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래의 역사 수업 연구 경향과 연구 방법에 대한 검토 = Critical Review on Research Methodology of History Teaching in Recent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630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0~2014년 동안 초·중등학교의 역사 수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32편의 연구논문에 대해 연구 경향과 연구 방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역사 수업 연구와 연구 방법론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역사 수업 연구의 설계와 수행이 정밀하게 이루어진 연구 결과는 역사 수업에 대한 맥락적 이해와 적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1990년대 이후 한국의 학계에서는 역사 수업과 관련하여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과학적, 경험적 사례 연구들이 꾸준히 증가하였다. 최근 교원평가제에 따라 수업 공개가 일상화되고, 교사연구자들이 자신의 수업 실행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역사 수업의 내적 맥락을 긴밀하게 고찰할 수 있는 기회 또한 증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2편의 역사 수업 연구를 분석한 결과, 역사수업의 성패와 무관하게 역사 수업을 체계적이고 정밀하게 연구하는 방법론 측면에서 다소의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경험적, 실증적 연구논문은 연구 문제, 이론적 배경, 자료 수집, 자료 분석, 결론이라는 구성 요소를 갖추고 있다는 전제에 비추어볼 때, 분석 대상이 되는 연구 논문들이이 같은 구성 요소를 갖추고 있지 못하거나, 이들 요소간의 유기적 관계를 설정하지 못하여 일관되고 정밀한 연구 설계와 다소 거리가 먼 경우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역사 수업에 대한 경험 연구를 표방할 때 연구 방법의 재인식과 함께 학술공동체 내 공유를 위해 좀 더 엄정한 학술지 심사와같은 절차가 요청된다. 이를 가능케 하려면 중장기적으로 역사 수업을 연구하는 구체적인 훈련의기회를 예비교사와 연구자들에게 체계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0~2014년 동안 초·중등학교의 역사 수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32편의 연구논문에 대해 연구 경향과 연구 방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역사 수업 연구와 연구 방법론에 대한 ...

      본 연구는 2000~2014년 동안 초·중등학교의 역사 수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32편의 연구논문에 대해 연구 경향과 연구 방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역사 수업 연구와 연구 방법론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역사 수업 연구의 설계와 수행이 정밀하게 이루어진 연구 결과는 역사 수업에 대한 맥락적 이해와 적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1990년대 이후 한국의 학계에서는 역사 수업과 관련하여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과학적, 경험적 사례 연구들이 꾸준히 증가하였다. 최근 교원평가제에 따라 수업 공개가 일상화되고, 교사연구자들이 자신의 수업 실행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역사 수업의 내적 맥락을 긴밀하게 고찰할 수 있는 기회 또한 증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2편의 역사 수업 연구를 분석한 결과, 역사수업의 성패와 무관하게 역사 수업을 체계적이고 정밀하게 연구하는 방법론 측면에서 다소의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경험적, 실증적 연구논문은 연구 문제, 이론적 배경, 자료 수집, 자료 분석, 결론이라는 구성 요소를 갖추고 있다는 전제에 비추어볼 때, 분석 대상이 되는 연구 논문들이이 같은 구성 요소를 갖추고 있지 못하거나, 이들 요소간의 유기적 관계를 설정하지 못하여 일관되고 정밀한 연구 설계와 다소 거리가 먼 경우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역사 수업에 대한 경험 연구를 표방할 때 연구 방법의 재인식과 함께 학술공동체 내 공유를 위해 좀 더 엄정한 학술지 심사와같은 절차가 요청된다. 이를 가능케 하려면 중장기적으로 역사 수업을 연구하는 구체적인 훈련의기회를 예비교사와 연구자들에게 체계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iew research paper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history teaching published during 2000-2014, focusing their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ology.
      The critical review of total number of 32 papers, all empirical studies, would highlight the discussion of further teaching history research as well as research methodology.
      Recent research demonstrates the growth of scientific and empirical approaches based on data from history teaching and classroom. In spite of its growth of research body, the research methodology for teaching history still has shortcomings.
      Considering empirical studies usually consist of research questions, literature review,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result and discussion, the 32 focus papers, analyzed in this study, lack of consistency through inquiring own research questions, sometimes missing certain components of research papers. Unfortunately, some 192 역사교육연구_ Vol. 22 Key words : teaching history, research on history teaching, empirical study, research methodology findings turn out far from comprehensive and applicable results since it has inconsistent and delicate research design.
      In order to conduct scientific research on history teaching, research methodology should be emphasized throughout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review research paper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history teaching published during 2000-2014, focusing their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ology. The critical review of total number of 32 papers, all empirical studies, would highl...

      This study aims to review research paper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history teaching published during 2000-2014, focusing their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ology.
      The critical review of total number of 32 papers, all empirical studies, would highlight the discussion of further teaching history research as well as research methodology.
      Recent research demonstrates the growth of scientific and empirical approaches based on data from history teaching and classroom. In spite of its growth of research body, the research methodology for teaching history still has shortcomings.
      Considering empirical studies usually consist of research questions, literature review,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result and discussion, the 32 focus papers, analyzed in this study, lack of consistency through inquiring own research questions, sometimes missing certain components of research papers. Unfortunately, some 192 역사교육연구_ Vol. 22 Key words : teaching history, research on history teaching, empirical study, research methodology findings turn out far from comprehensive and applicable results since it has inconsistent and delicate research design.
      In order to conduct scientific research on history teaching, research methodology should be emphasized throughout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호환, "歷史敎育의 硏究와 方法論" 55 : 1994

      2 정진경, "한국 역사교육의 연구동향" 책과 함께 2011

      3 김래영, "연구 설계 및 연구 방법의 최근 동향: 초·중등 수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14 (14): 395-408, 2012

      4 김한종, "역사수업이론의 재개념화" 한국역사교육학회 (5) : 7-36, 2007

      5 김한종, "역사수업의 원리" 책과함께 2007

      6 백은진, "역사교사의 역사교육 목적에 관한 사례 연구" 역사교육연구회 (131) : 195-230, 2014

      7 김민정, "역사교사의 가르칠 궁리에 대한 반성과 공유: 역사수업연구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117) : 1-27, 2011

      8 양호환, "역사교과 교육이론의 가능성과 문제점- 교수내용지식의 성격과 의미" 53 : 1993

      9 강태원, "역사 탐구능력 함양을 위한 역사 글쓰기 수업" 역사교육학회 (39) : 3-38, 2007

      10 김민정, "역사 교사의 현장연구 방법론 모색 ― 실행연구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03) : 69-97, 2007

      1 양호환, "歷史敎育의 硏究와 方法論" 55 : 1994

      2 정진경, "한국 역사교육의 연구동향" 책과 함께 2011

      3 김래영, "연구 설계 및 연구 방법의 최근 동향: 초·중등 수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14 (14): 395-408, 2012

      4 김한종, "역사수업이론의 재개념화" 한국역사교육학회 (5) : 7-36, 2007

      5 김한종, "역사수업의 원리" 책과함께 2007

      6 백은진, "역사교사의 역사교육 목적에 관한 사례 연구" 역사교육연구회 (131) : 195-230, 2014

      7 김민정, "역사교사의 가르칠 궁리에 대한 반성과 공유: 역사수업연구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117) : 1-27, 2011

      8 양호환, "역사교과 교육이론의 가능성과 문제점- 교수내용지식의 성격과 의미" 53 : 1993

      9 강태원, "역사 탐구능력 함양을 위한 역사 글쓰기 수업" 역사교육학회 (39) : 3-38, 2007

      10 김민정, "역사 교사의 현장연구 방법론 모색 ― 실행연구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03) : 69-97, 2007

      11 최용규, "살아있는 역사 수업: 초등 교사를 위한 사회과 역사 수업 가이드" 교육과학사 2011

      12 전국역사교사모임,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 현장 교사들이 쓴 역사교육론" 휴머니스트 2008

      13 윤종배, "나의 역사수업: 교사를 위한 수업이야기" 역사넷 2008

      14 이미미, "교사의 지식, 왜 중요한가 -역사 교사 양성과 재교육에 있어서의 지식 문제 고찰" 한국역사교육학회 (16) : 203-240, 2012

      15 J. W. Creswell,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 Approaches" Sage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1 1.91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