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방외유생 용례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8768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 후기에 점차로 강화되는 성균관 과시의 통방외 현상에 주목하여, 방외유생의 범위를 탐색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실록』과 『승정원일기』에서 방외유생의 용례를 검색한 후, 그 내용을 분석하는 접근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외유생은 지방유생과는 다른 의미를 갖는다. 지방유생을 지칭할 때에는 외방유생이라는 용어가 일관되게 사용되었다. 둘째, 방외유생의 기본적인 의미는 관학유생으로서의 방외유생이다. 이들은 성균관의 재회에 참석하거나, 거재생을 대신하여 재사를 지키거나, 성균관의 각종 행사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에 비하여 18세기 후반부터는 상경하는 유생이 증가함에 따라 재경유생으로서의 방외유생을 의미하는 용례가 나타났다. 셋째, 관학유생으로서의 방외유생과 재경유생으로서의 방외유생의 관계는 관학유생의 관리를 얼마나 엄격하게 시행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청금록』과 같은 명부를 엄격하게 작성하면 관학유생으로서의 방외유생의 성격이 유지되는 반면 재경유생으로서의 방외유생은 부상하지 못한다. 그들은 방외유생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렇지 못할 경우, 방외유생과 재경유생의 구분은 희미해지고 어느덧 이들은 재경유생이라는 점에서 동질성을 갖는 방외유생이 된다. 즉 재경유생으로서의 방외유생이 부상한다는 것이다. 넷째, 이러한 재경유생으로서의 방외유생이 부상했다는 것은 정조 대부터 방외유생 명의의 독자적인 상소가 증가하는 데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과 함께, 19세기에는 각종 과시의 통방외 현상이 강화되었고, 고종 대의 『태학별단서』에는 거재생과 방외유생의 구분이 없어지는 경향까지 나타났다. 이것은 조선 후기의 교육사 연구에서 방외유생이 중요한 고찰대상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조선 후기에 점차로 강화되는 성균관 과시의 통방외 현상에 주목하여, 방외유생의 범위를 탐색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실록』과 『승정원일기』에서 방외유생...

      본 연구는 조선 후기에 점차로 강화되는 성균관 과시의 통방외 현상에 주목하여, 방외유생의 범위를 탐색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실록』과 『승정원일기』에서 방외유생의 용례를 검색한 후, 그 내용을 분석하는 접근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외유생은 지방유생과는 다른 의미를 갖는다. 지방유생을 지칭할 때에는 외방유생이라는 용어가 일관되게 사용되었다. 둘째, 방외유생의 기본적인 의미는 관학유생으로서의 방외유생이다. 이들은 성균관의 재회에 참석하거나, 거재생을 대신하여 재사를 지키거나, 성균관의 각종 행사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에 비하여 18세기 후반부터는 상경하는 유생이 증가함에 따라 재경유생으로서의 방외유생을 의미하는 용례가 나타났다. 셋째, 관학유생으로서의 방외유생과 재경유생으로서의 방외유생의 관계는 관학유생의 관리를 얼마나 엄격하게 시행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청금록』과 같은 명부를 엄격하게 작성하면 관학유생으로서의 방외유생의 성격이 유지되는 반면 재경유생으로서의 방외유생은 부상하지 못한다. 그들은 방외유생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렇지 못할 경우, 방외유생과 재경유생의 구분은 희미해지고 어느덧 이들은 재경유생이라는 점에서 동질성을 갖는 방외유생이 된다. 즉 재경유생으로서의 방외유생이 부상한다는 것이다. 넷째, 이러한 재경유생으로서의 방외유생이 부상했다는 것은 정조 대부터 방외유생 명의의 독자적인 상소가 증가하는 데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과 함께, 19세기에는 각종 과시의 통방외 현상이 강화되었고, 고종 대의 『태학별단서』에는 거재생과 방외유생의 구분이 없어지는 경향까지 나타났다. 이것은 조선 후기의 교육사 연구에서 방외유생이 중요한 고찰대상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categorizing the concept of Bangwoe student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importance of the clarification of the students is that it is the start point to research the phenomenon which Seongkyunkwan(成均館) examinations became opened to Bangwoe students. To answer the question why the phenomenon happened needs to answer the question who they were. So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Bangwoe students by the analysis of the usag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ngwoe students were different to woeBang(外方) students which signified local students.
      Second, the first category of Bangwoe students is the four-affiliated schools (四學) students who do not live in the dormitory. The rule book of Seongkyunkwan(太學成典) contained some regulations of Bangwoe students in contrast to the resident students. And many usages shows that Bangwoe students had some connection with Seongkyunkwan, because they attended student meetings, formal ceremonies and replaced the resident students to keep the dormitory.
      Third, the second category of Bangwoe students is the capital students. In 18th century, many local students moved into the capital. They influenced the category of Bangwoe students. and Bangwoe students became out of the control of Seongkyunkwan. The independent appleals to the kings of Bangwoe students seems to be the evidence.
      Fourth, So the phenomenon of the Seongkyunkwan examination openness(通方外) needs to be answered in considering this change of the scope of Bangwoe student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categorizing the concept of Bangwoe student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importance of the clarification of the students is that it is the start point to research the phenomenon which Seongkyunkwan(成均館) examinat...

      This study aims at categorizing the concept of Bangwoe student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importance of the clarification of the students is that it is the start point to research the phenomenon which Seongkyunkwan(成均館) examinations became opened to Bangwoe students. To answer the question why the phenomenon happened needs to answer the question who they were. So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Bangwoe students by the analysis of the usag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ngwoe students were different to woeBang(外方) students which signified local students.
      Second, the first category of Bangwoe students is the four-affiliated schools (四學) students who do not live in the dormitory. The rule book of Seongkyunkwan(太學成典) contained some regulations of Bangwoe students in contrast to the resident students. And many usages shows that Bangwoe students had some connection with Seongkyunkwan, because they attended student meetings, formal ceremonies and replaced the resident students to keep the dormitory.
      Third, the second category of Bangwoe students is the capital students. In 18th century, many local students moved into the capital. They influenced the category of Bangwoe students. and Bangwoe students became out of the control of Seongkyunkwan. The independent appleals to the kings of Bangwoe students seems to be the evidence.
      Fourth, So the phenomenon of the Seongkyunkwan examination openness(通方外) needs to be answered in considering this change of the scope of Bangwoe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방외유생과 외방유생
      • Ⅲ. 방외유생과 성균관
      • Ⅳ. 방외유생과 재경유생
      • 요약
      • Ⅰ. 서론
      • Ⅱ. 방외유생과 외방유생
      • Ⅲ. 방외유생과 성균관
      • Ⅳ. 방외유생과 재경유생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순, "조선후기의 과거" 소명출판 2014

      2 최광만, "정조 대의 성균관 과시 정책" 한국교육사학회 37 (37): 103-130, 2015

      3 최광만, "영조 대의 성균관 과시 정책" 한국교육사학회 37 (37): 75-102, 2015

      4 "續大典"

      5 "無名子集"

      6 "洌陽歲時記"

      7 "朝鮮王朝實錄"

      8 최광만, "朝鮮 後期 靑衿錄 再考" 교육사학회 19 (19): 87-116, 2009

      9 "承政院日記"

      10 "太學成典"

      1 박현순, "조선후기의 과거" 소명출판 2014

      2 최광만, "정조 대의 성균관 과시 정책" 한국교육사학회 37 (37): 103-130, 2015

      3 최광만, "영조 대의 성균관 과시 정책" 한국교육사학회 37 (37): 75-102, 2015

      4 "續大典"

      5 "無名子集"

      6 "洌陽歲時記"

      7 "朝鮮王朝實錄"

      8 최광만, "朝鮮 後期 靑衿錄 再考" 교육사학회 19 (19): 87-116, 2009

      9 "承政院日記"

      10 "太學成典"

      11 "增補文獻備考"

      12 최광만, "『태학성전』의 학사운영규정 분석" 교육사학회 24 (24): 187-219,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5-05-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History or Education ->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교육사학회 -> 교육사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History o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56 1.46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