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활가>의 작품세계와 그 의미 = The literary world of Uhhwalga(迂闊歌) and its mea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027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p to now, prior study on Uhhwalga(迂闊歌) has paid much attention to the social status of writer Jung Hoon(鄭勳) and to interpret the emotion expressed in his work. Especially,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the interpretation about the emotion expressed in the works. In order to understand the world of Uhhwalga(迂闊歌) accurate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act that 17th century Korean classical poetry has expressed concern for identity in their works. This study focuses on this point and interpreted the work world of Uhhwalga(迂闊歌) in terms of identity. And Uhhwal(迂闊) is a new theme in the literary history of 17th century. This study focuses on this point and examined the meaning of loyalty. And this study examined the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Uhhwalga(迂闊歌) through comparison with the works of Park In–ro(朴仁老), a contemporary writer dealing with Uhhwal(迂闊).
      번역하기

      Up to now, prior study on Uhhwalga(迂闊歌) has paid much attention to the social status of writer Jung Hoon(鄭勳) and to interpret the emotion expressed in his work. Especially,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the interpretation about the emotion...

      Up to now, prior study on Uhhwalga(迂闊歌) has paid much attention to the social status of writer Jung Hoon(鄭勳) and to interpret the emotion expressed in his work. Especially,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the interpretation about the emotion expressed in the works. In order to understand the world of Uhhwalga(迂闊歌) accurate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act that 17th century Korean classical poetry has expressed concern for identity in their works. This study focuses on this point and interpreted the work world of Uhhwalga(迂闊歌) in terms of identity. And Uhhwal(迂闊) is a new theme in the literary history of 17th century. This study focuses on this point and examined the meaning of loyalty. And this study examined the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Uhhwalga(迂闊歌) through comparison with the works of Park In–ro(朴仁老), a contemporary writer dealing with Uhhwal(迂闊).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우활가>에 관한 선행 연구에서는 작자 정훈의 사회적 지위에 관심을 두거나 작품에 나타난 정서를 해석하는 데 큰 관심을 두었다. 그러나 관련 자료를 검토해보면 정훈을 몰락한 양반으로 보는 것은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 작품에 나타난 정서를 비롯해 <우활가>의 작품세계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17세기 국문시가 작가들이 자신들의 작품에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토로했다는 점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우활가>의 주제인 우활도 17세기 가사 문학사에 새롭게 등장한 주제라는 점에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 점에 주목하여 <우활가>의 작품세계를 정체성의 측면에서 해석함과 동시에 ‘우활’이라는 주제의 문학사적 맥락을 고려하여 우활의 의미를 검토하고, 우활을 다룬 동시대 작가인 박인로의 가사 작품들과의 비교를 통해 <우활가>의 문학사적 의미를 고찰했다.
      번역하기

      지금까지 <우활가>에 관한 선행 연구에서는 작자 정훈의 사회적 지위에 관심을 두거나 작품에 나타난 정서를 해석하는 데 큰 관심을 두었다. 그러나 관련 자료를 검토해보면 정훈을 몰...

      지금까지 <우활가>에 관한 선행 연구에서는 작자 정훈의 사회적 지위에 관심을 두거나 작품에 나타난 정서를 해석하는 데 큰 관심을 두었다. 그러나 관련 자료를 검토해보면 정훈을 몰락한 양반으로 보는 것은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 작품에 나타난 정서를 비롯해 <우활가>의 작품세계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17세기 국문시가 작가들이 자신들의 작품에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토로했다는 점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우활가>의 주제인 우활도 17세기 가사 문학사에 새롭게 등장한 주제라는 점에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 점에 주목하여 <우활가>의 작품세계를 정체성의 측면에서 해석함과 동시에 ‘우활’이라는 주제의 문학사적 맥락을 고려하여 우활의 의미를 검토하고, 우활을 다룬 동시대 작가인 박인로의 가사 작품들과의 비교를 통해 <우활가>의 문학사적 의미를 고찰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역대가사문학집성 데이터베이스"

      2 박요순, "한국시가의 재조명" 탐구당 1984

      3 김성우, "조선후기사 연구의현황과 과제" 창작과비평사 2000

      4 한창훈, "조선중기 시가와자연" 태학사 2002

      5 이상원, "조선중기 시가와 자연" 태학사 2002

      6 정소연, "조선 중․후기 시가의 양층언어문학사" 새문사 2014

      7 오선주, "정훈의 ‘우활 의식’에 대한 재고" 한국고시가학회 22 : 185-209, 2008

      8 이승남, "정훈가사의 이념과 현실의 정서적 형상화-<성주중흥가>․<탄궁가>․<우활가>를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44 : 69-96, 2008

      9 이상원, "정훈 시조 연구" 우리어문학회 11 : 237-256, 1997

      10 강경호, "정훈 시가에 반영된 현실 인식과 문학적 형상 재고" 한민족어문학회 49 : 193-230, 2006

      1 "한국역대가사문학집성 데이터베이스"

      2 박요순, "한국시가의 재조명" 탐구당 1984

      3 김성우, "조선후기사 연구의현황과 과제" 창작과비평사 2000

      4 한창훈, "조선중기 시가와자연" 태학사 2002

      5 이상원, "조선중기 시가와 자연" 태학사 2002

      6 정소연, "조선 중․후기 시가의 양층언어문학사" 새문사 2014

      7 오선주, "정훈의 ‘우활 의식’에 대한 재고" 한국고시가학회 22 : 185-209, 2008

      8 이승남, "정훈가사의 이념과 현실의 정서적 형상화-<성주중흥가>․<탄궁가>․<우활가>를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44 : 69-96, 2008

      9 이상원, "정훈 시조 연구" 우리어문학회 11 : 237-256, 1997

      10 강경호, "정훈 시가에 반영된 현실 인식과 문학적 형상 재고" 한민족어문학회 49 : 193-230, 2006

      11 최홍원, "정훈 시가 다기성에 대한 시학적 이해" 국어국문학회 159 : 147-178, 2011

      12 류속영, "정훈 문학의 현실적 토대와 작가의식" 국어국문학회 35 : 129-154, 1998

      13 최상은, "정훈 가사에 나타난 가문의식과 문학적 형상" 한민족어문학회 45 : 361-382, 2004

      14 루이스 부레거, "인간 발달의 통합적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8

      15 한창훈, "시가교육의 가치론" 월인 2001

      16 정훈, "수남방옹정공가장행적" 숭실대학교

      17 "사기"

      18 "박물지"

      19 "논어"

      20 전북향토문화연구회, "남원원동향약" 전북향토문화연구회 1994

      21 박세채, "남계집"

      22 신경숙, "고시조 문헌 해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23 "경주정씨세고" 국립중앙도서관

      24 정동인, "경주정씨세고" 회상사 2002

      25 김문기, "鄭勳의 <憂喜國事歌> 고찰" 국어교육학회 31 : 99-125, 1999

      26 정훈, "水南放翁遺稿 (影印)"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2 : 1973

      27 조은별, "水南放翁 鄭勳 국문시가의 세계 인식과 표현 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28 박이정, "17세기 전반기 가사 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2015

      29 권순회, "17세기 남원지방 재지사족의 동향과 정훈의 시가" 민족어문학회 39 : 194-221, 1999

      30 이승남, "17세기 강호가사의 전환기적 서정-정훈의 <용추유영가>와 <수남방옹가>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28 : 193-222,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55 1.52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