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근대 그네뛰기의 변화 양상 =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School Physical Education Policies under the Military Government and the Civil Gover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987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no as Korean major holidays unlike today, play on the swing is important seasonal customs of Dano that wish for a good harvest the fecundity. Play on the swing as inherited important folk game of Dano, has been done actively in the modern times. However, play on the swing after modern times suffered two main changes. First, according to the meaning change of seasonal customs due to introduction of solar calendar and the diversification of industry, the swing that played during Dano was to be done regardless of the time. Second, play on the swing became to event and competition. Play on swing seems to be turning into sport such as competitions were held on a variety of areas and crowd gathered to see it, tourist trains were on service.
      번역하기

      Dano as Korean major holidays unlike today, play on the swing is important seasonal customs of Dano that wish for a good harvest the fecundity. Play on the swing as inherited important folk game of Dano, has been done actively in the modern times. How...

      Dano as Korean major holidays unlike today, play on the swing is important seasonal customs of Dano that wish for a good harvest the fecundity. Play on the swing as inherited important folk game of Dano, has been done actively in the modern times. However, play on the swing after modern times suffered two main changes. First, according to the meaning change of seasonal customs due to introduction of solar calendar and the diversification of industry, the swing that played during Dano was to be done regardless of the time. Second, play on the swing became to event and competition. Play on swing seems to be turning into sport such as competitions were held on a variety of areas and crowd gathered to see it, tourist trains were on servi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성신문, "황성신문"

      2 강정원, "현대 한국사회의 일생의례와 세시의례: 변화와 지속" 2006

      3 김수업, "현대 사회 속의 전통적 민속문화:현대 사회 속의 전통적 민속 놀이" 12 : 1999

      4 최상수, "한국의 씨름과 그네의 연구" 한국민속학회 1974

      5 심우성, "한국의 민속놀이:그 이해과 실제" 大光文化社 2000

      6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 4" 국립민속박물관 2003

      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한국민속대관 제4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8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 민속의 세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9 임일혁, "한국 민속놀이의 체육학적 유형분류" 9 (9): 2001

      10 김택규, "한국 농경세시의 연구: 농경의례의 문화인류학적 고찰" 영남대학교출판부 1985

      1 황성신문, "황성신문"

      2 강정원, "현대 한국사회의 일생의례와 세시의례: 변화와 지속" 2006

      3 김수업, "현대 사회 속의 전통적 민속문화:현대 사회 속의 전통적 민속 놀이" 12 : 1999

      4 최상수, "한국의 씨름과 그네의 연구" 한국민속학회 1974

      5 심우성, "한국의 민속놀이:그 이해과 실제" 大光文化社 2000

      6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 4" 국립민속박물관 2003

      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한국민속대관 제4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8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 민속의 세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9 임일혁, "한국 민속놀이의 체육학적 유형분류" 9 (9): 2001

      10 김택규, "한국 농경세시의 연구: 농경의례의 문화인류학적 고찰" 영남대학교출판부 1985

      11 大熊明子, "한국 그네뛰기 풍속의 변천" 서울대학교 2008

      12 김영웅, "중국조선족 민족 전통체육의 형성과 발전과정" 서울대학교 2005

      13 조선일보, "조선일보"

      14 송석하, "조선 전승오락의 분류" 조선일보사출판부 1941

      15 심우성, "우리나라 민속놀이" 동문선 1996

      16 한국교육영상연구, "북한의 민속놀이(비디오녹화자료)"

      17 민족통일체육연구원, "민족통일체육연구총서 4" 민족통일체육연구원 2004

      18 오장현, "민속놀이 지도자료" 대광문화사 1987

      19 寒川恒夫, "稲作民伝承遊戯の文化史的考察: 東アジア, 東南アジアを中心にして" 筑波大学 1980

      20 조선총독부, "江陵郡. 生活狀態調査, 3" 조선총독부 1931

      21 大林, "民族遊戯大事典" 大修館書店 1998

      22 조선급만주사, "朝鮮及滿洲, 326" 조선급만주사 1935

      23 조선총독부, "朝鮮の郷土娯楽" 조선총독부 1941

      24 조선총독부, "朝鮮の年中行事" 조선총독부 1933

      25 조선총독부, "朝鮮, 111" 조선총독부 1924

      26 岸野雄三, "最新スポーツ大事典" 大修館書店 1987

      27 仲摩照久, "日本地理風俗体系" 新光社 1930

      28 조선총독부, "平壤府. 生活状態調査, 4" 조선총독부 193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KOURNAL OF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KCI등재
      2021-07-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Phyd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8 0.73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