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도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전체 주택의 72%가 아파트, 주상복합, 연립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공동주택의 건축적, 구조적 취약성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877167
2015
-
KCI등재
학술저널
401-409(9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2년도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전체 주택의 72%가 아파트, 주상복합, 연립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공동주택의 건축적, 구조적 취약성으로 ...
2012년도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전체 주택의 72%가 아파트, 주상복합, 연립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공동주택의 건축적, 구조적 취약성으로 발생되는 층간소음 문제는 이웃 간의 갈등과 분쟁 차원을 넘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건축문화의 쇄신을 기대하거나 건실한 주택을 찾아 나서는 비현실적이고도 장기적인 처방을 제외하고는 이웃 간에 배려하고 소음차단을 위한 인테리어 개선으로 대처해 나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실내 바닥마감재는 기능보완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층간 소음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해결도구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소음문제에 어떻게 대처하고 어떠한 생각과 관심으로 바닥재를 인식하고 있는가를 파악하여 기존제품과 차별화될 수 있는 차음기능성 바닥 마감재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윤구, "층간소음에 대한 아파트주민들의 인식" 한국환경교육학회 2013 (2013): 2013
2 김재규, "층간소음 감소를 위한 바닥마감재 유형별 바닥충격음 감쇠효과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주택대학원 2014
3 국민권익위원회, "층간 소음 국민의 88%가 스트레스 받고, 54%가 다툰 적 있어 : 권익 위 110 콜센터"
4 全桂媛, "아파트 바닥재에 대한 선호와 만족도"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8
5 최윤정, "아파트 단위주거 내부생활소음의 특성과 실태" 한국주거학회 20 (20): 83-90, 2009
6 권오정, "아파트 거실 바닥재에 대한 선호와 만족도" 한국주거학회 10 (10): 1999
7 정춘회,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8 문종욱, "공동주택 층간차음 개선을 위한 실물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6 (16): 109-116, 2014
9 송영국, "공동주택 층간 차음재의 시장현황" 한국설비기술협회 21 (21): 2004
10 이창호, "공동주택 층간 소음의 현황과 개선 과제:주택의 건설기준과 관리방안을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2013
1 임윤구, "층간소음에 대한 아파트주민들의 인식" 한국환경교육학회 2013 (2013): 2013
2 김재규, "층간소음 감소를 위한 바닥마감재 유형별 바닥충격음 감쇠효과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주택대학원 2014
3 국민권익위원회, "층간 소음 국민의 88%가 스트레스 받고, 54%가 다툰 적 있어 : 권익 위 110 콜센터"
4 全桂媛, "아파트 바닥재에 대한 선호와 만족도"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8
5 최윤정, "아파트 단위주거 내부생활소음의 특성과 실태" 한국주거학회 20 (20): 83-90, 2009
6 권오정, "아파트 거실 바닥재에 대한 선호와 만족도" 한국주거학회 10 (10): 1999
7 정춘회,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8 문종욱, "공동주택 층간차음 개선을 위한 실물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6 (16): 109-116, 2014
9 송영국, "공동주택 층간 차음재의 시장현황" 한국설비기술협회 21 (21): 2004
10 이창호, "공동주택 층간 소음의 현황과 개선 과제:주택의 건설기준과 관리방안을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2013
11 이창호, "공동주택 층간 소음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12
12 이재원, "공동주택 층간 소음 실태 및 현황"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3 (23): 2013
13 강선미, "공동주택 거주자들을 위한 커뮤니티 디자인 : 층간소음 분쟁 해결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2014
창의성 계발을 위한 나무블록 디자인 사례 연구 -다양한 유닛을 이용한 ‘나무로 생각하기’를 중심으로-
스마트 AR 마케팅 기반 고객경험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향상성 연구
테마파크의 효과적 길찾기를 위한 색채적용 연구-에버랜드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7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2-08-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저널 [디자인지식저널] -> 디자인지식저널외국어명 : Korea Design Knowledge Journal ->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11-0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산업포럼 -> 한국디자인지식학회영문명 : Korea Design Knowledge & Industrial Forum -> Korea Design Knowledge Society | ![]() |
2010-11-0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포럼 학술지 [디자인지식논총] -> 한국디자인지식저널 [디자인지식저널]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9-0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포럼 -> 한국디자인지식산업포럼영문명 : Korea Design Knowledge Forum -> Korea Design Knowledge & Industrial Forum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 ![]() |
2008-04-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아시아퍼시픽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지식포럼영문명 : Asia Pacific Society of Design -> Korea Design Knowledge Forum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Differentiation: Differentiating Tasks
Teachers TV Teachers TVDifferentiation: Engaging All Learners
Teachers TV Teachers TVDifferentiation: Differentiating the Starter
Teachers TV Teachers TVDifferentiation: Adult Support
Teachers TV Teachers TVDifferentiation in Action: Primary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