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2015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를 통한 광주시의 지방화·국제화 전략과 거버넌스 = Governance and Strategies for Loc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through the 2015 Gwangju Summer Universia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115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 order to seek strategies of loc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for Gwangju metropolitan city through the realization of 2015 Gwangju Summer Universiade's values, was first to catch a glimpse of the values and purpose of hosting Universiade under the frame of reference, second, was to examine the strategical concepts of loc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hrough the mega-sports event from the point of historical facts, third,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Neo-governance to realize loc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for Gwangu city, and was finally to make a proposal of right direction of Neo-governance for local govern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strategy of loc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By the consideration of the basic notion of loc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under the frame of references, I, especially, propose the plan, dividing into 6categories, to push ahead with the loc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hrough the Universiade. First of all, the propagation of the image of Gwagju as a city of art and taste, second, the creation of image of Gwagju as a peaceful city through the formation of a single south-north team, third, the construction of the city image as a peaceful democratization land, forth, the introduction of three-step marketing strategy of 1964 Tokyo summer olympic game, fifth, the redevelopment of Gwangju as the world's sports mecca and a tourist attraction place by using clean natural environment, sixth, the realization of internationalization of Gwangju as a south-west central hub city.
      번역하기

      This study, in order to seek strategies of loc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for Gwangju metropolitan city through the realization of 2015 Gwangju Summer Universiade's values, was first to catch a glimpse of the values and purpose of hosting Unive...

      This study, in order to seek strategies of loc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for Gwangju metropolitan city through the realization of 2015 Gwangju Summer Universiade's values, was first to catch a glimpse of the values and purpose of hosting Universiade under the frame of reference, second, was to examine the strategical concepts of loc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hrough the mega-sports event from the point of historical facts, third,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Neo-governance to realize loc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for Gwangu city, and was finally to make a proposal of right direction of Neo-governance for local govern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strategy of loc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By the consideration of the basic notion of loc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under the frame of references, I, especially, propose the plan, dividing into 6categories, to push ahead with the loc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hrough the Universiade. First of all, the propagation of the image of Gwagju as a city of art and taste, second, the creation of image of Gwagju as a peaceful city through the formation of a single south-north team, third, the construction of the city image as a peaceful democratization land, forth, the introduction of three-step marketing strategy of 1964 Tokyo summer olympic game, fifth, the redevelopment of Gwangju as the world's sports mecca and a tourist attraction place by using clean natural environment, sixth, the realization of internationalization of Gwangju as a south-west central hub c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준, "한국지방자치론 지방정치・자치행정・자치경영" 법문사 2005

      2 임태성,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한‧일 월드컵 축구대회개최의 전략" 38 (38): 172-175, 1999

      3 임태성,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2010년 동계올림픽 개최전략" 40 (40): 2001

      4 김은숙,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스포츠이벤트 활성화 방안" 대구대학교 2000

      5 이상일, "지역개발 성과 극대화를 위한 스포츠 거버넌스 구축방안" 22-39, 2010

      6 이용헌, "지방국제화의 현황과 과제의 실증적 분석과 행정대응방안" 28 (28): 1565-1582, 1994

      7 이태영, "올림픽을 말한다" 서울특별시체육회 2008

      8 인상우, "시리즈 효과: 스포츠이벤트 레거시의 형성과정" 한국체육학회 50 (50): 123-137, 2011

      9 서세훈, "스포츠이벤트 유치에 대한 비정부단체(NGO)의 정책변화 메커니즘 분석 - 옹호연합모형(ACF)을 중심으로 -" 한국체육학회 49 (49): 485-498, 2010

      10 정희준, "스포츠메가이벤트와 경제효과:그 진실과 허구의 재구성"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1 (21): 229-251, 2008

      1 김병준, "한국지방자치론 지방정치・자치행정・자치경영" 법문사 2005

      2 임태성,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한‧일 월드컵 축구대회개최의 전략" 38 (38): 172-175, 1999

      3 임태성,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2010년 동계올림픽 개최전략" 40 (40): 2001

      4 김은숙,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스포츠이벤트 활성화 방안" 대구대학교 2000

      5 이상일, "지역개발 성과 극대화를 위한 스포츠 거버넌스 구축방안" 22-39, 2010

      6 이용헌, "지방국제화의 현황과 과제의 실증적 분석과 행정대응방안" 28 (28): 1565-1582, 1994

      7 이태영, "올림픽을 말한다" 서울특별시체육회 2008

      8 인상우, "시리즈 효과: 스포츠이벤트 레거시의 형성과정" 한국체육학회 50 (50): 123-137, 2011

      9 서세훈, "스포츠이벤트 유치에 대한 비정부단체(NGO)의 정책변화 메커니즘 분석 - 옹호연합모형(ACF)을 중심으로 -" 한국체육학회 49 (49): 485-498, 2010

      10 정희준, "스포츠메가이벤트와 경제효과:그 진실과 허구의 재구성"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1 (21): 229-251, 2008

      11 "스포츠 팬들 마음에 ‘브랜드’를 심어라"

      12 방지선, "성공적 지역 스포츠이벤트를 위한 선행과제" 40 (40): 2001

      13 임태성, "서울올림픽이 한국의 사회‧문화적 변동에 미친 영향" 한양대학교 1993

      14 김중순, "문화교류와 변동요인으로서의 올림픽 경기" 38 : 1987

      15 2015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조직위원회, "난 이데올로기를 믿지 않는다, 다만 진화할 뿐이다"

      16 박용길, "국제화와 지방정부의 대응 : 강원도의 국제교류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12 (12): 119-146, 2003

      17 박상윤, "국제스포츠이벤트 유치에 대한 국민인식이 지지도 및 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 -평창동계올림픽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47 (47): 81-91, 2008

      18 이홍구, "가장 한국적인 개성을 드러내야할 2015 광주유니버시아드. 토론집"

      19 Burgan, B, "Reconciling cost-benefit and economic impact assessment for event tourism" 7 (7): 321-330, 2001

      20 Parsons,W, "Public Policy: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policy analysis" Edward Elgar Publishing 1995

      21 Roche,M, "Mega-sports event and urban policy" 1994

      22 Chalip, L, "Effect of sport event media on destination image and intention to visit" 17 : 214-234, 2003

      23 박승규, "A.Toffler의 눈으로 본 지식정보화 사회와 미래의 전공선택" 학문사 2000

      24 임태성,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재도전에 대한 강원도민 인식조사- 개최예정후보지(평창)와 개최협력도시(춘천)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47 (47): 259-268,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2 0.725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