‘이문화 인정주의(27.1%)’의 네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연령, 해외방문경험, 지역공동체활동 경험은 글로벌 시민성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성별과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한 국제관련 시사 컨텐츠의 접촉 빈도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과교사교육을 위한 방향과 연구의 한계 및 미래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ypes of global citizenship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in Gyeongsangbuk-do area, and to identify differential effect of variables such as sex, abroad experience, contact on international news by digital media, and regional community activity on types towards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205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in Gyeongsangbuk-do a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K-mean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ypes of global citizenship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re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variables on types of global citizenship.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ly, The respondents were grouped into four types: ‘the multiple citizenship(25.1%), ’the immature citizenship(27.6%)’ ‘the nationally oriented citizenship(20.1%)’, and ‘the recognition of cultural difference(27.1%). Age, regional community activity, and abroad experience were predictors(p<.05), but sex and contact on international news by digital media were not predictors, The paper includes theoretical implications, a discussion of the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ypes of global citizenship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in Gyeongsangbuk-do area, and to identify differential effect of variables such as sex, abroad experience, contact on international new...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ypes of global citizenship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in Gyeongsangbuk-do area, and to identify differential effect of variables such as sex, abroad experience, contact on international news by digital media, and regional community activity on types towards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205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in Gyeongsangbuk-do a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K-mean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ypes of global citizenship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re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variables on types of global citizenship.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ly, The respondents were grouped into four types: ‘the multiple citizenship(25.1%), ’the immature citizenship(27.6%)’ ‘the nationally oriented citizenship(20.1%)’, and ‘the recognition of cultural difference(27.1%). Age, regional community activity, and abroad experience were predictors(p<.05), but sex and contact on international news by digital media were not predictors, The paper includes theoretical implications, a discussion of the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 Ⅲ. 연구설계
      • Ⅳ. 연구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 Ⅲ. 연구설계
      • Ⅳ. 연구결과
      • Ⅴ. 논의와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운선,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세계시민성 비교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75-185, 2009

      2 김태준, "한국과 뉴질랜드 및 대만 청소년의 글로벌 시민성 유형과 교육적 환경과의 관계 비교연구" 한국교육학회 54 (54): 229-254, 2016

      3 이은경, "한국 청소년의 글로벌 시민성 유형 분석: 학교급별 시민교육에 주는 함의" 교육연구소 16 (16): 157-179, 2015

      4 박남수, "초등학생들의 세계시민성 육성을 위한 지역사회연계 세계교육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213-240, 2007

      5 마미화, "초등 사회과 ‘세계’ 관련 단원의 내용 분석:세계 이해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8 (38): 25-, 2006

      6 전호윤, "지구시민 육성을 위한 글로벌문제의 수업구성 연구-Betty A. Reardon의 인권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27-45, 2004

      7 이동민, "중등 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4 (54): 1-19, 2015

      8 김승환, "이주민에 대한 언론 보도가 수용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6) : 39-55, 2013

      9 정우탁, "유네스코는 어떠한 교육을 추구하는가?, 모두를 위한 국제이해교육"

      10 박기범, "스마트 시대의 시민성과 지식의 융합"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247-257, 2012

      1 강운선,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세계시민성 비교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75-185, 2009

      2 김태준, "한국과 뉴질랜드 및 대만 청소년의 글로벌 시민성 유형과 교육적 환경과의 관계 비교연구" 한국교육학회 54 (54): 229-254, 2016

      3 이은경, "한국 청소년의 글로벌 시민성 유형 분석: 학교급별 시민교육에 주는 함의" 교육연구소 16 (16): 157-179, 2015

      4 박남수, "초등학생들의 세계시민성 육성을 위한 지역사회연계 세계교육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213-240, 2007

      5 마미화, "초등 사회과 ‘세계’ 관련 단원의 내용 분석:세계 이해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8 (38): 25-, 2006

      6 전호윤, "지구시민 육성을 위한 글로벌문제의 수업구성 연구-Betty A. Reardon의 인권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27-45, 2004

      7 이동민, "중등 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4 (54): 1-19, 2015

      8 김승환, "이주민에 대한 언론 보도가 수용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6) : 39-55, 2013

      9 정우탁, "유네스코는 어떠한 교육을 추구하는가?, 모두를 위한 국제이해교육"

      10 박기범, "스마트 시대의 시민성과 지식의 융합"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247-257, 2012

      11 김왕근, "세계화와 다중 시민성 교육의 관계에 관한 연구" 28 (28): 45-68, 1999

      12 박선영, "세계화를 대비하는 지구시민교육의 필요성 : 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7 (7): 13-24, 2009

      13 설규주, "세계시민사회의 대두와 다문화주의적 시민교육의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31-54, 2004

      14 손경원, "세계 시민성의 진단과 시민윤리 교육적 함의"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4) : 121-144, 2014

      15 김갑철,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한 지리교육과정의 재개념화" 대한지리학회 51 (51): 455-472, 2016

      16 심광택, "생태적 다중시민성에 기반한 초등사회과 교실수업 설계 - 국가시민성, 세계시민성,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5 (55): 41-56, 2016

      17 김태준, "사회적 자본 형성의 관점에서 본 한국사회 시민의식의 주요 실태" 한국교육개발원 2004

      18 서용선, "사회과교육에서 시민성과 민주주의의 연관성 : 교육적 맥락, 의미, 방향" 교육연구원 29 (29): 393-417, 2013

      19 교육부, "사회과교육과정"

      20 교육부, "사회과교육과정"

      21 모경환, "사회과 글로벌 시티즌십 교육의 동향과 과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6 (46): 73-108, 2014

      22 이승연,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글로벌 시민성 분석 -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2 (22): 17-32, 2015

      23 김민성, "비판적 세계시민성을 통한 지리 교과서 재구성 전략: 르완다를 사례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2 (52): 59-72, 2013

      24 김선미, "대학생의 세계화, 정보화 역량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6 (46): 125-145, 2007

      25 지은림, "대학생용 지구시민의식 척도 개발의타당화 및 관련변인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151-172, 2007

      26 노찬옥, "다원주의 시대의 세계시민 교육"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207-224, 2004

      27 정연구, "뉴스 미디어의 결혼이주여성 보도가 수용자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다문화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5 (55): 405-427, 2011

      28 옥일남, "글로벌 시민성 함양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방안"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6 (46): 105-140, 2014

      29 김정호, "글로벌 시대의 효과적인 초등 사회과 문화교육 지도 방안"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2 (52): 51-70, 2013

      30 김원수, "글로벌 스터디즈(Global Studies)1)의 지평 확대"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0 (50): 33-42, 2011

      31 이효미, "글로벌 마인드 역량의 구성요인 탐색 및 지수 개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4 (24): 493-521, 2011

      32 Heater, D., "World Citizenship: Cosmopolitan Thinking and its Opponents" Continuum 2002

      33 Hanvey, R. G., "Toward Internationalism" Newbury House 52-69, 1987

      34 Iyengar, S. I., "The evening news and presidential evaluations" 46 : 778-787, 1984

      35 Friedman, T. L., "The World is Flat: A Brief History of the Ttwenty-first Century" Farrar, Strauss, and Giroux 2005

      36 McLaren, P., "Teaching against globalization and the new imperialism:Toward a revolutionary pedagogy" 52 (52): 136-150, 2000

      37 Morais, D., "Initi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lobal citizenship scale" 15 (15): 445-466, 2010

      38 Winn, J. G., "Global citizenship as a function of higher education: the demographic and institutional determinates in a graduate student population" University of Sandiego. 2005

      39 Oxley, L., "Global Citizenship: A Typology for distinguishing its multiple conceptions" 61 (61): 134-145, 2013

      40 UNESC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eparing Learners for the Challenges of the Twenty-first Century" UNESCO

      41 McDougall, H. R., "From the individual to the world: Global citizenship in education, thought, and practice" Indiana University 2005

      42 McLeod, D. M., "Framing effects of television news coverage of social protest" 49 (49): 3-23, 1999

      43 Entman, R. M., "Framing bias: Media in the distribution of power" 57 (57): 163-173, 2007

      44 Oxfam,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A Guide for Schools" Oxfam

      45 Parekh, B., "Cosmopolitanism and global citizenship" 29 : 3-17, 2003

      46 Ashley, L., "Constructing reality: Print media’s framing of the women’s movement" 75 : 263-277, 1998

      47 Borah, P., "Conceptual issues in framing theory : A systematic examination of a decade’s literature" 61 : 246-263, 2011

      48 Cogan, J, J., "Citizenship for the 21 Century: an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Education" Kogan Page 2000

      49 Reysen, S., "A model of global citizenship : Antecedents and outcomes" 48 : 858-870,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1 1.26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