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Ⅰ. 택견 정의의 불명확성
- Ⅱ. 주변문화의 혼재성 분석
- 1. 택견은 보기 드문 무예인가
- 2. 주변 문화로서 ‘까기’의 혼재 양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51574
장진웅 (안동대학교)
2020
Korean
택견 ; 송덕기 ; 경기형태 ; 결련택견 ; 공통의 상 ; Taekkyun ; Bond ; Song-duk-ki ; Play-Form ; Kyulyun Taekkyeon ; identification
692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5-56(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한, "홍대 비공식살롱 면담. 2020.02.09"
2 최영년, "해동죽지" 1921
3 이승수, "텍견의 체계화에 미친 일본유도의 영향" 1 : 367-377, 2006
4 이승수, "택견의 체계화에 미친 검도의 영향" 한국체육사학회 18 : 37-50, 2006
5 도기현, "택견의 지역적 연고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3 (23): 301-313, 2014
6 김영만, "택견의 수련 계층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7 (27): 1-12, 2018
7 YTN, "택견, “서울시 문화재 지정” vs “가치 훼손”"
8 이용복, "택견" 학민사 1990
9 문세영, "조선어사전" 1983
10 한양명, "전통씨름의 대동놀이적 성격에 관한 연구" 18 : 229-252, 2000
1 이병한, "홍대 비공식살롱 면담. 2020.02.09"
2 최영년, "해동죽지" 1921
3 이승수, "텍견의 체계화에 미친 일본유도의 영향" 1 : 367-377, 2006
4 이승수, "택견의 체계화에 미친 검도의 영향" 한국체육사학회 18 : 37-50, 2006
5 도기현, "택견의 지역적 연고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3 (23): 301-313, 2014
6 김영만, "택견의 수련 계층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7 (27): 1-12, 2018
7 YTN, "택견, “서울시 문화재 지정” vs “가치 훼손”"
8 이용복, "택견" 학민사 1990
9 문세영, "조선어사전" 1983
10 한양명, "전통씨름의 대동놀이적 성격에 관한 연구" 18 : 229-252, 2000
11 남성진, "영산 아이들의 편싸움놀이 전승과 수용 양상" 비교민속학회 (34) : 339-380, 2007
12 양평시민의 소리, "스모의 근간이 한국이라면 가만있겠어?"
13 "사단법인 결련택견협회 홈페이지"
14 임동권,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146호" 1982
15 임동권,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 146호 택견"
16 김명근, "무예원 면담. 2016.07.02"
17 동아출판사, "동아국어사전" 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