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제대군인의 취업실태에 대한 사례분석 연구- 외국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Employment Status of Vocational Soldiers - Focusing on comparison of foreign ca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61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mployment status of long-term service discharged soldiers with the cases of foreign soldiers. The need for research is that in order to facilitate the transfer of discharged soldiers from the military to the civilian sector, thorough social response and preparation are required for their discharge.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of effective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linked to employment based on analysis of foreign cases, the United States, Young-wook, France and Germany will push to expand and strengthen their ability development education to secure professionalism in employment, and will be effective based on demand survey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transition to vocational training courses were derived for degree-oriented education for long-term service personnel.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 online support system for the establishment and organizational readjustment of the support system for the discharged soldiers, and to reestablish the role of the former support institution, which is discharged from the military, to share the work and role Second, during the job reporting period through the support of former employees, the ability and expertise to adapt to the project sites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on-site practice and internship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mployment status of long-term service discharged soldiers with the cases of foreign soldiers. The need for research is that in order to facilitate the transf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mployment status of long-term service discharged soldiers with the cases of foreign soldiers. The need for research is that in order to facilitate the transfer of discharged soldiers from the military to the civilian sector, thorough social response and preparation are required for their discharge.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of effective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linked to employment based on analysis of foreign cases, the United States, Young-wook, France and Germany will push to expand and strengthen their ability development education to secure professionalism in employment, and will be effective based on demand survey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transition to vocational training courses were derived for degree-oriented education for long-term service personnel.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 online support system for the establishment and organizational readjustment of the support system for the discharged soldiers, and to reestablish the role of the former support institution, which is discharged from the military, to share the work and role Second, during the job reporting period through the support of former employees, the ability and expertise to adapt to the project sites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on-site practice and internship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복무 제대군인 취업실태를 외국군 사례와 비교분석 연구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필요성은 전역군인들이 군에서 민간으로 전직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제대에 대비하여 철저한 사회적응 및 전직준비가 요구되어지기 때문이다. 외국사례 분석결과 취업과 연계된 실효성 있는 직업교육훈련의 시행 측면에서는 미국, 영욱, 프랑스, 독일은 취업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능력계발교육의 확대와 강화를 추진하면서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교육과정을 것이다. 그리고 장기복무자의 학위위주 교육을 직업훈련 과정으로 전환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첫째, 제대군인 지원체제의 구축 및 조직정비 측면에서는 상시 정보제공과 상담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온라인 지원체제를 구축하고, 지원분야별로 제대군인 전직 지원기관의 업무와 역할을 분담하도록 하는 역할의 재정립이 중요하다. 둘째, 전직지원을 통하여 직업보도기간에는 현장실습과 인턴십 등을 통한 현장 적응 능력과 전문성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복무 제대군인 취업실태를 외국군 사례와 비교분석 연구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필요성은 전역군인들이 군에서 민간으로 전직을 원활...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복무 제대군인 취업실태를 외국군 사례와 비교분석 연구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필요성은 전역군인들이 군에서 민간으로 전직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제대에 대비하여 철저한 사회적응 및 전직준비가 요구되어지기 때문이다. 외국사례 분석결과 취업과 연계된 실효성 있는 직업교육훈련의 시행 측면에서는 미국, 영욱, 프랑스, 독일은 취업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능력계발교육의 확대와 강화를 추진하면서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교육과정을 것이다. 그리고 장기복무자의 학위위주 교육을 직업훈련 과정으로 전환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첫째, 제대군인 지원체제의 구축 및 조직정비 측면에서는 상시 정보제공과 상담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온라인 지원체제를 구축하고, 지원분야별로 제대군인 전직 지원기관의 업무와 역할을 분담하도록 하는 역할의 재정립이 중요하다. 둘째, 전직지원을 통하여 직업보도기간에는 현장실습과 인턴십 등을 통한 현장 적응 능력과 전문성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성희, "퇴직예정군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2

      2 국방부, "출 추진TF 회의록"

      3 국방부, "지원 실태 및 대책"

      4 구영휘, "제대군인의 전직지원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보안학회 13 (13): 37-43, 2013

      5 김점석, "제대군인의 전직 역량 및 교육훈련 내용 도출에 관한 연구 : 제대군인 재취업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5

      6 남용우, "제대군인 전직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5

      7 구영휘, "제대군인 전직지원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3

      8 박용수, "제대군인 교육훈련 성과에 관한 연구: 경비지도사과정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학회 10 (10): 235-258, 2013

      9 서운석, "제대(예정)군인 사회적응 및 사회재취업 교육과정에 대한 효과 분석: 국가보훈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4 (4): 23-47, 2011

      10 국방부, "전직지원 중·장기 발전방안 재구성"

      1 최성희, "퇴직예정군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2

      2 국방부, "출 추진TF 회의록"

      3 국방부, "지원 실태 및 대책"

      4 구영휘, "제대군인의 전직지원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보안학회 13 (13): 37-43, 2013

      5 김점석, "제대군인의 전직 역량 및 교육훈련 내용 도출에 관한 연구 : 제대군인 재취업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5

      6 남용우, "제대군인 전직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5

      7 구영휘, "제대군인 전직지원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3

      8 박용수, "제대군인 교육훈련 성과에 관한 연구: 경비지도사과정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학회 10 (10): 235-258, 2013

      9 서운석, "제대(예정)군인 사회적응 및 사회재취업 교육과정에 대한 효과 분석: 국가보훈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4 (4): 23-47, 2011

      10 국방부, "전직지원 중·장기 발전방안 재구성"

      11 국방부, "적자원개발 종합발전계획"

      12 양안나,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직업전환과정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4 (24): 1-24, 2011

      13 윤재민, "군 전역예정자 전직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3

      14 "http://www.law.go.kr"

      15 Freed, M. M., "Qualityoflife.: The physician’s dilemma" 65 : 109-111, 1984

      16 Gabriel, Z., "Quality of life from the perspectives of older people" 24 (24): 675-691, 2004

      17 George, L. K., "Quality of Life in Older Person" Human Sciences Press. INC 1980

      18 Hume, A. L., "Appling quality of life data in practice considerations for antihypertensive therapy" 28 (28): 403-410,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