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세기의 여항의 문학예술은 우리 문예사에서 여전히 주목되어야 할 부분이다. 여항지식인이 역사적으로 하나의 계층으로서 독립된 문예를 창출했는지, 그것이 그후 어떠한 방향으로 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805718
200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8,19세기의 여항의 문학예술은 우리 문예사에서 여전히 주목되어야 할 부분이다. 여항지식인이 역사적으로 하나의 계층으로서 독립된 문예를 창출했는지, 그것이 그후 어떠한 방향으로 변...
18,19세기의 여항의 문학예술은 우리 문예사에서 여전히 주목되어야 할 부분이다. 여항지식인이 역사적으로 하나의 계층으로서 독립된 문예를 창출했는지, 그것이 그후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해 갔는지에 대해 아직도 적지 않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심으로 인해 여항문예 연구는 그동안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조희룡과 같이 자료의 제한으로 인해 그 전체적 이해가 충분치 못한 경우도 있다.
이 글은 19세기 전반기에 여항의 문인서화가로 활동한 우봉 조희룡의 예술정신과 문예성향을 탐색함으로써 19세기 여항문예가 이룩한 성취의 한 국면을 해명하려는 목표를 지닌다.
국문 초록 (Abstract)
학위논문(박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고전문학전공 2001. 2
학위논문(박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고전문학전공 2001. 2
국문 초록 (Abstract)
표제지 ····· p. 0 목차 ····· p. i I. 서론 ····· p. 1 II. 김정희 문하 여항인으로서의 조희용 ····· p. 8 III. 예술정신의 특성 ····· p. 31 1. 탈중심적 사유 ····· p. 31 ...
표제지 ····· p. 0
목차 ····· p. i
I. 서론 ····· p. 1
II. 김정희 문하 여항인으로서의 조희용 ····· p. 8
III. 예술정신의 특성 ····· p. 31
1. 탈중심적 사유 ····· p. 31
2. 성령 중시와 몰입 ····· p. 42
3. 상대주의적 관용 ····· p. 54
IV. 문예의 성향 ····· p. 73
1. 이념미 탈색의 기ㆍ고 정취지향 ····· p. 77
2. 인간 정감 위주의 심미지향 ····· p. 94
3. 대중적 공감 추구의 보편지향 ····· p. 111
V. 문체와 수사의 특징 ····· p. 126
VI. 결론 ····· p. 139
참고문헌 ····· p. 144
부록 ····· p. 149
중문제요 ····· p.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