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중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비교 연구 : 대학 내에서의 요청 상황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1411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living in Korea : focusing on request situations in college

      • 형태사항

        vi, 80장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찬규
        참고문헌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52-000000228023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 내 요청 상황에서 한국인 대학원생과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양상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양상을 파악하는 데 목적...

      본 연구는 대학 내 요청 상황에서 한국인 대학원생과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양상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양상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거절 화행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Beebe, Takahashi & Uliss-Weltz(1990)과 Lyuh(1992)와 이해영(2003)에서 제시한 거절 화행 전략 틀을 중심으로 김유향(2008), 김정은(2011), 강효정(2015)에 제시한 전략들을 참고하여 거절 화행 전략은 직접적인 거절 전략, 간접적인 거절 전략 및 부가 전략으로 나누어 본 연구의 거절 화행 전략 틀을 고안하였다. 다음으로 재학 중인 20대의 한국인 대학원생과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담화완성형테스트(DCT)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전반적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의 거절 화행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전체 한국인 대학원생과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전략 사용 횟수, 전략 결합 양상 및 세부적인 전략 결합 사용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 내에 한국 거주 기간별 거절 전략 사용 양상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 거주 기간에 따라 거절 전략의 사용이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대학 내에서의 요청 상황별로도 전략 결합 사용 양상과 거절 부담감 및 거절 후 심리 상태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이 간접적인 거절 전략을 다른 전략 유형보다 많이 사용하였고 ‘간접(+간접)’ 전략 결합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거주 기간에 따라 ’직접+부가’와 ‘직접+간접’ 전략 결합의 사용이 곡선적인 형태의 변화 양상을 보였다. 셋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이 ‘확답 연기’, ‘수락 미루기’와 같은 회피 전략을 선호하고 ‘호칭’을 과도하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이 한국인 대학원생 집단보다 교수의 거절에 대해 부담과 불편함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이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한국어 화용언어적 능력을 갖추고는 있으나 아직 한국어 사회화용적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이 내적인 의도를 자유롭게 표현하지 않고, 조심스러운 태도로 예의를 갖추고, 거절 화행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았을 때 한국 문화에 적응하기 위해 많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 내 요청 상황을 중심으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사용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서 분석하였으므로 화용언어적 능력뿐만 아니라 사회화용적 능력까지 고찰한 데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의 수와 소재 대학이 제한적이며 다양한 절차를 거쳐 객관적인 조사 자료를 만들고자 하였으나 실제 언어생활을 반영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한 자료라는 점에서 그 한계점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se the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of Korean and Chinese graduate students living in Korea under request situations in college and to identify the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of Chinese graduate studen...

      The present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se the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of Korean and Chinese graduate students living in Korea under request situations in college and to identify the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living in Korea.
      The authors first examined the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speech act, referred to the strategies presented in studies conducted by Kim Yoo Hyang (2008), Kim Jeong-eun (2011), and Kang Hyo Jeong (2015), focusing on the strategy framework of refusal speech act presented by Beebe, Takahashi & Uliss-Weltz (1990), Lyuh (1992), and Lee Hae Young (2003), and divided the refusal speech act strategy into direct, indirect, and adjunct categories to devise the strategy framework of the refusal speech act. The authors administered a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to collect data from Korean and Chinese graduate students in their 20s, who are currently living and attending school in Korea.
      To analyse the overall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of the Chinese student group, the authors compared and analysed the usage frequency of the refusal strategy as well as the usage patterns of the strategy combination and detailed strategy combination of both the student groups. Furthermore, the authors examined the changes that occur according to th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by comparing the analysing the refusal strategy patterns for each residence period. Finally, the authors examined the patterns of strategy combination usage, refusal burden, and psychological state after refusal for every request situation in colle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nese graduate student group living in Korea used indirect refusal strategy more than other strategy types, and most preferred to use ‘indirect (+indirect)' strategy combin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the use of ‘direct + adjunct' and ‘direct + indirect' strategy combinations underwent a curvilinear change; consequently,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usage patterns of the Korean graduate student group. Third, the Chinese graduate student group preferred avoidance strategies, such as ‘postponement' and ‘acceptance delay', and excessively used ‘title'. Fourth, the Chinese graduate student group felt less burden and discomfort in terms of the professor's refusal, compared to the Korean graduate student group.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Chinese graduate student group had a high level of Korean pragma-linguistic ability; however, it lacked the Korean socio-pragmatic ability. Nevertheless, these students are investing considerable efforts in adapting to the Korean culture, judging by their behaviour of not freely expressing their internal intentions, carefully practicing courtesy, and performing the refusal speech act.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analysing the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realisation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who have a relatively high Korean pragmatic ability than other learner groups, under request situations in colleg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xamines not only pragma-linguistic ability but also socio-pragmatic ability. However, it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 number of participating students and colleges were limited; and second, although the authors attempted to present objective research data using various procedures, it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actual language of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연구 방법 3
      • 1.3 선행 연구 검토 4
      • Ⅱ. 이론적 배경 7
      • Ⅰ.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연구 방법 3
      • 1.3 선행 연구 검토 4
      • Ⅱ. 이론적 배경 7
      • 2.1 거절 화행의 개념 및 특성 7
      • 2.2 거절 화행의 전략 8
      • Ⅲ. 연구 설계와 절차 19
      • 3.1 연구 참여자 19
      • 3.2 연구 도구 20
      • 3.3 연구 절차 20
      • 3.3.1 상황 선택을 위한 조사 21
      • 3.3.2 예비 조사 23
      • 3.3.3 본 조사 26
      • Ⅳ. 실험 결과 분석 27
      • 4.1 집단별 거절 전략 사용 양상 27
      • 4.1.1 전략 사용 양상 27
      • 4.1.2 전략 결합 양상 28
      • 4.1.3 직접적인 거절 전략 사용 양상 30
      • 4.1.4 간접적인 거절 전략 사용 양상 31
      • 4.1.5 부가 전략 사용 양상 33
      • 4.1.6 집단별 분석에 대한 결과 정리 34
      • 4.2 상황별 거절 전략 사용 양상 35
      • 4.2.1 친한 교수에게 거절하는 상황 35
      • 4.2.2 친한 선배에게 거절하는 상황 39
      • 4.2.3 친한 친구에게 거절하는 상황 43
      • 4.2.4 친한 후배에게 거절하는 상황 46
      • 4.2.5 친하지 않은 교수에게 거절하는 상황 49
      • 4.2.6 친하지 않은 선배에게 거절하는 상황 52
      • 4.2.7 친하지 않은 동기에게 거절하는 상황 55
      • 4.2.8 친하지 않은 후배에게 거절하는 상황 58
      • 4.2.9 상황별 분석에 대한 결과 정리 62
      • Ⅴ. 결론 63
      • 참고문헌 65
      • 부록 67
      • 국문초록 77
      • Abstract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