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공간 인지가 인접범주로 전이되어 추상화 되는 현상, 즉 ‘공간은유’를 주제로 하여, 독일어와 한국어의 장소 및 이동동사(예, kommen, gehen, fallen, steigen, liegen, sitzen, stehen; 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2392
201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공간 인지가 인접범주로 전이되어 추상화 되는 현상, 즉 ‘공간은유’를 주제로 하여, 독일어와 한국어의 장소 및 이동동사(예, kommen, gehen, fallen, steigen, liegen, sitzen, stehen; 오...
본 연구에서는 공간 인지가 인접범주로 전이되어 추상화 되는 현상, 즉 ‘공간은유’를 주제로 하여, 독일어와 한국어의 장소 및 이동동사(예, kommen, gehen, fallen, steigen, liegen, sitzen, stehen; 오다, 가다, 떨어지다, 오르다, 눕다, 앉아있다, 서있다)와 장소전치사 및 장소표현(in, aus, vor, hinter, auf/uuml;ber, unter; .. 안/속에[으로], 밖에[으로], 앞에[으로], 뒤에[로], 위에[로], 아래에[로])이 은유적으로 확장될 때 각각 어떤 의미범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의미범주가 어떤 과정을 통해 파생되는 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어휘사전과 코퍼스의 검색작업을 실시하여 공간은유 표현 및 용례들을 수집하였다. 이처럼 수집된 공간표현의 은유적 용법 및 용례들을 토대로 공간은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인터넷상에 ‘독일어와 한국어의 공간은유 - 이동 및 장소 동사의 공간은유’(☞ http://plaza.snu.ac.kr/~koomc/metapher.htm)와 ‘독일어와 한국어의 공간은유 - 장소전치사의 공간은유’(☞ http://plaza.snu.ac.kr/~koomc/ Raummetapher.htm)라는 사이트로 공개하였다. 나아가 이와 같이 인터넷에 구축한 공간은유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독일어와 한국어의 공간은유 현상을 비교함으로써, 두 언어의 의미확장 과정에서 관찰할 수 있는 공간은유의 공통점 및 상이점을 밝혀냈다. 특히 공간은유상의 차이점은 해당 용법이 공간표현의 원형의미로부터 약화되거나 탈락되는 정도가 다름에 기인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파일은 한국독어학회 제6회 겨울철 워크숍(2010. 2. 2 ~ 2010. 2. 4)에서 "인지와 은유: vor와hinter의 공간은유"라는 주제로 연구자가 발표한 자료이다.
본 파일은 한국독어학회 제6회 겨울철 워크숍(2010. 2. 2 ~ 2010. 2. 4)에서 "인지와 은유: vor와hinter의 공간은유"라는 주제로 연구자가 발표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