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독교 사회복지의 정체성과 나아갈 방향 연구: 미래 지역사회 공동체 개념을 중심으로 = The Identity and Future Direction of Christian Social Welfare based on the Concept of Local Commu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65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early missionary period, Korea has a history of brilliant Protestant social welfare tradition to this day and has carried out various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Nevertheless, the quantitative growth of Protestantism began to decline in the 1990s and public trust from the general population fell sharply with it. In this regard, Korean Protestantism should establish the essential mission of the Church and Christians once again. For this purpose, when examining the role of Christian social work in academic, theological, and practical sens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histor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and the need to find a new direction for the future. Through world history, Christianity has played an important social role in solving social problems and fulfilling the mission of the Gospel. Also, a number of professional and social welfare programs have evolved and developed the efforts of the Christian church in modern Western society. The concepts of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sm are emerging and emphasizing the theory of ‘communities and sharing economy.’ Korean Christianity and the Church must begin to incorporate these new concepts into their social work while keeping in mind the traditions of the past. This article suggests a new direction by emphasizing the core concept of the Christian tradition, Community, Korean Christian social welfare.
      번역하기

      Since the early missionary period, Korea has a history of brilliant Protestant social welfare tradition to this day and has carried out various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Nevertheless, the quantitative growth of Protestantism began to decline in th...

      Since the early missionary period, Korea has a history of brilliant Protestant social welfare tradition to this day and has carried out various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Nevertheless, the quantitative growth of Protestantism began to decline in the 1990s and public trust from the general population fell sharply with it. In this regard, Korean Protestantism should establish the essential mission of the Church and Christians once again. For this purpose, when examining the role of Christian social work in academic, theological, and practical sens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histor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and the need to find a new direction for the future. Through world history, Christianity has played an important social role in solving social problems and fulfilling the mission of the Gospel. Also, a number of professional and social welfare programs have evolved and developed the efforts of the Christian church in modern Western society. The concepts of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sm are emerging and emphasizing the theory of ‘communities and sharing economy.’ Korean Christianity and the Church must begin to incorporate these new concepts into their social work while keeping in mind the traditions of the past. This article suggests a new direction by emphasizing the core concept of the Christian tradition, Community, Korean Christian social welfa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개신교는 선교기에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빛나는 사회복지통의 역 사를 갖고 있으며 많은 사회사 활동을 펼쳐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신교의 양 성장은 1990년에 들어서 정체되기 시작했으며 일반인으로부터의 신뢰도 도 격히 하락하고 있다. 이런 에서 한국 개신교는 교회와 기독교인의 본질 인 사명에 해서 다시 한 번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 기독교 사회복지와 련된 학문, 신학, 실천 의미를 기독교사회복지의 역사 속에서 고찰하고 미래를 향한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세계사으로 기독교는 사회문제의 해결을 해서, 혹은 복음의 사명을 감당 하기 해서 요한 사회 역할을 수행해 왔다. 서구사회의 사회복지 발사를 거슬러 볼 때 교회와 기독교인들의 노력으로 수많은 문 사회복지 제도와 로그램을 발되어 왔다. 한국 기독교와 교회는 이러한 통을 살려서 변하는 세계에 걸맞은 새로운 기독교 사회복지를 실천해야 한다.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로 변되는 21세기를 지나면서 ‘지역사회 공동체와 공유경제‘ 라는 개념이 새롭 게 부각되고 강조되고 있다. 기독교 통의 핵심 하나인 공동체 개념을 바탕으 로 한민국 기독교사회복지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한국 개신교는 선교기에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빛나는 사회복지통의 역 사를 갖고 있으며 많은 사회사 활동을 펼쳐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신교의 양 성장은 1990년에 들어서 정체되기 ...

      한국 개신교는 선교기에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빛나는 사회복지통의 역 사를 갖고 있으며 많은 사회사 활동을 펼쳐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신교의 양 성장은 1990년에 들어서 정체되기 시작했으며 일반인으로부터의 신뢰도 도 격히 하락하고 있다. 이런 에서 한국 개신교는 교회와 기독교인의 본질 인 사명에 해서 다시 한 번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 기독교 사회복지와 련된 학문, 신학, 실천 의미를 기독교사회복지의 역사 속에서 고찰하고 미래를 향한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세계사으로 기독교는 사회문제의 해결을 해서, 혹은 복음의 사명을 감당 하기 해서 요한 사회 역할을 수행해 왔다. 서구사회의 사회복지 발사를 거슬러 볼 때 교회와 기독교인들의 노력으로 수많은 문 사회복지 제도와 로그램을 발되어 왔다. 한국 기독교와 교회는 이러한 통을 살려서 변하는 세계에 걸맞은 새로운 기독교 사회복지를 실천해야 한다.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로 변되는 21세기를 지나면서 ‘지역사회 공동체와 공유경제‘ 라는 개념이 새롭 게 부각되고 강조되고 있다. 기독교 통의 핵심 하나인 공동체 개념을 바탕으 로 한민국 기독교사회복지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기독교윤리실천운동 2014

      2 "한국인의 종교생활과 의식조사 요약보고서" 교회갱신협의회

      3 최석현, "한국의 자본주의와 사회적 경제" 경기개발연구원 (73) : 2012

      4 이만식, "한국교회의 사회복지실태와 활성화 과제"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2 : 2004

      5 노대명, "한국 사회적경제(Social Economy)의 현황과 과제 -사회적경제의 정착과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5 (5): 2007

      6 이준우, "한국 기독교사회복지재단의 현황과 방향성" 교회사회사업학회 (19) : 73-121, 2012

      7 전광현, "한국 기독교 사회복지의 활동과 과제" 한국종교문화학회 4 : 61-94, 2007

      8 강병오,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신뢰 실추 원인과 대책" 기독교신학연구소 (41) : 61-84, 2012

      9 한미준, "한국 개신교의 교회활동 및 신앙의식 조사보고서: 타종교인 및비종교인과의 비교분석" 도서출판 두란노 1998

      10 김은수, "하나님의 형상과 기독교 사회복지" 한국실천신학회 (6) : 2003

      1 기독교윤리실천운동 2014

      2 "한국인의 종교생활과 의식조사 요약보고서" 교회갱신협의회

      3 최석현, "한국의 자본주의와 사회적 경제" 경기개발연구원 (73) : 2012

      4 이만식, "한국교회의 사회복지실태와 활성화 과제"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2 : 2004

      5 노대명, "한국 사회적경제(Social Economy)의 현황과 과제 -사회적경제의 정착과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5 (5): 2007

      6 이준우, "한국 기독교사회복지재단의 현황과 방향성" 교회사회사업학회 (19) : 73-121, 2012

      7 전광현, "한국 기독교 사회복지의 활동과 과제" 한국종교문화학회 4 : 61-94, 2007

      8 강병오,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신뢰 실추 원인과 대책" 기독교신학연구소 (41) : 61-84, 2012

      9 한미준, "한국 개신교의 교회활동 및 신앙의식 조사보고서: 타종교인 및비종교인과의 비교분석" 도서출판 두란노 1998

      10 김은수, "하나님의 형상과 기독교 사회복지" 한국실천신학회 (6) : 2003

      11 박영호, "지역사회의 제 사회문제에 대한 교회의 기능과 역할"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8 : 2008

      12 조성돈, "종교인구 변동에 대한 분석과 한국교회의 과제" 한국사회이론학회 (32) : 93-118, 2007

      13 박희봉, "조직 내 사회자본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6 (6): 221-237, 2002

      14 유장춘, "세계화 시대의 교회사회사업 실천" 교회사회사업학회 (17) : 71-110, 2011

      15 "세계 석학들 “불평등, 자본주의 본질 요소 아냐”" MK 뉴스

      16 서정운, "선교신학에서 본 사회봉사" 숭실대학교 기독교사회연구소 3 : 1992

      17 "새로운 사회복지의 정의(2014.7 IFSW)" 한국사회복지사협회

      18 박종삼, "사회복지학개론" 창지사 2012

      19 박주현, "사회복지실천론" 창지사 2014

      20 양찬호, "사회복지신학은 필요한가?" 교회사회사업학회 (16) : 37-57, 2011

      21 김상균, "사회복지개론(개정2판)" 나남출판 2007

      22 이문식, "목회와 신학" 두란노 42-50, 2012

      23 김혜령, "마을공동체운동과 마을교회"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7) : 197-236, 2013

      24 홍기영, "로잔세계복음화운동의 선교신학적 고찰 (상)* ―로잔언약, 마닐라선언, 케이프타운헌신을 중심으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2 (22): 151-194, 2013

      25 강춘근, "기독교사회복지학을 어떻게 할 것인가?" 기독교학문연구회 9 (9): 41-85, 2004

      26 유장춘, "기독교사회복지운동의 방향과 전략"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8 : 2002

      27 강상우, "기독교사회복지 분광(Spectrum) : 다양한 분광(스펙트럼)의 존재 이유와 광의의-적극적 기독교사회복지의 필요성" 기독교학문연구회 16 (16): 7-34, 2011

      28 박영호, "기독교사회복지" 기독교문서선교회 2009

      29 김기원, "기독교 사회복지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14) : 1998

      30 김동춘, "교회적 디아코니아와 국가적 사회복지: 사회복지는 교회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교회적 대안인가" 한국복음주의신학회 33 : 2003

      31 "가톨릭 신자 급증·개신교인 감소 왜?" 인터넷 경향신문

      32 "[세계지식포럼] 제러미 리프킨 “협력적 공유사회 도래…사물인터넷이 자본주의 바꾼다”" 뉴시스

      33 이원규, "21세기 한국교회의 변화와 수평이동 현상" 감리교신학대학교 52 : 2005

      34 "2004 한국인의 종교와 종교의식" 한국갤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7 0.48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