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이(李珥)의 『정언묘선(精言妙選)』에 나타난 시 학습이론 분석 = 시를 통한 존양(存養)과 성찰(省察)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8768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정언묘선』에 나타난 시 학습이론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정언묘선』은 이이(李珥, 1536〜1584)가 학문하는 사람들 가운데 시를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해 편찬한 시 학습교재이다. 이이에게 시는 성리학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도(道)를 드러내고 밝히는 의리(義理)의 글이라는 점에서 성리학 공부에 일조(一助)하는 학습의 대상이었다. 시가 문장 가운데 정수(精髓)라는 것과 성현의 글이 시의 표준이 된다는 이이의 인식은 시 학습을 위한 이론적 탐구로 나아갔다. 『정언묘선(精言妙選)』은 시 학습의 원리를 압축하여 총론적으로 제시한 「정언묘선서(精言妙選序)」가 제일 앞에 배치되어 있고, 시 학습의 방법을 각론적으로 안내하는 「정언묘선총서(精言妙選總敍)」가 이어지며 마지막으로 시 학습자료집으로서 「원자집(元字集)」 외 7권의 시집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 학습의 원리와 방법에 대한 모색과 탐구를 통해 이이가 얻은 깨달음은 의리(義理)를 궁구하는 글로서 시의 본령은 결국 시의 근본인 『시경』 삼백편의 정신에 있다는 것이었다. 이이에게 시 학습은 성정(性情)을 음영(吟詠)함으로써 성리학 공부가 지향하는 덕목인 존양(存養)과 성찰(省察)을 위한 교육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정언묘선』에 나타난 시 학습이론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정언묘선』은 이이(李珥, 1536〜1584)가 학문하는 사람들 가운데 시를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해 편찬한 ...

      이 연구는 『정언묘선』에 나타난 시 학습이론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정언묘선』은 이이(李珥, 1536〜1584)가 학문하는 사람들 가운데 시를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해 편찬한 시 학습교재이다. 이이에게 시는 성리학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도(道)를 드러내고 밝히는 의리(義理)의 글이라는 점에서 성리학 공부에 일조(一助)하는 학습의 대상이었다. 시가 문장 가운데 정수(精髓)라는 것과 성현의 글이 시의 표준이 된다는 이이의 인식은 시 학습을 위한 이론적 탐구로 나아갔다. 『정언묘선(精言妙選)』은 시 학습의 원리를 압축하여 총론적으로 제시한 「정언묘선서(精言妙選序)」가 제일 앞에 배치되어 있고, 시 학습의 방법을 각론적으로 안내하는 「정언묘선총서(精言妙選總敍)」가 이어지며 마지막으로 시 학습자료집으로서 「원자집(元字集)」 외 7권의 시집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 학습의 원리와 방법에 대한 모색과 탐구를 통해 이이가 얻은 깨달음은 의리(義理)를 궁구하는 글로서 시의 본령은 결국 시의 근본인 『시경』 삼백편의 정신에 있다는 것이었다. 이이에게 시 학습은 성정(性情)을 음영(吟詠)함으로써 성리학 공부가 지향하는 덕목인 존양(存養)과 성찰(省察)을 위한 교육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Yi I"s Theory of Poetry Learning In 『Jeongeonmyoseon(精言妙選)』. To Yi I, poetry was the best type of writing among various writings and the principal genre of literature. Therefore, in terms that poetry revealed and clarified "Tao(道)" that neo-Confucianism ultimately pursued, it was the subject of learning that contributed to the study of neo-Confucianism.
      Through the pursuit of poetry as the quintessence of writing and an exploration of poetry teaching as part of efforts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Neo-confucianism, Yi I further examined the principle of poetry teaching, and published a poetry learning material, 『Jeongeonmyoseon(精言妙選)』.
      In the book, 「Jeongeonmyoseonseo(精言妙選序)」 is placed in the first chapter to give an overview of the principles of poetry education, followed by 「Jeongeonmyoseonchongseo(精言妙選總敍)」 that gives detailed guidance on the methods of poetry teaching, and lastly, 「Wonjajip(元字集)」 and seven other collections of poem. Yi I’s realization in exploring methods and principles of poetry teaching was that writing poetry is to seek loyalty, and the essence of poem can be found in the 300 verses from the ancient poetry collection, 『the Book of Odes(詩經)』.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poetry education established by Yi I is that poetry learning is the study of character cultivation and introspection in which the mind of humans is preserved, their character is built, and their lives are reflected on and projected. Yi I"s theory of poetry education was based on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and in terms of containing the key point in the study of neo-Confucianism, it was associated with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education of Confucianis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Yi I"s Theory of Poetry Learning In 『Jeongeonmyoseon(精言妙選)』. To Yi I, poetry was the best type of writing among various writings and the principal genre of literature. Therefore, in terms that poet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Yi I"s Theory of Poetry Learning In 『Jeongeonmyoseon(精言妙選)』. To Yi I, poetry was the best type of writing among various writings and the principal genre of literature. Therefore, in terms that poetry revealed and clarified "Tao(道)" that neo-Confucianism ultimately pursued, it was the subject of learning that contributed to the study of neo-Confucianism.
      Through the pursuit of poetry as the quintessence of writing and an exploration of poetry teaching as part of efforts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Neo-confucianism, Yi I further examined the principle of poetry teaching, and published a poetry learning material, 『Jeongeonmyoseon(精言妙選)』.
      In the book, 「Jeongeonmyoseonseo(精言妙選序)」 is placed in the first chapter to give an overview of the principles of poetry education, followed by 「Jeongeonmyoseonchongseo(精言妙選總敍)」 that gives detailed guidance on the methods of poetry teaching, and lastly, 「Wonjajip(元字集)」 and seven other collections of poem. Yi I’s realization in exploring methods and principles of poetry teaching was that writing poetry is to seek loyalty, and the essence of poem can be found in the 300 verses from the ancient poetry collection, 『the Book of Odes(詩經)』.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poetry education established by Yi I is that poetry learning is the study of character cultivation and introspection in which the mind of humans is preserved, their character is built, and their lives are reflected on and projected. Yi I"s theory of poetry education was based on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and in terms of containing the key point in the study of neo-Confucianism, it was associated with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education of Confucian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언
      • Ⅱ. 유학의 시 교육이론 : 교육내용으로서 시 학습
      • Ⅲ. 이이의 『정언묘선』에 나타난 시 학습이론 분석
      • V. 이이의『정언묘선』에 나타난 시 학습이론의 교육적 의미
      • 요약
      • Ⅰ. 서언
      • Ⅱ. 유학의 시 교육이론 : 교육내용으로서 시 학습
      • Ⅲ. 이이의 『정언묘선』에 나타난 시 학습이론 분석
      • V. 이이의『정언묘선』에 나타난 시 학습이론의 교육적 의미
      • Ⅵ. 결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형갑, "栗谷과 동양의 시학정신" 12 (12): 183-222, 1988

      2 한국학중앙연구원, "栗谷學硏究叢書論文編1-10" 사단법인 율곡학회 2007

      3 "栗谷學硏究叢書: 資料編" 율곡학회 2007

      4 김갑기,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새문사 2007

      5 조동일, "한국문학사상사 시론" 지식산업사 1978

      6 정요일, "퇴계의 도산십이곡발과 율곡의 정언묘선서에 나타난 시가관 - 모시서, 시집전서 등 역대 유가의 문학론과 관련하여" 11 : 117-179, 2000

      7 김용옥, "중용한글 역주" 통나무 2011

      8 김경용, "조선의 교육헌장-우리교육의 오래된 미래" 박영스토리 2014

      9 정재철, "정언묘선의 풍격 연구" 한국한문학회 28 : 63-94, 2001

      10 최문형, "율곡의 주기론적 문학관과 시세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1 원형갑, "栗谷과 동양의 시학정신" 12 (12): 183-222, 1988

      2 한국학중앙연구원, "栗谷學硏究叢書論文編1-10" 사단법인 율곡학회 2007

      3 "栗谷學硏究叢書: 資料編" 율곡학회 2007

      4 김갑기,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새문사 2007

      5 조동일, "한국문학사상사 시론" 지식산업사 1978

      6 정요일, "퇴계의 도산십이곡발과 율곡의 정언묘선서에 나타난 시가관 - 모시서, 시집전서 등 역대 유가의 문학론과 관련하여" 11 : 117-179, 2000

      7 김용옥, "중용한글 역주" 통나무 2011

      8 김경용, "조선의 교육헌장-우리교육의 오래된 미래" 박영스토리 2014

      9 정재철, "정언묘선의 풍격 연구" 한국한문학회 28 : 63-94, 2001

      10 최문형, "율곡의 주기론적 문학관과 시세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11 황의동,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1, 2" 서광사 1998

      12 김주수, "율곡 이이의 시문학 연구 : 산수·전원 문학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13 정항교, "율곡 이이의 시문학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3

      14 홍학희, "율곡 이이의 시문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5 朴鍾培, "유학교육의 이상에 비추어 본 교과로서의 문학의 의미"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16 이종호, "유교의 문학관과 미의식" 사단법인 율곡학회 2007

      17 황애숙, "시와 철학" 한국학술정보(주) 2010

      18 김동인, "세주완역 논어집주대전2" 한울아카데미

      19 구인환, "문학교육론" 삼지원 1988

      20 리빙하이, "동아시아 미학" 동아시아 2010

      21 김용옥, "논어한글역주1, 2, 3" 통나무 2009

      22 김영호, "논어의 종합적 고찰Ⅰ" 도서출판 심산문화

      23 왕소, "退溪詩學" 중문출판사 1997

      24 기태완, "精言妙選" 보고사 1999

      25 "精言妙選"

      26 "精言妙選"

      27 김근, "漢詩의 비밀-시경과 초사편" 소나무 2008

      28 "栗谷全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58

      29 최동호, "文心雕龍" 민음사 1994

      30 이민홍, "增補士林派文學의 硏究" 도서출판 月印 2000

      31 "國譯栗谷集" 민족문화추진회 1968

      32 "國譯栗谷全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33 金東仁, "唐宋代 進士科에서 추구된 文學的 敎養의 性格"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34 이영환, "『논어』의 시교육론" 한국교육사학회 34 (34): 59-86, 2012

      35 이영환, "『논어』에 수용된 『시경』시의 교육적 해석" 한국교육사학회 35 (35): 155-189, 2013

      36 김익수, "21세기 새문화 창조와 율곡학" 수덕문화사 2001

      37 임형택, "16세기 사림파의 문학의식"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3 : 543-556,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5-05-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History or Education ->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교육사학회 -> 교육사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History o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56 1.46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